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봉안곶등대: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그림설명=
|그림설명=
|번호=2642 / M4272.75
|번호=2642 / M4272.75
|위치=[[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세화리 190-2
|위치=[[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태흥리 1167-3
|경위도=33°16′39.5″N<.br>126°44′34.6″E
|경위도=33°16′39.5″N<.br>126°44′34.6″E
|인접항구=[[세화항]]
|인접항구=
|등고=13m
|등고=13m
|높이=12m
|높이=12m
16번째 줄: 16번째 줄:
}}
}}
==개요==
==개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세화리 190-2번지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는 무인등대로 세화리의 작은 포구인 세화항의 바로 동편에 위치하고 있는 연안항로표지 역할을 하는 등대이다. 특히 세화리 포구에는 등대가 자리하지 않다보니 이 등대가 세화포구로 들어가는 항해목표물의 역할까지 겸하고 있다. 이 등대 바로 뒤편으로는 제주[[올레]] 제4코스가 지나가고 있으며, 서귀포 시내에서 [[표선면]] 방면으로 가던 [[1132번 지방도]]에서 갈라져 나온 해안도로로 진입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나오는 등대로 접근성이 상당히 좋은 편에 속한다. 참고로 이 등대 앞의 해안은 간조시에는 등대 앞의 바위들이 드러나며, 만조시에는 등대 바로 앞까지 바닷물이 차오르는 지점이다.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태흥리 1167-3번지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는 무인등대로 서쪽 인근에는 태흥리 포구가 자리하고 있다. 바로 뒤쪽으로 [[올레길]] 제4코스가 지나감에도 불구하고 이 등대쪽으로 가는 길은 풀섶으로 가려져 있어서 접근성이 딱히 좋은 편은 아니다. 특히 이쪽 올레길 구간은 서쪽의 전경초소가 없으면 그야말로 으슥한 곳에 해당하기 때문에 일몰 이후에 돌아다니기는 부담스러운 코스이다.


{{주석}}
{{주석}}
{{대한민국의 무인등대}}
{{대한민국의 무인등대}}

2015년 11월 13일 (금) 22:51 판

틀:등대

개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태흥리 1167-3번지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는 무인등대로 서쪽 인근에는 태흥리 포구가 자리하고 있다. 바로 뒤쪽으로 올레길 제4코스가 지나감에도 불구하고 이 등대쪽으로 가는 길은 풀섶으로 가려져 있어서 접근성이 딱히 좋은 편은 아니다. 특히 이쪽 올레길 구간은 서쪽의 전경초소가 없으면 그야말로 으슥한 곳에 해당하기 때문에 일몰 이후에 돌아다니기는 부담스러운 코스이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