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te/Zero

< Fate
3570ws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4월 25일 (월) 14:09 판 (→‎만화)
Fate/Zero
동인판 제1권
세이카이샤 문고판 제1권
Fate Zero v01 jp.png
Zero 1.png

표지
작품 정보
우로부치 겐
그림 타케우치 타카시
장르 판타지, 액션
나라 일본
언어 일본어
출판사 세이카이샤 (세이카이샤 문고)
권수 4권 (동인판)
6권 (문고판)
한국어판 정보
옮긴이 현정수
출판사 학산문화사 (프리미엄 익스트림 노벨)

Fate/Zero》(페이트/제로, フェイト/ゼロ)는 우로부치 겐이 지은 일본라이트 노벨이다. 일러스트는 타케우치 타카시가 맡았다. 본래는 2006년부터 2007년에 걸쳐 동인지처럼 출판사를 통하지 않는 방식으로 전 4권이 출간되었으며,[1] 2011년에 세이카이샤세이카이샤 문고 레이블로 문고판이 전 6권으로 재구성되어 간행되었다.

TYPE-MOON의 비쥬얼 노벨 게임 《Fate/stay night》의 스핀오프 소설로, 10년 전에 개최된 제4차 성배전쟁을 메인 소재로 삼고 있다. 『stay night』에 비해 더 진지하고 어두운 분위기로 이야기가 진행된다.

줄거리

「Fate/stay night」의 사건이 일어나기 10년 전. 과연 후유키 시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제 4차 성배전쟁 개막!

성배전쟁― 그것은 모든 소망을 이룰 수 있는 '성배'를 손에 넣으려는 일곱 마술사가 소환한 서번트를 이용하여 목숨을 걸고 싸우는 궁극의 배틀 로열.

「마술사 킬러」라는 별명을 가진 에미야 키리츠구는 자신의 숙원을 위해 소환한 영령 「세이버」와 함께 모든 것을 걸고 성배를 둘러싼 싸움에 몸을 던지는데….

— 작품 소개문

등장인물

마스터

에미야 키리츠구 (衛宮 切嗣)
성우 코야마 리키야, 이리노 미유 (어린 시절)
본작의 주인공. 『마술사 킬러』라는 이명으로 유명한 프리랜서 마술사로, 1~3차 성배전쟁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내지 못한 아인츠베른 가문이 제4차 성배전쟁에서 필승을 위해 영입한 비장의 카드다.
성배전쟁 종료후 폐허속에서 부상을 입은 소년을 구하고 양자로 받아들이게 되는데, 그가 바로 페이트 스테이 나이트의 주인공 에미야 시로다.
아이리스필 폰 아인츠베른 (アイリスフィール・フォン・アインツベルン / Irisviel von Einzbern)
성우 오하라 사야카
아인츠베른에서 만든 호문클루스이자 에미야 키리츠구의 아내. 남편의 이상인 세계평화를 위해 반드시 성배를 손에 넣고자 한다.
웨이버 벨벳 (ウェイバー・ベルベット / Waver Velvet)
성우 미카와 다이스케
엘멜로이 교실에서 마술공부를 하던 신참 마술사로, 스승 케이네스에게 무시받은 걸 갚아주기 위해 성배전쟁에 참가한다.
토오사카 토키오미 (遠坂 時臣)
성우 하야미 쇼
후유키시를 거점으로 활동하고 있는 마술사 가문 토오사카의 5대 당주. 페이트 스테이 나이트의 주요인물 토오사카 린의 아버지.
코토미네 키레이 (言峰 綺礼)
성우 나카타 조지
성당교회 출신의 대행자. 제4차 성배전쟁 개막 3년 전 마스터로 선택되고, 아버지 리세이 신부와의 상담 끝에 토오사카 토키오미를 만나 그를 서포터겸 제자가 된다. 그러나 보통의 인간과는 아득히 떨어진 뒤틀린 사상을 갖고 있다는 점이 안좋은 쪽으로 발전해 악당이 된다.
훗날 페이트 스테이 나이트에서 제5차 성배전쟁 감독으로 재등장한다.
우류 류노스케 (雨生 龍之介)
성우 이시다 아키라
최근 후유키시에서 악명을 떨치고 있는 연쇄살인마. 정말 우연히도 성배에게 마스터로 선택되어 참전한다.
마토 카리야 (間桐 雁夜)
성우 신가키 타루스케
마토 가문의 일원으로, 페이트 스테이 나이트의 주요인물 마토 신지의 작은 아버지.
케이네스 엘멜로이 아치볼트 (ケイネス・エルメロイ・アーチボルト / Kayneth El-Melloi Archibald)
성우 야마자키 타쿠미
마술협회의 총본산 시계탑의 지배 계급인 열두 로드(Lord)중 하나에 속하는 엘멜로이 학파의 본가 아치볼트의 9대 당주. 일명 로드 엘멜로이(Lord El-Melloi). 마술사로서의 명성을 쌓기 위해 협회 대표로 성배전쟁에 참가한다.

서번트

세이버 (セイバー / Saber)
성우 카와스미 아야코
라이더 (ライダー / Rider)
성우 오츠카 아키오
랜서 (ランサー / Lancer)
성우 미도리카와 히카루
캐스터 (キャスター / Caster)
성우 츠루오카 사토시
어새신 (アサシン / Assassin)
성우 아베 아키나, 카와무라 타쿠오, 토요사키 아키, 토쿠모토 에이이치로 (드라마 CD), 타카마 요이치로 (드라마 CD), 즈시 코스케, 시마자키 노부나가, 무라카미 유야, 마츠모토 시노부, 사사키 히로오, 야마모토 이타루, 노사카 나오야, 사사키 요시히토, 쿠와하타 유스케, 노마타 카즈노리
버서커 (バーサーカー / Berserker)
성우 오키아유 료타로
아처 (アーチャー / Archer)
성우 세키 토모카즈

기타

히사우 마이야 (久宇 舞弥)
성우 츠네마츠 아유미
에미야 시로 (衛宮 士郎)
성우 노다 준코
후지무라 타이가 (藤村 大河)
성우 이토 미키
제자 0호 (弟子ゼロ号)
성우 카네모토 히사코
샤레이 (シャーレイ)
성우 타카가키 아야히
에미야 노리카타 (衛宮 矩賢)
성우 치바 잇신
이리야스필 폰 아인츠베른 (イリヤスフィール・フォン・アインツベルン / Illyasviel von Einzbern)
성우 카도와키 마이
유브스탁하이트 폰 아인츠베른 (ユーブスタクハイト・フォン・アインツベルン)
성우 후지모토 유즈루
토오사카 린 (遠坂 凛)
성우 우에다 카나
토오사카 아오이 (遠坂 葵)
성우 이토 하스미
마토 사쿠라 (間桐 桜)
성우 시타야 노리코
마토 조켄 (間桐 臓硯)
성우 츠카야마 마사네
코토미네 리세이 (言峰 璃正)
성우 히로세 마사시
나탈리아 카민스키 (ナタリア・カミンスキー)
성우 와타나베 아케노
글렌 매켄지 (グレン・マッケンジー)
성우 니시카와 이쿠오
마사 매켄지 (マーサ・マッケンジー)
성우 미네 아츠코
오드 볼자크 (オッド・ボルザーク)
성우 사카마키 마나부
코토네 (コトネ)
성우 세토 마사미 / 코바야시 케이코 (드라마 CD)
솔라우 누아다레 소피아리 (ソラウ・ヌァザレ・ソフィアリ / Sola-Ui Nuada-Re Sophia-Ri)
성우 토요구치 메구미

용어

서적 정보

  • 동인판
    1. 『제4차 성배전쟁 비화』, 2006년 12월 29일 발매
    2. 『왕들의 광연』, 2007년 3월 31일 발매
    3. 『스러져 가는 자들』, 2007년 7월 27일 발매
    4. 『연옥의 불길』, 2007년 12월 29일 발매

파생 작품

드라마 CD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만화

Fate Zero manga v01 jp.png
Fate/Zero
작화 신지로
소설 본편의 만화판. 카도카와 쇼텐영 에이스에서 2011년 2월호부터 2017년 7월호까지 연재되어 전 74화(단행본 14권)로 완결했다. 대한민국에는 학산문화사를 통해 정식발매했 되었으나, 일본 판권사측과의 계약문제로 불과 2권까지만 발매되는 것으로 그쳤다.[2]
단행본은 카도카와 코믹스 에이스 레이블로 출간되었다.
Fate Zero Black jp.png
Fate/Zero 흑 (Fate/Zero 블랙, フェイト/ゼロ (ブラック))
만화 메도리
패러디 개그 만화. 제목의 '흑'은 흑역사를 의미한다. 카도카와 쇼텐의 알티마 에이스에서 Vol.1(2011년 10월 18일 발매)부터 Vol.7(2012년 10월 18일 발매)까지 연재되었다가, 게재지가 휴간한 뒤로는 월간 ASUKA로 이적해 2013년 4월호까지 연재되어 전 10화(단행본 1권)로 완결되었다.
단행본은 카도카와 코믹스 에이스 레이블로 출간되었다.
Fate/제로 카페 ~Fate/Zero Cafe에 모이는 영령들~
만화 ufotable
TV 애니메이션 방영에 맞추어 전개된 스핀오프 만화. 카도카와 쇼텐의 월간 뉴타입에서 2012년 9월호부터 2014년에 걸쳐 연재되었다. 카페를 무대로 치비 캐릭터화된 《Fate/Zero》의 등장인물들이 귀엽게 노는 코미디 만화로, ufotable에서 실제로 경영하는 카페 『ufotable Cafe TOKYO』의 홍보용 만화이기도 하다. 월간 뉴타입 2014년 11월호부터는 속편격이라고 할 수 있는 《Fate/스테이 나이트 카페 ~Cafe에 모이는 영령들~》이 연재를 시작했다.
별도의 단행본은 출간되지 않았다.

애니메이션

TV 시리즈 로고

애니메이션판의 제작은 ufotable에서 제작을 담당했다. TV 애니메이션이 2011년부터 2012년에 걸쳐 분할 2쿨 형식으로 방영했다.

Fate/Zero
방영 기간 2011년 10월~12월 (1st 시즌) / 2012년 4월~6월 (2nd 시즌)
TV 시리즈. 분할 2쿨 구성으로 방영했다.
Fate/제로 카페 ~Fate/Zero Cafe에 모이는 영령들~
개봉일 2013년 7월 13일 / 2016년 3월 19일
스핀오프 만화의 애니메이션화 작품. 단편 영화로 개봉했다.

게임

Fate/Zero [Next Encounter]
기종 GREE / Mobage
서비스 기간 2012년 8월~2015년 4월 16일
콩테라이드에서 개발한 소셜 게임. 원작과는 다른 마스터와 서번트 페어(코토미네 키레이와 세이버 팀이라든가)를 짤 수 있다는 게 특징이며, 게임 내 카드 일러스트는 애니메이션판의 제작을 담당한 ufotable에서 새로 그리는 등 여러모로 노력을 기울였지만 소리 소문 없이 묻혔다.
Fate/Zero The Adventure
기종 iOS
발매일 2013년 8월 23일
POCKE에서 발매한 어드벤처 게임. 풀 보이스로 진행되는 노벨 게임으로, 기본적으로는 TV 애니메이션판의 줄거리를 따라가지만 선택지에 따라서 오리지널 전개 및 전투가 발생할 수 있다.

관련 상품

서적

Fate Zero material cover.png
Fate/Zero material
발매일 2008년 8월 8일
TYPE-MOON에서 발매한 설정자료집. 서번트들의 스테이터스 및 용어사전, 대담 등이 수록되어 있다.
Fate Zero Tribute Arts A Prayer For The Dying Normal Edition cover.png
Fate/Zero Tribute Arts -죽어가는 자들에게 바치는 기도- (Fate/Zero Tribute Arts -死にゆく者への祈り-)
발매일 2008년 12월 28일
토라노아나에서 발행한 여러 작가들의 일러스트와 사이드 스토리를 모은 헌정집. 이를 테면 공식 동인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총 65명의 창작자가 참여했다.

음반

RETURN TO ZERO Fate Zero Original Image Soundtrack cover art.png
RETURN TO ZERO Fate/Zero Original Image Soundtrack
발매일 2007년 12월 29일 (C73)
상품번호 HBN-318
동인판 《Fate/Zero》 완결에 맞추어 코믹 마켓 73에 발매된 이미지 사운드트랙. 극중 장면 및 캐릭터를 이미지한 곡을 수록했다. ZIZZ STUDIO에서 제작했다.
Prayer cover art.png
Prayer
발매일 2012년 4월 11일
상품번호 SECL-1087
아오이 에일트리뷰트 앨범. 본 작품에 등장하는 서번트 7명을 이미지한 노래와 TV 애니메이션 1st 시즌의 엔딩 테마 『MEMORIA』의 오케스트라 어레인지 버전이 수록되었다.

비화

  • 사실 《Fate/Zero》는 2005년에 발매된 팬디스크 《Fate/hollow ataraxia》에서 타이틀만은 공개해서 사전에 떡밥을 던지고 있었다. 동인판 발매가 2006년부터 시작된 걸 감안하면 꽤나 오래전부터 구상이 잡혀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 동인판 발매초기엔 Fate/stay night와 이어지는 작품이라고 홍보했지만, 완결된 이후 발견된 크고 작은 설정오류와 모순에 의해 100% 연결되는 정식 후속작이라 보기엔 문제가 있다고 주장하는 팬들의 의견이 나와 상당한 논란이 발생했다. 이는 작가 우로부치 겐Fate 시리즈 원작자 나스 키노코의 감수를 받으며 집필하긴 했지만 세세하게 확인을 못한 측면도 있고, 나스가 우로부치의 창작을 존중한다는 의미에서 간섭을 최소화하는 등의 여러가지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이다.[3] TYPE-MOON 및 우로부치도 이러한 부분을 알고 있었고, 후에 "기본적인 뼈대만 공유하는 페러럴 월드. Zero는 stay night와 조건은 같지만 미묘하게 다른 작품"이라는 공식 답변을 내놓아 논란을 종결시켰다.
사실 설정을 세세하게 파고들지 않고 적당히 즐기는 걸 좋아하는 취향이라면 위의 논란을 의식할 필요없이 Zero와 stay night가 이어지는 작품이라고 여겨도 별다른 상관은 없다.
  • 우로부치 겐은 이 작품 집필이 계기가 되어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의 각본을 맡게 되었다. 그래서인지 두 작품은 장르상 다크 판타지라는 공통점이 있으며, 작중 분위기도 비슷하다.

관련 사이트

각주

  1. 이 사례는 후에 TYPE-MOON의 출판 브랜드 TYPE-MOON BOOKS의 모태가 된다.
  2. 작중에 나오는 잔혹하고 과격한 표현이 검열에 걸리기 때문에 수입을 포기했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공식적으로 확인되지 않은 루머다
  3. 사실 이 문제는 Fate 시리즈가 다른 작가들에 의해 미디어믹스화 되면서 현재도 발생중 부분이라 딱히 Fate/Zero만의 문제점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