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철도 노선 정보/설명문서: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16번째 줄: 16번째 줄:
|번호    =  
|번호    =  
|구간    =  
|구간    =  
|영업거리 =
|역수    =  
|역수    =  
|소유자  =  
|소유자  =  
22번째 줄: 23번째 줄:
|폐지일  =  
|폐지일  =  
|경유노선 =  
|경유노선 =  
|영업거리 =
|궤간    =  
|궤간    =  
|선로    =  
|선로    =  
32번째 줄: 32번째 줄:
</pre>
</pre>


* 노선명: 노선의 정식 명칭을 입력합니다.
=== 설명 ===
* 배경색: 주제의 배경색을 입력합니다. 물리적 노선이면 운영회사 색상을, 운행계통이면 노선 색상을 입력합니다.
{{틀 변수 사용법
* 글자색: 주제의 글자색을 입력합니다.
|변수1      = 노선이름
* 그림: 표 상단에 넣을 그림을 입력합니다.
|설명1      = 철도 노선 및 운행계통(이하 '노선')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 국가: 노선이 지나가는 국가를 입력합니다.
|입력값1    = 문자열
* 종류: 노선의 종류를 [[고속철도]], [[일반철도]], 간선철도, 통근 철도, 경전철, [[도시철도]], 화물선 등으로 입력합니다. [[운행계통]]이면, 운행계통을 입력합니다.
|필수여부1  = 필수
* 번호: 노선의 번호를 입력합니다.
 
* 노선: [[운행계통]]의 경우, 그 계통이 실제로 사용하는 (서류상의) 노선을 입력합니다.
|변수2      = 원어이름
* 구간: 노선의 기점 ~ 노선의 종점 <nowiki><small>(총 거리 km, 역[정거장]수개)</small></nowiki>로 입력합니다. 기점과 종점이 여러 개이면, 계통을 대략적으로 모두 입력합니다.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중앙선]] 참고)
|설명2      = '노선'의 원어 이름을 입력합니다. 한국 '노선'의 경우, 한자 이름은 입력하지 않습니다.
* 개통일: 노선이 처음으로 영업·사용을 시작한 날을 입력합니다.
|입력값2    = 문자열
* 폐지일: 노선이 정식으로 폐지된 날을 입력합니다.
|필수여부2  = 선택
* 소유자: 노선의 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기관을 입력합니다.
 
* 운영자: 노선을 실제로 운영하는 기관을 입력합니다.
|변수3      = 그림
* 궤간: 노선의 궤간을 입력합니다. 구간별로 다르면 구간을 끊어서 기술합니다.
|설명3      = '노선'과 관련된 그림을 입력합니다. <code><nowiki>[[파일:파일 이름.확장자|크기]]</nowiki></code>
* 선로: 노선의 선로 수를 숫자(1, 2, 4 등)로 입력합니다.
|입력값3    = 문자열
* 전기: 급전 방식을 입력합니다.
|필수여부3  = 선택
* 신호: 노선의 신호 방식을 입력합니다.
 
* 최고속도: 해당 노선에서 영업 운전을 하는 열차가 내는 가장 빠른 속도를 입력합니다. 설계상 최고 속도 또한 이곳에 입력합니다.
|변수4      = 그림설명
* 차량기지 : 노선이 사용하는 [[차량기지]]를 입력합니다.
|설명4      = 그림에 대한 설명를 입력합니다.
* 비고: 비고를 답니다.
|입력값4    = 문자열
|필수여부4  = 선택
 
|변수5      = 국가
|설명5      = '노선'이 있는 국가를 입력합니다. 이때 {{틀|국기}}를 이용합니다. 여러 개일 경우 쉼표 또는 <code><nowiki><br /></nowiki></code>로 구분합니다.
|입력값5    = 문자열
|필수여부5  = 선택
 
|변수6      = 종류
|설명6      = '노선'의 종류를 입력합니다. 여러 개일 경우 쉼표로 구분합니다.
|입력값6    = 문자열
|필수여부6  = 선택
 
|변수7      = 번호
|설명7      = '노선'의 번호를 입력합니다. 역번호가 별도로 있으면, <code>XX (역번호)</code>로 입력합니다. N호선의 경우, 호선 번호는 입력하지 않습니다.
|입력값7    = 문자열
|필수여부7  = 선택
 
|변수8      = 구간
|설명8      = '노선'의 구간을 <code>기점 ~ 종점</code>으로 입력합니다. 주요 노선/계통이 여러 개이면 <code><nowiki><br /></nowiki></code>로 구분해서 입력합니다.
|입력값8    = 문자열
|필수여부8  = 선택
 
|변수9      = 영업거리
|설명9      = '노선'의 영업거리를 입력합니다. 주요 노선/계통이 여러 개이면 <code><nowiki><br /></nowiki></code>로 구분해서 입력하고, 총 거리를 별도로 추가합니다.<br />실제거리가 영업거리와 다를 경우, <code>0 km (실거리)</code>처럼 별도로 입력합니다.
|입력값9    = 문자열
|필수여부9  = 선택
 
|변수10    = 역수
|설명10    = '노선'의 정거장(화물역, 신호장, 신호소 포함) 갯수를 입력합니다. 요 노선/계통이 여러 개이면 <code><nowiki><br /></nowiki></code>로 구분해서 입력하고, 총 역 갯수를 별도로 추가합니다.
|입력값10  = 문자열
|필수여부10 = 선택
 
|변수11    = 소유자
|설명11    = '노선'의 소유자를 입력합니다.
|입력값11  = 문자열
|필수여부11 = 선택
 
|변수12    = 운영자
|설명12    = '노선'의 운영자를 입력합니다.
|입력값12  = 문자열
|필수여부12 = 선택
 
|변수13    = 개통일
|설명13    = '노선'의 개통일자를 입력합니다.
|입력값13  = 문자열
|필수여부13 = 선택
 
|변수14    = 폐지일
|설명14    = '노선'의 폐지일자를 입력합니다.
|입력값14  = 문자열
|필수여부14 = 선택
 
|변수15    = 경유노선
|설명15    = 운행계통이 이용하는 철도 노선을 입력합니다. 여러 개이면 쉼표로 구분해서 입력합니다.
|입력값15  = 문자열
|필수여부15 = 선택
 
|변수16    = 궤간
|설명16    = '노선'의 궤간을 입력합니다.
|입력값16  = 문자열
|필수여부16 = 선택
 
|변수17    = 선로
|설명17    = '노선'의 선로 갯수를 숫자로 입력합니다. 구간별로 다르면 <code><nowiki><br /></nowiki></code>구분해서 입력합니다.
|입력값17  = 문자열
|필수여부17 = 선택
 
|변수18    = 전기
|설명18    = '노선'의 급전 방식을 입력합니다. 비전철 '노선'은 입력하지 않습니다.
|입력값18  = 문자열
|필수여부18 = 선택
 
|변수19    = 신호
|설명19    = '노선'의 신호 방식을 입력합니다.
|입력값19  = 문자열
|필수여부19 = 선택
 
|변수20    = 차량기지
|설명20    = 운행계통의 차량기지를 입력합니다. 여러 개이면 쉼표로 구분해서 입력합니다.
|입력값20  = 문자열
|필수여부20 = 선택
 
|변수21    = 비고
|설명21    = 비고를 입력합니다.
|입력값21  = 문자열
|필수여부21 = 선택
}}


== 예시 ==
== 예시 ==

2022년 1월 10일 (월) 18:10 판

틀:틀 설명문서 안내

철도 노선 및 운행계통을 설명할 때 사용하는 정보상자 틀입니다.

사용법

{{철도 노선 정보
|노선이름 = 
|원어이름 = 
|배경색   = 
|글자색   = 
|그림     = 
|그림설명 = 
|국가     = 
|종류     = 
|번호     = 
|구간     = 
|영업거리 = 
|역수     = 
|소유자   = 
|운영자   = 
|개통일   = 
|폐지일   = 
|경유노선 = 
|궤간     = 
|선로     = 
|전기     = 
|신호     = 
|차량기지 = 
|비고     = 
}}

설명

{{{변수}}} {{{설명}}}

예시

철도 노선

{{{이름}}}
[[파일:Korail Gyeongbu Line.png|336px|alt=]]
노선도
종류 일반철도(간선), 광역철도[1]
번호 302
구간 서울 ~ 부산
영업거리 441.7 km
역 수 90개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KORAIL)
개통일 1905년 1월 1일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6 (서울 ~ 구로)
4 (구로 ~ 두정)
2 (천안 ~ 부산)
전기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신호 ATS, ATP
{{철도 노선 정보
|노선이름 = 경부선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글자색   = white
|그림     = [[파일:Korail Gyeongbu Line.png|180px]]
|그림설명 = 노선도
|국가     = {{국기|대한민국}}
|종류     = [[일반철도]]([[간선철도|간선]]), [[광역철도]]<ref>서울~용산, 조치원~대전조차장, 구미~경산</ref>
|번호     = 302
|구간     = [[서울역|서울]] ~ [[부산역|부산]]
|영업거리 = 441.7 km
|역수     = 90개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한국철도공사 (KORAIL)]]
|개통일   = [[1905년]] [[1월 1일]]
|폐지일   = 
|경유노선 = 
|궤간     = 1,435 mm ([[표준궤]])
|선로     = 6 (서울 ~ [[구로역|구로]])<br />4 (구로 ~ [[두정역|두정]])<br />2 (천안 ~ [[부산역|부산]])
|전기     =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신호     = [[ATS]], [[ATP]]
|차량기지 = 
|비고     = 
}}

철도 노선 및 운행계통

{{{이름}}}
[[파일:K416 열차.jpeg|336px|alt=]]
화서역으로 진입하는 K416 열차
종류 도시철도(서울), 운행계통(수도권 전철)광역전철
구간 도시철도: 서울역 ~ 청량리
광역전철:
소요산 ~ 인천
광운대 ~ 서동탄
광운대 ~ 신창
영등포 ~ 광명
영업거리 7.8 km (도시철도)
200.6 km (광역전철)
역 수 10개 (도시철도)
99개 (광역전철)
소유자 서울특별시 (도시철도)
운영자 서울교통공사 (도시철도, 광역전철 차량)
한국철도공사 (나머지 노선, 광역전철 차량)
개통일 1974년 8월 15일 (도시철도 및 광역전철)
경유노선 경원선, 서울 도시철도 1호선, 경부선, 경인선, 병점기지선, 천안직결선, 장항선, 경부고속선, 시흥연결선
차량기지 구로, 군자, 병점, 이문차량사업소 (광역전철)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2 (도시철도)
전기 직류 1,500 V, 가공전차선 (도시철도)
신호 ATS
도시철도 이외 구간의 정보는 경유노선에 있는 문서 참고
{{철도 노선 정보
|노선이름 = 서울 도시철도 1호선<br />수도권 전철 1호선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글자색   = white
|그림     = [[파일:K416 열차.jpeg|270px]]
|그림설명 = [[화서역]]으로 진입하는 K416 열차
|국가     = {{국기|대한민국}}
|종류     = [[도시철도]]([[서울 도시철도|서울]]), [[운행계통]]([[수도권 전철]])<sup>광역전철</sup>
|번호     = 
|구간     = '''도시철도:''' [[서울역]] ~ [[청량리역|청량리]]<br />'''광역전철:'''<br />[[소요산역|소요산]] ~ [[인천역|인천]]<br />[[광운대역|광운대]] ~ [[서동탄역|서동탄]]<br />[[광운대역|광운대]] ~ [[신창역|신창]]<br />[[영등포역|영등포]] ~ [[광명역|광명]]
|영업거리 = 7.8 km (도시철도)<br />200.6 km (광역전철)
|역수     = 10개 (도시철도)<br />99개 (광역전철)
|소유자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
|운영자   = [[서울교통공사]] (도시철도, 광역전철 차량)<br />[[한국철도공사]] (나머지 노선, 광역전철 차량)
|개통일   = [[1974년]] [[8월 15일]] (도시철도 및 광역전철)
|폐지일   = 
|경유노선 = [[경원선]], 서울 도시철도 1호선, [[경부선]], [[경인선]], [[병점기지선]], [[천안직결선]], [[장항선]], [[경부고속선]], [[시흥연결선]]
|궤간     = 1,435 mm ([[표준궤]])
|선로     = 2 (도시철도)
|전기     = [[직류]] 1,500 V, [[가공전차선]] (도시철도)
|신호     = [[ATS]]
|차량기지 = [[구로차량사업소|구로]], [[군자차량사업소|군자]], [[병점차량사업소|병점]], [[이문차량사업소]] (광역전철)
|비고     = 도시철도 이외 구간의 정보는 경유노선에 있는 문서 참고
}}

운행계통

{{{이름}}}
종류 운행계통
구간 문산 ~ 지평·서울
임진강 ~ 문산
영업거리 총 130.5 km
역 수 54개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개통일 2014년 12월 27일
경유노선 경의선, 용산선, 경원선, 중앙선
차량기지 문산, 이문, 용문차량사업소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신호 ATS
{{철도 노선 정보
|노선이름 = 경의·중앙선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설명 = 
|국가     = {{국기|대한민국}}
|종류     = [[운행계통]]
|번호     = 
|구간     = [[문산역|문산]] ~ [[지평역|지평]]·[[서울역|서울]]<br />[[임진강역|임진강]] ~ [[문산역|문산]]
|영업거리 = 총 130.5 km
|역수     = 54개
|소유자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개통일   = [[2014년]] [[12월 27일]]
|폐지일   = 
|경유노선 = [[경의선]], [[용산선]], [[경원선]], [[중앙선]]
|궤간     = 1,435 mm ([[표준궤]])
|선로     = 
|전기     = 
|신호     = [[ATS]]
|차량기지 = [[문산차량사업소|문산]], [[이문차량사업소|이문]], [[용문차량사업소]]
|비고     = 
}}
  1. 서울~용산, 조치원~대전조차장, 구미~경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