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Tropes

Pikabot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4월 1일 (금) 02:50 판 ('틀:웹사이트 정보' 표준화 v1.0)
TV Tropes
종류 사용자 참여형 사전 (위키)

티비 트롭스(TV Tropes)는 영어 위키 사이트다. 각종 대중문화 작품에서 찾아볼 수 있는 트롭(Trope)을 수집하는 사용자 참여형 사전으로, 대한민국나무위키 같은 서브컬처계 종합 위키와 성격이 유사하다. 이를 테면 양덕후의 나무위키라고 할 수 있다.

역사와 명칭

TV Tropes에서 말하는 트롭(Trope)은 일종의 공식화된 작품 속 요소를 가리키는데, 쉽게 말하면 캐릭터 유형이나 클리셰, 인터넷 밈 등이다.

원래 TV Tropes는 2004년 미국 드라마버피 더 뱀파이어 슬레이어》의 팬 사이트로서 개설되었다. 사이트 명칭에 TV가 들어가는 이유도 《버피 더 뱀파이어 슬레이어》가 TV 드라마였기 때문이다. 이후로도 초창기에는 TV 방송 및 영화의 트롭만을 다루고 있었는데, 차츰 다루는 범위가 넓어지면서 만화게임, 장난감 등 다종다양한 매체를 다루고 있다. 미국 작품만이 아니라 일본오타쿠 문화도 그 대상이다.

특징

각종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게임, 애니메이션 등에 대해 서술하는 위키이다. 장르를 가리지 않으며, 다양한 성격의 내용을 추가할 수 있다. 매체의 제목 뿐 아니라 위키의 이름답게 설정/기믹 그 자체에 대한 문서들도 많이 있다. 예를 들면 Slipknot Ponytail (매듭 있는 포니테일) 문서 같이 헤어스타일 같은 "모에 요소"를 소재로 한 문서들도 있다.

Wookiepedia포켓몬 위키, Mariowiki 등이 위키백과식으로 사실 위주의 설명을 하는 것을 추구하는데 반해 TV Tropes는 엔하계 위키처럼 작성자의 주관적 의견을 자유롭게 작성할 수 있다.

문서 구성

우선 각 Trope와 게임, 영화, 드라마 등의 미디어물에 대한 대표 문서가 있으며, 그 문서들에 대한 기초적인 설명이 나온다. 각 미디어물 페이지의 경우, 미디어물에서 사용되는 Trope에 대해 서술하는 부분이 있으며, 반대로 Trope를 설명하는 페이지에서는 그 Trope가 사용된 미디어물의 예제를 설명한다.

하위 페이지 속성 목록

게임, 영화, 보드게임, 애니메이션 등의 작품에 관한 페이지나 Trope 관련 페이지에서 부연설명하기 위한 속성을 말한다. (문서명)/(하위 속성) 형식으로 나타난다. TV Tropes에서 파생된 위키인 All The Tropes도 본질적으로 같은 방식으로 설명하고 있다.

  • Trope 페이지 - Trope의 사전적 의미는 "수사법"이지만 여기서는 작품에서 나오는 클리셰들을 의미한다. 이 문서들은 Trope 자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 후에 Trope가 사용된 예제를 설명한다.
  • Trope Launch Pad (바로가기, 예전에는 YKTTW라고 불렀다) - 이 위키의 핵심 콘텐츠인 trope를 유저들의 토론을 통해 생성하는 곳이다. 이곳에서 생성하기로 합의해야 Trope(클리셰)들을 생성할 수 있다. 억지 밈처럼 나타나는 Trope들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요소이다.
  • 작품 페이지 - 각 작품의 이름을 제목으로 하는 페이지이다. 작품에 대한 간단한 설명 후에 이 작품에서 사용된 Trope들에 대해 설명한다. 문서 명은 보통 (영상물 속성)/(영상물 제목) 형태로 작성된다. 예를 들면 닌텐토 패미콤을 통해 발매된 전설의 플랫포머 게임인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게임에 대해서는 "Video Game/Super Mario Bros." 이런 식으로 문서 제목이 작성된다. 그리고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에서 각종 트리비아에 관한 문서들은 "Trivia/Super Mario Bros." 이런 식으로 문서 제목이 작성된다.

작품 종류에 관한 문서들 분류.

  • Anime - 일본 애니메이션 관련 문서.
  • Animated Films - 애니메이션 스타일 영화에 관한 문서.
  • Film - 작품과 관련된 영화에 관한 문서.
  • Franchise - 작품 전반적인 프랜차이즈에 대해 설명한 문서.
  • Literature - 문학 작품에 대해 설명하는 페이지.
  • Pinball - 테이블탑 핀볼 게임에 관한 문서.
  • Tabletop Game - 테이블탑 게임에 관한 문서.
  • Video Game - 비디오 게임에 관한 문서.
  • Wesetern Animation - 서양 애니메이션 관련 문서.

작품에 대해 부연설명하는 하위 문서 속성들에 대해서.

  • Analysis - 각 Trope에 대해 좀더 심층적으로 설명하는 하위 페이지이다.
  • Awesome - 작성자들이 작품의 특성에 대해 놀라운 점을 설명할 때 사용하는 하위 페이지이다. 주관적인 서술이 들어갈 수 있다.
  • Awesomemusic - 작품의 좋은 음악에 대해 설명하는 페이지.
  • Characters -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에 대해 설명하는 하위 페이지이다.
  • DrinkingGame - 작품을 이용해서 술게임을 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는 하위 페이지이다.
  • FanFic Recs - 작품에서 파생된 팬 픽션/팬 워크등의 출처를 직접 기록하는 작품이다. 나무위키의 예시 작성과 많이 유사하다.
  • FanWorks - 작품의 팬 픽션/팬 워크에 관한 TV Tropes 위키 내부의 문서들의 링크를 나열하는 곳이다. 위키 작성자가 직접 작성하거나 웹페이지 상에서 발견한 예시를 작성하는 곳이 아니다.
  • Fridge - 작품에 대해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는 문서. 하위 페이지로 Fridge Briliance(난해해보이는 부분을 알기 쉽게 풀어주는 부분)과 Fridge Horror(알고 보면 무서운 부분. 나무위키식으로 표현하면 흠좀무) 등이 있다.
  • Funny - 작품에서 우스꽝스러운 부분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
  • Haiku - 더 설명을 생략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문서.
  • Headscratchers(과거 It justs Bugs Me) - 위키 작성자가 작품에 대해 이해되지 않는 부분을 질문하면 다른 작성자가 그것에 대해 답을 하는 하위 페이지. Q&A 게시판과 유사하다.
  • Heartwarming - 작품에서 감동을 주는 부분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
  • Horrible - 작품에서 공포감을 주는 부분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
  • Ho Yay(Homoerotism, Yay) - 작품 내부에서 동성애에 관한 페이지.
  • Laconic - 작품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는 페이지.
  • NightmareFuel - (악몽의 연료라는 의미) 작품 내부에서 공포스러운 부분에 대해 설명하는 부분. 검은 닌텐도가 대표적인 예.
  • Pantheon - 작품내의 캐릭터들을 "신격화"(?)시키는 수식어에 대해 설명하는 페이지.
  • PlayingWith - 각 Trope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설명하는 문서. TV Tropes 문서 설명 이해를 돕기 위해 괄호에는 예시를 설명하였다.
    • Straight - Trope가 직설적으로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 (악당 A가 영웅 X의 히로인 Y를 납치해서 영웅 X가 구하러 간다)
    • Exaggerated - Trope가 과장되어서 사용된다. (악당 A가 영웅 X의 히로인 Y뿐만 아니라 영웅 X조차 납치했다/악당 A가 영웅 X가 히로인 Y를 구출하자마자 납치하기를 10차례 반복했다)
    • Downplayed - Trope가 약화되어서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악당 A가 영웅 X의 히로인 Y를 납치하는 대신 장신구를 도둑질했다)
    • Justified - Trope 사용이 작품 내부에서 (이야기를 통해) 당연시되면서 사용됨을 의미. (히로인 Y는 악당 A를 제어하는 마법이 있어서 악당 A가 이를 막기 위해 납치해갔다)
    • Subverted - Trope가 사용되는 척하면서 안 하는 것. 클리셰 파괴를 의미한다. (악당 A가 히로인 Y를 납치하려다 포기하고 다른 남자 z를 납치했다)
    • Averted - 아예 Trope를 사용하지 않는다. Subverted와는 달리 처음부터 Trope가 없는 것처럼 사용한다. (오늘은 악당 A가 히로인 Y에 대해 관심이 없나보다)
    • Double Subverted /Unverted- Trope를 깨는 척하면서 다시 사용하는 것. (악당 A가 영웅 X와 서로 담소를 나누는 도중에 히로인 Y가 나타나자 영웅 X에 수면제를 먹이고 히로인 Y를 꼬드긴 뒤 결박하고 같이 떠났다)
    • Inverted - Trope가 반대로 사욛됨. (악당 A가 영웅 X에게 납치당했다/오늘은 악당 A가 영웅 X를 납치해서 히로인 Y가 구하러 간다)
    • Parodied - Trope가 살짝 뒤틀린 후에 유머스럽게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악당 A가 히로인 Y와 화해의 파티를 하자고 제안했으나 갑자기 악당 B가 명령해서 히로인 Y를 데려갔다)
    • Deconstructed - Trope를 사용할 때 일어날 수 있는 전개를 통해 Trope를 해체한다. (히로인 Y가 납치당한 후 또 다른 영웅 Z의 모습을 보고 악당 A로부터 스스로 탈출한다)
    • Reconstructed - Trope를 사용할 때 일어날 수 있는 전개를 통해 Trope를 강화한다. (히로인 Y가 자신을 납치한 악당 A의 강력함에 겁이 질려 전투력을 잃고 영웅 X에게 의존하게 된다. 다시 악당 A는 히로인 Y를 납치하면서 힘을 과시한다)
    • Zig-zaged - Trope를 사용하다가 사용하지 않다가 한다.(지난 달에는 악당 A가 히로인 Y를 납치했는데 오늘은 관심이 없더라)
    • Enforced - 작품 외적인 요인에 의해 Trope를 강제로 사용하게 되는 경우. 보통 사용된 외적 요인을 작품 내부에서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작가 : "작품을 단순하게 만들라는 상부의 지시에 의해 오늘도 악당 A가 히로인 Y를 납치하는 장면을 묘사할 수밖에 없습니다.")
    • Play for Laugh - Trope를 사용할 때 우스꽝스럽게 사용하는 경우
    • Play for Drama - Trope를 보다 더 진지하게 사용하는 경우
    • Lampshaded - 작품 내부의 등장인물이 Trope가 사용된 것을 스스로 인식하는 경우(히로인 Y : "오늘도 악당 A가 나를 납치하러 오는구나. 어떻게 하지?")
    • Invoked - 작품 내부의 등장인물이 Trope를 인지하고 사용되게 유도하는 경우 (악당 A : "오늘도 히로인 Y가 여기 있네. 마침 X도 무장해제되었으니 X를 제압해야지.")
    • Defied - 작품 내부의 등장인물이 Trope를 인지하고 사용되지 못하게 막는 경우 (영웅 X : "오늘은 악당 A가 오지 못하게 함정을 팠다. 각오해라!")
    • Discussed - 작품 내부의 등장인물이 Trope에 대해 이야기하는 경우.
    • Conversed - 작품 내부의 등장인물이 작품 내의 작품을 보면서 언급하는 경우.
    • Exploited - 작품 내부의 등장인물이 Trope를 이끌어내는 경우.
  • Quotes- 작품에 관한 인용문들을 설명하는 페이지.
  • Radar - 아동을 타깃으로 하는 작품 내부에서 무언가 아이들이 보기에 "적합하지 않는 요소"들을 설명하는 페이지. 검은 닌텐도 같은 요소.
  • Shout Out - 작품 관련해서 각종 특이한 요소들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
  • TearJerker - 작품 내부에서 감상자들을 슬프게 만들거나 눈물짓게 만드는 요소들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
  • Trivia - 작품 내부가 아닌 작품 외적인 각종 사소한 정보 Trope를 모아둔 문서.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의 Trivia 페이지에서는 마리오 시리즈 판매량이나 성우와 관련된 정보에 관한 Trope를 설명한다.
  • WMG - (Wild Mass Guessing) - 문서 작성자들이 작품 내부에서 판단할 수 없는 요소들의 추측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보통 작품 출시 이전의 추측되는 정보와 비교하거나 작품 출시 이후 후속작에 대핸 추측에 관한 정보들 등을 서술한다.
  • YMMV - (Your Milage May Vary) - 작품에 관해서 사람에 따라 견해를 달리할 수 있는 Trope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

Trope 목록

참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