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수교: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교량 정보
{{다리 정보
| 이름 = 잠수교
|다리이름 = 잠수교
| 그림 = [[파일:잠수교입구.jpg|300픽셀]]
|원어이름 =
| 설명 = 잠수교 입구 (남단)
|그림     = [[파일:잠수교입구.jpg|300픽셀]]
| 다른이름 = 안보교
|그림설명 = 잠수교 입구 (남단)
| 횡단 = [[한강]]
|나라    =  
| 위치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동]] - [[서초구]] [[반포동]]
|위치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동]] - [[서초구]] [[반포동]]
| 소유 =
|횡단    = [[한강]]
| 관리 = [[서울특별시]]
|종류    =  
| 설계  = 대한콘설탄트
|길이     = 795m
| 디자인  =
|폭      = 18m
| 재료    =  
|높이     =  
| 연장     = 795m  
|경간    =  
| 너비    = 18m
|관할     = [[서울특별시]]
| 높이     =  
|착공일  = [[1975년]] [[9월 5일]]
| 경간    =  
|개통일   =  
| 수명 =
|폐쇄일   =  
| 시공    = 벽산엔지니어링
|설계    = 대한콘설탄트
| 제작     =  
|건설    = 벽산엔지니어링
| 착공일  = {{날짜/출력|1975-9-5}}
|비고    =  
| 완공일  = {{날짜/출력|1976-7-5}}
| 개통일 =
| 건설비용  = 28억 6000만원
| 요금   =  
| 일일교통량    = 40,000 ([[2009년]])
| 이전 다리    = [[한남대교]]
| 다음 다리  = [[동작대교]]
| 폐쇄      =  
}}
}}


==개요==
==개요==
{{youtube|cI_o0bbrQ8s}}
{{youtube|cI_o0bbrQ8s}}
'''잠수교'''는 [[한강]]을 건너는 다리 중 하나로서, [[용산구]]와 [[서초구]]를 잇는다. [[1976년]] 완공되어 위층의 반포대교보다 6년 먼저 건설되었다.  
'''잠수교'''는 [[한강]]을 건너는 다리 중 하나로서, [[용산구]]와 [[서초구]]를 잇는다. [[1976년]] 완공되어 위층의 반포대교보다 6년 먼저 건설되었다.


==특징==
==특징==
잠수교는 한강 수면과 불과 2.7m 높이에 상판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애초에 큰 비로 인해서 한강 물이 불어날 경우에는 다리가 물속에 잠기도록 설계하였다. 최초 개통시에는 수면과 수평으로 곧게 시공되었으나 이후 다리의 중간 부분을 솟아오른 언덕처럼 개량하여{{ㅈ|이 구간을 보통 낙타봉 구간이라고 한다}} 유람선과 같은 선박이 다리 아래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잠수교는 한강 수면과 불과 2.7m 높이에 상판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애초에 큰 비로 인해서 한강 물이 불어날 경우에는 다리가 물속에 잠기도록 설계하였다. 최초 개통시에는 수면과 수평으로 곧게 시공되었으나 이후 다리의 중간 부분을 솟아오른 언덕처럼 개량하여{{ㅈ|이 구간을 보통 낙타봉 구간이라고 한다}} 유람선과 같은 선박이 다리 아래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래 왕복 4차선 규모의 도로교였으나, 상부 반포대교가 교통량을 대부분 분담하기 때문에 [[2008년]]에 도로를 왕복 2차선 규모로 줄이는 대신 남은 공간을 보행자통로와 자전거도로로 전환하였다. 교량 양 끝단의 높이가 한강 고수부지의 높이와 거의 동일한데다 한강 [[자전거도로]]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자전거]]로 [[한강]]을 건널 때 가장 편리한 통로이다. 다른 교량은 엘리베이터를 타거나 그마저도 없다면 자전거를 들쳐매고 계단을 올라야한다.
본래 왕복 4차선 규모의 도로교였으나, 상부 반포대교가 교통량을 대부분 분담하기 때문에 [[2008년]]에 도로를 왕복 2차선 규모로 줄이는 대신 남은 공간을 보행자통로와 자전거도로로 전환하였다. 교량 양 끝단의 높이가 한강 고수부지의 높이와 거의 동일한데다 한강 [[자전거도로]]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자전거]]로 [[한강]]을 건널 때 가장 편리한 통로이다. 다른 교량은 엘리베이터를 타거나 그마저도 없다면 자전거를 들쳐매고 계단을 올라야한다.
45번째 줄: 37번째 줄:
* 강물이 불어나면 물에 잠기는 것이 당연한 설계를 적용하였으므로, 한강에 물이 좀 불어난다 싶으면 뉴스화면에 단골로 등장하는 다리이다. 그야말로 한강의 홍수 측정기 그 자체에 해당한다.
* 강물이 불어나면 물에 잠기는 것이 당연한 설계를 적용하였으므로, 한강에 물이 좀 불어난다 싶으면 뉴스화면에 단골로 등장하는 다리이다. 그야말로 한강의 홍수 측정기 그 자체에 해당한다.
* 잠수교의 본래 건설 목적은 군사적 목적에 있다고 한다. 실제로 [[한강]]의 서울구간 중 하천 폭이 가장 좁은 구간에 해당하는 곳이 바로 이 잠수교이며, 실제 한강을 건너는 교량구간만의 길이도 800m가 채 되지 않을 정도로 짧기 때문에 전시에 교량이 파괴되어도 긴급복구를 빠르게 할 수 있는 다리에 해당한다.
* 잠수교의 본래 건설 목적은 군사적 목적에 있다고 한다. 실제로 [[한강]]의 서울구간 중 하천 폭이 가장 좁은 구간에 해당하는 곳이 바로 이 잠수교이며, 실제 한강을 건너는 교량구간만의 길이도 800m가 채 되지 않을 정도로 짧기 때문에 전시에 교량이 파괴되어도 긴급복구를 빠르게 할 수 있는 다리에 해당한다.
* 수위가 5.5m 이상 올라가면 보행자 통행이 통제된다. 6.2m 이상이면 차량도 통제된다. 6.5m를 넘기면 교량이 침수된다.
* 수위가 5.5m 이상 올라가면 보행자 통행이 통제된다. 6.2m 이상이면 차량도 통제된다. 6.5m를 넘기면 교량이 침수된다. 참고로 잠수교의 수위가 가장 높았던 기록은 1990년의 13.7m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5&aid=0003023320 참고 기사]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52번째 줄: 44번째 줄:
{{각주}}
{{각주}}
{{한강의 다리}}
{{한강의 다리}}
[[분류:대한민국의 다리]]
[[분류:서울특별시에 있는 다리]]
[[분류:서울특별시의 교통]]
 
{{리브레 맵스 마커|37.512504518155524|126.99752897201324|13|잠수교}}

2023년 9월 18일 (월) 13:47 기준 최신판

잠수교
잠수교입구.jpg
잠수교 입구 (남단)
다리 정보
위치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동 - 서초구 반포동
횡단 한강
길이 795m
18m
관할 서울특별시
착공일 1975년 9월 5일
설계 대한콘설탄트
건설 벽산엔지니어링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잠수교한강을 건너는 다리 중 하나로서, 용산구서초구를 잇는다. 1976년 완공되어 위층의 반포대교보다 6년 먼저 건설되었다.

특징[편집 | 원본 편집]

잠수교는 한강 수면과 불과 2.7m 높이에 상판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애초에 큰 비로 인해서 한강 물이 불어날 경우에는 다리가 물속에 잠기도록 설계하였다. 최초 개통시에는 수면과 수평으로 곧게 시공되었으나 이후 다리의 중간 부분을 솟아오른 언덕처럼 개량하여[1] 유람선과 같은 선박이 다리 아래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래 왕복 4차선 규모의 도로교였으나, 상부 반포대교가 교통량을 대부분 분담하기 때문에 2008년에 도로를 왕복 2차선 규모로 줄이는 대신 남은 공간을 보행자통로와 자전거도로로 전환하였다. 교량 양 끝단의 높이가 한강 고수부지의 높이와 거의 동일한데다 한강 자전거도로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자전거한강을 건널 때 가장 편리한 통로이다. 다른 교량은 엘리베이터를 타거나 그마저도 없다면 자전거를 들쳐매고 계단을 올라야한다.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 북단은 서빙고동 내부 도로와 연결되며 전형적인 주택가에 해당한다.
  • 남단은 한강공원 반포지구와 연결되며 지하도로를 거쳐 서초구 시가지로 연결된다.

여담[편집 | 원본 편집]

  • 강물이 불어나면 물에 잠기는 것이 당연한 설계를 적용하였으므로, 한강에 물이 좀 불어난다 싶으면 뉴스화면에 단골로 등장하는 다리이다. 그야말로 한강의 홍수 측정기 그 자체에 해당한다.
  • 잠수교의 본래 건설 목적은 군사적 목적에 있다고 한다. 실제로 한강의 서울구간 중 하천 폭이 가장 좁은 구간에 해당하는 곳이 바로 이 잠수교이며, 실제 한강을 건너는 교량구간만의 길이도 800m가 채 되지 않을 정도로 짧기 때문에 전시에 교량이 파괴되어도 긴급복구를 빠르게 할 수 있는 다리에 해당한다.
  • 수위가 5.5m 이상 올라가면 보행자 통행이 통제된다. 6.2m 이상이면 차량도 통제된다. 6.5m를 넘기면 교량이 침수된다. 참고로 잠수교의 수위가 가장 높았던 기록은 1990년의 13.7m다. 참고 기사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이 구간을 보통 낙타봉 구간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