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암묵의 룰로 작성되었습니다. 위키러님의 눈이 이상한 게 아닙니다. 당황하지 말고 이 문서의 룰을 파악해 보세요.
개요[편집 | 원본 편집]
- Zetawiki
- 제타위키
- 미디어위키 기반의 한국어 위키
- 간략한 단문 내용 형식
- 일부 문서는 수필형 장문 형태임
- 주로 『고려바위』에서 가져온 문서가 수필형태임.
- 이외 6인이 관리자 권한 보유. [3]
- 회원가입은 선택. 비회원 편집 가능.
- 주소: http://zetawiki.com/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개설 당시에는 일반 회원 편집이 불가능했음.
- 2015년 1월 21일에 『고려바위』와 합병
- 2015년 2월에 이름을 제타위키로 변경, 도메인을 zetawiki.com으로 변경. 일반 회원에게 편집권이 개방됨.
- 2015년 3월 제타위키 트위터 시작.
- 2016년 2월에 라이선스를 CC BY-SA 2.0 KR에서 CC BY-SA 3.0 Unported로 변경.[5][6]
- 2016년 11월, 표어를 "세상의 각주"로 결정.
편집 문화[편집 | 원본 편집]
- 단문형식(개조체)로 문서를 작성하고 있음
- 위키백과 및 리브레 위키 등의 일반적인 서술체와는 차이가 있음
- 짧고 명료하게 서술함
- 문장에 수식어 등을 거의 쓰지 않아 자세한 내역을 파악하기 어려움
- 개념 설명을 하는 문서 등 상당수의 문서의 불륨은 얄팍한 편
- 다만 일부 수필형 문서나 발언 따위를 인용한 문서는 내용이 방대함.
- 서술도 단문형이 아닌 일반적인 서술형 문체를 사용함.
문서의 특징[편집 | 원본 편집]
- 잡다한 분야: 학문, IT[7], 작품, 인물, 일반 지식 수록.
- 컴퓨터 관련 문서가 많음.
- 파일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줄 때 명령 프롬프트형 콘솔 형태의 안내창 디자인을 사용함.
- 서브컬쳐도 환영함.
- 『고려바위』에서 포크한 문서들은 산문형 문서가 많음.
특이사항[편집 | 원본 편집]
- 2015년 5월 기준으로 13,000개의 문서 수 초과.
- 2020년 4월 기준으로 문서 수 84,000개 초과.
- 2019년 상반기까지는 월 편집 3000건 이상.
- 상당수의 편집이 운영자 jmnote에 의해 이루어짐
- 문서 아래에 댓글을 달 수 있는 공간이 존재
-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이 필요함.
- 문서 특성상 활동과 규모 대비 생성 문서 수가 많은 모습을 보임. 한국어 위키 중 개인 위키를 제외하면 위키백과, 나무위키를 비롯한 일부 엔하계 위키들, 위키낱말사전
, 위키트리[8] 다음으로 문서수가 많음. - 월간 조회수는 리브레 위키보다 높은 것으로 보임.[9]
- 다만 검색비중이 극단적으로 높기에 직접방문은 리브레 위키가 더 많은 것으로 보임.
- 2019년 기준으로 월간 조회수나 활동량이 상당히 높으나 대중적인 인지도는 미미한 것으로 보임. 디시위키나 구스위키에도 제타위키 문서가 없음.
- 개조체가 기본이나 종종 라이선스가 호환되는 위키백과 문서를 그대로 붙여넣는 사용자도 있음.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각주
- ↑ 한국어 위키백과 관리자 jmkim dot com과 동일인
- ↑ 합병된 위키인 고려바위 개설자.
- ↑ 참고 : 제타위키:특수:관리자. 봇 계정과 동일인 추정 제외.
- ↑ [1] 특수:오래된문서 기록으로 2012년 1월 1일 (일) 14:25 확인.
- ↑ 제타위키, Wayback Machine. 2019.01.26.에 확인., 2016년 2월 9일
- ↑ 제타위키, Wayback Machine. 2019.01.26.에 확인., 2016년 2월 17일
- ↑ 주로 이 분야를 다룬다.
- ↑ 위키기자 종료로 위키 기능 상실.
- ↑ 알렉사 랭크 제타위키, 알렉사 랭크 리브레 위키
위키 관련 문서 |
|
---|---|
종합 위키 | |
위키미디어 | |
기타 위키 | |
호스팅 | |
소프트웨어 | |
기타 | |
틀에 없는 위키는 위키/목록 참조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