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소수자(性少數者, 영어: Sexual minority)는 성 정체성, 성적 지향 등에 있어 사회적 소수자에 속하는 이들을 가리킨다. 영어권에서는 성 정체성, 성적 지향, 로맨틱 지향에 따라 'Sexual minority', 'Gender minority', 'Romantic minority' 등으로 구분 지어 부르기도 하며, 퀴어(Queer)[1], LGBT[2]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하위 개념[편집 | 원본 편집]
성 정체성[편집 | 원본 편집]
성적 지향[편집 | 원본 편집]
로맨틱 지향[편집 | 원본 편집]
용어 관련 논란[편집 | 원본 편집]
대한민국에서는 sexual minority와 gender minority가 모두 '성소수자'로 번역되어 일부 학계에서 sexual minority를 "성소수자(LGB)" 등으로 표기하는 사례가 있으며[3], 시스젠더가 아닌 성소수자를 비롯해 LGB가 아닌 성소수자를 고려하지 않은 표현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오해와 편견[편집 | 원본 편집]
성소수자는 정신 질환자인가[편집 | 원본 편집]
현대에는 이성애가 아닌 성적 지향 정체성, 시스젠더가 아닌 성정체성 자체는 정신 질환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미국 정신의학협회에서는 1973년 12월 동성애가 '정신 질환'으로 분류하지 않아야 한다는 견해를 내놓았으며[4][5], 1987년 정신 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이하 "DSM") III-R 버전에서 "자아 이질적 동성애 (ego-dystonic homosexuality)" 표현을 삭제하며 동성애를 정신 질환으로 분류하는 내용이 삭제되었다. 세계보건기구가 1992년에 발표한 국제질병분류 ICD-10 버전에서는 성적 지향 정체성 자체는 질병으로 보지 않음을 명시하고 있다.[6]
세계보건기구가 2018년 6월 18일에 발표한 ICD-11에서는 "성 정체성 장애 (gender identity disorder)" 표현을 "성별 불일치 (gender incongruence)"로 변경함과 동시에 해당 항목의 상위 카테고리를 "Mental and behavioural disorders (정신 및 행동 장애)"에서 "Conditions related to sexual health (성 건강 관련 정보)"로 옮기며 트랜스젠더가 치료해야 할 '장애 (disorder)'에 속하지 않음을 밝혔다. [7][8]
성 정체성과 성적 지향[편집 | 원본 편집]
"나는 어떤 성별로 스스로를 자각하는가" 라는 성 정체성과 "나는 어떤 성별에게 성적 끌림을 느끼는가" 라는 성적 지향은 별개의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 예를 동성애를 희화화한 작품 중 하나인 《성 정체성을 깨달은 아이》 내 등장인물이 깨달은 것은 '성적 지향'이라고 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또한 성 정체성과 성적 지향이 별개의 개념이기 때문에, 시스젠더가 아닌 성 정체성과 이성애가 아닌 성적 지향을 동시에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지정성별이 여성이고 자신을 남성으로 자각하며, 남성에게 성적 끌림을 느끼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트랜스게이 (transgay)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성소수자는 좌파인가[편집 | 원본 편집]
성소수자가 좌파로 오해받는 경우도 많은 편이다. 성소수자 보수주의(Proud Conservative)의 존재가 오해임을 입증한다. 성소수자이면서 보수주의 성향을 가질 수 있으며 주로 반 PC주의 성향과 반페미니즘 성향도 동반한다. 차별 금지법처럼 생각이 다른 사람을 처벌하는 것을 반대하며 성평등을 추구한다.
창작물에서의 성소수자[편집 | 원본 편집]
성소수자를 희화화하지 않고 그에 대한 편견이나 현실을 다루고 있는 작품.
- 어서오세요.305호에 - 네이버 웹툰[1]. 2011년 완결.
- 방랑소년 - 일본의 만화. 15권 완결이지만 한국에서는 2011년 11월 11권 발매 이후 감감 무소식.
- 120BPM
각주
- ↑ 원래 "이상한", "색다른" 등을 나타내는 말이나, 지금은 성소수자 모두를 포괄하는 단어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 ↑ 레즈비언(Lesbian), 게이(Gay), 양성애자(Bisexual), 트랜스젠더(Transgender). 확장된 개념으로 퀘스쳐너(Questioner, 아직 자신의 성정체성, 성적 지향에 의문을 가지고 있는 사람), 남녀한몸(Intersexual), 무성애자(Asexual)를 추가한 LGBTQIA가 존재한다.
- ↑ 이성원, 연규진 (2020년 5월 1일). 성소수자(LGB)의 공동체 의식과 긍정적 정체성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소수자 스트레스 대처 전략의 매개효과. doi 10.23844/kjcp.2020.05.32.2.639doi 10.23844/kjcp.2020.05.32.2.639. 2022년 3월 30일에 확인.
- ↑ “The A.P.A. Ruling on Homosexuality”, 1973년 12월 23일 작성. 2022년 4월 4일 확인.
- ↑ 이것이 당시 학계에서 이성애가 아닌 성적 지향 정체성에 대한 의견이 통일되었음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당시 뉴욕 메디컬 대학의 정신의학과 임상교수 Irving Bieber는 동성애가 정신 질환의 요건을 충족하지 않으나, `성적 기능에 대해 불안함으로 인한 대체 적응`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 ↑ Susan D Cochran 외 8명 (2014년). Proposed declassification of disease categories related to sexual orientation in the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ICD-11), Bulleti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2년 4월 4일에 확인.
- ↑ WHO/Europe brief – transgender health in the context of ICD-11, WHO/Europe, (2021년). 2022년 4월 4일에 확인.
- ↑ 고승우. “WHO, 동성애와 트랜스젠더는 정상적인 삶의 형태로 규정”, 《미디어오늘》, 2021년 4월 12일 작성. 2022년 4월 4일 확인.
성적 지향 · 끌림 | ||
---|---|---|
로맨틱 지향 · 끌림 | ||
성정체성 | ||
생물학적 성 소수자 | ||
역사 | ||
문화 | ||
권리 | ||
차별과 폭력 | ||
학문적 접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