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별 불쾌감

하늘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2월 9일 (금) 12:03 판 (icd-11)

성별 불쾌감(Gender dysphoria)은 자신의 생물학적 성별이나 자신에게 주어진 사회적 성 역할(혹은 젠더)에 대하여 불쾌하게 생각하는 증상을 가리킨다.

과거엔 미국정신의학회(APA)의 DSM-5 분류상 성 정체성 장애(Gender identity disorder)로 분류되었으나 성소수자 단체들의 지적과 장애가 아닌 차이라는 입장들이 점차 수용됨에 따라 2013년 이후엔 DSM-5에서는 공식적으로 정신질환이 아닌 단순한 성별 불쾌감이라고 칭하고 있다.

분류

ICD-10기준이다.

F64.0 성전환증(Transsexualism)

F64.2 소아기 성별 불쾌감 (Gender dysphoria in children)

어린이가 성별 불쾌감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 자아 비친화성 성적 지향(F66.1, egodystonic sexual orientation),성적 성숙 장애(F66.0, sexual maturation disorder)와는 구분된다.

성인의 성별 불쾌감과 다르게 접근해 어린이를 치료/교정해서 시스젠더로 가능한 한 바꿔 놓아야 하는지, 아니면 성인의 성 정체성 장애와 같은 것으로 보고 정체성에 맞는 행동을 할 수 있게 해야 하는지 논란이 되고 있다.

F64.8 기타 성별 불쾌감(Other Gender dysphoria)

F64.9 상세불명의 성별 불쾌감(Gender dysphoria, unspecified)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