보츠와나 풀라

코코아봇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2월 17일 (월) 18:30 판 (자동 찾아 바꾸기: 「수 밖에」(을)를 「수밖에」(으)로)
{{{화폐이름}}}
화폐 정보
사용국 보츠와나
기호 P
지폐 10P, 20P, 50P, 100P, 200P
동전 5t, 10t, 25t, 50t, 1P, 2P, 5P
환율 108원/P (2020.02.17 기준)

개요

보츠와나에서 1976년부터 사용하기 시작한 통화이다. 통화명 "풀라"는 현지 공용어인 츠와나어로 '비(雨)'를 의미하는데, 보츠와나가 칼라하리 사막에 위치하여 사시사철이 건조한 탓에 비가 내리는 그 자체를 신성시하는 문화가 있어서, 츠와나어에서 '풀라!'는 기쁨에 젖는 소리 그 자체를 뜻하기도 했다. 이에 빗대어 1975년, 독립 후 보츠와나 은행이 설립되었을 당시에 화폐의 명칭으로도 풀라라는 어휘가 통화명으로 선정되었다. 덧붙여 보조단위인 '테베'는 츠와나어로 '빗방울'을 의미한다.

환전 및 사용

보츠와나는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과는 달리 독립과정이 얼떨결도 아닌 정식 절차를 걸쳐 독립하였고, 민족구성에서도 츠와나 족이 과반수를 차지한 덕택에 정치적 암투나 독재정권이 전혀 일어나지 않았기에, 풍부한 다이아몬드로 인한 자원의 저주를 겪지 않고 순탄한 발전을 이룩하여 세이셸과 맞장뜰 정도로 그럭저럭의 중진국까지 성장한 곳이다. 덕택에 풀라화 또한 막장궤도를 걸어본 적 없이 아프리카 통화 중에서는 제법 안정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어[1] 주변국(남아공, 나미비아, 잠비아, 짐바브웨 등)에서 아예 준기축통화 수준으로 빌려다 쓰기도 한다. 그렇지만 다이아몬드 관련 산업 자체가 다분히 수출의존적이어서 세계 경기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어디선가 악재 한 번 터졌다 하면 일단 휘청거리고 보는 경향도 흔히 관찰된다.

달러 기준으로 2007년 17센트/P이던 것이 2009년 외환위기로 12센트/P까지 떨어졌다가, 이후 14~15센트/P로 회복했으나, 공업력 성장부진 등의 악재를 이기지 못하여 2015년 3월에 처음으로 10센트/P 선이 무너졌고, 2018년 2월에 잠시 10센트대로 진입한 것을 제외하곤 계속 9센트 대에 머무르고 있다.

내륙국인데다 한국에서는 너무 멀리 떨어져있는 관계로, 역시나 한국 내에서의 환전은 지원하고 있지 않다. (추심은 가능하다.) 보츠와나 내부에서 환전시 정석대로 미국 달러가 가장 좋으나, 내륙인접국의 이점으로서 남아공 랜드나미비아 달러도 나름 좋은 환율로 쳐준다. 그러나 짐바브웨 달러는 말할 것도 없고, 잠비아 콰차의 경우도 그렇게 썩 좋은 대우를 받지는 못한다.

2010년대 초반 경에는 남아공 랜드와 1:1로 환전해주던 시기도 있었으나, 후반에 들어 랜드화의 폭락이 거침없어지면서 크게 역전되는 바람에 불가능한 바람이 되었다. (2017년 현재는 약 3풀라=4랜드 수준이다.)

현행 시리즈

현행권 (가제)

모습 앞면 뒷면
BWP201.jpg
10P 이언 카마 現 대통령 (4대) 가보로네 국회의사당
BWP203.jpg
20P 크갈레망 투메디소 모체테 (작곡가) 광업 시설
BWP205.jpg
50P 세레체 카마 (초대 대통령) 오카방고 강 위 고기잡는 물수리
BWP207.jpg
100P 보츠와나의 세 부족장

(Khama III of Bangwato, Sebele I of Bakwena, Bathoen I of Bangwaketse)[2]

다이아몬드 채굴장 및 선별 모습
BWP209.jpg
200P 아이들이 글자를 배우는 모습 얼룩말
  • 동전은 2013년에 새로 개편되어 5P, 2P, 1P, 50t, 25t, 10t, 5t의 8종이 유통되고 있다.

구권 (가제)

  • 현행권과 도안이 동일하나, 10P 앞면의 인물은 당시 대통령(3대)인 페스투스 모가에이다.

각주

  1. 먼저 언급했듯 풀라도 나름 외부영향을 쉽게 받고 평가절하도 잦은 편이지만, 그래도 같은 선상에 있던 남아공 랜드의 평가절하 속도보다 느리다.
  2. 2005년 경, 보츠와나는 북한의 만수대창작사에 거대동상 제작 발주를 넣은 적이 있는데 이들의 동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