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에버라인: 두 판 사이의 차이

(가독성 향상 및 나무위키와 비슷한 내용 수정. 추가로 용인 경전철은 모노레일이 아닙니다.)
31번째 줄: 31번째 줄:
|}
|}
== 개요 ==
== 개요 ==
경기도 용인시의 경전철. <del>처인구 마을 전철</del> [[분당선]] 환승역인 [[기흥역]]부터 에버랜드 인근의 [[전대·에버랜드역|전대역]]까지 18 킬로미터 구간을 운행한다. {{날짜/출력|2013-4-26}} 개통하였다.
[[경기도]] [[용인시]]의 경전철. [[분당선]] 환승역인 [[기흥역]]부터 에버랜드 인근의 [[전대·에버랜드역]]까지 18km 구간을 운행한다. [[2013년]] [[4월 26일]] 개통하였다.


인구 92만명 정도의 용인시의 경전철이라지만 이 노선이 커버하는 지역은 용인시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게다가 역 위치 자체가 접근성이... 난개발로 악명이 높고 인구도 많은 수지구는 아예 안 지나고, 기흥구도 구성지구나 동백지구 등 대규모 아파트가 있는 곳은 안 지나간다. 이미 저 구간에는 [[분당선]]이 지나가기 때문. 동백지구는 지나가기는 하지만 중심지가 아닌 남쪽 끄트머리를 지나가는 것이라 통과한다고 하기 좀 애매하다. 경전철 대부분의 구간이 '''도농복합 지역인 처인구를 지나간다.''' 그래서 실질적으로 경전철의 영향권에 있는 인구는 20만 명에 불과하다는 분석이 있다. {{ㅊ|혹자는 용인시청으로 출퇴근하는 공무원들의 모노레일이라고도 한다.}}
원래 [[2009년]] 즈음 개통 예정이었으나 분당선 개통 등의 문제로 [[2010년]] [[6월 30일]]에 개통하기로 결정했었다. [[2010년]]에 예정대로 개통했다면, 한국 최초의 경전철이란 칭호를 가질 수 있었겠지만... 아래 제시할 여러 가지 문제들로 인해 한국 최초의 경전철 타이틀은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이 훨씬 먼저 가져가 버렸고, 수도권 최초라는 타이틀마저 [[의정부경전철]]이 먼저 가져가 버렸다.


원래 [[2009년]] 즈음 개통 예정이었으나 분당선 개통 등의 문제로 {{날짜/출력|2010-6-30}}에 개통하기로 결정했다. [[2010년]]에 예정대로 개통했다면 한국 최초의 경전철이란 칭호를 가질 수 있었겠지만... 아래 제시할 여러 가지 문제들로 인해 한국 최초의 경전철 타이틀은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이 훨씬 먼저 가져가 버렸고, 수도권 최초라는 타이틀마저 [[의정부경전철]]이 먼저 가져가 버렸다.
에버라인이라는 대외명칭을 애용하고 있다.<del>하지만 아무도 그렇게 부르지 않는다.</del> 당연히 명칭은 종착역인 [[전대·에버랜드역]]에서 따왔다.
 
에버라인이라는 대외명칭을 애용하고 있다.{{ㅊ|하지만 아무도 그렇게 부르지 않는다.}} 당연히 명칭은 종착역인 [[전대·에버랜드역|에버랜드역]]에서 따왔다.


안내방송은 [[의정부경전철]]과 [[서울메트로]] 진입 안내방송을 담당하고 있는 [[박형욱]] 성우와 제니퍼 클라이드이다.
안내방송은 [[의정부경전철]]과 [[서울메트로]] 진입 안내방송을 담당하고 있는 [[박형욱]] 성우와 제니퍼 클라이드이다.
43번째 줄: 41번째 줄:
== 역사 ==
== 역사 ==
이 문서의 본문은 [[용인경전철/역사]] 항목입니다.
이 문서의 본문은 [[용인경전철/역사]] 항목입니다.
[[2014년]] [[1월 6일]], 4대 용인시장이자 용인 경전철을 추진한 이정문 전 용인시장에게 징역 1년에 추징금 1만 달러 실형이 대법원에서 확정되었다.<ref>http://www.yonhapnews.co.kr/society/2014/01/05/0701000000AKR20140105038200004.HTML</ref>
[[2015년]] [[3월 31일]]에 하루 승객이 '''3만명이 넘었다!''' 하지만 이는 경기개발연구원이 용역보고서에서 제시한 예상승객(16만명)의 18.7%뿐이다. <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3/31/0200000000AKR20150331123000061.HTML</ref>
용인시가 3년만에 용인 경전철 부채를 갚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f>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50727_0010186951&cID=10803&pID=10800</ref>


== 요금 ==
== 요금 ==
수도권 통합 요금이 적용되며 기본요금은 1250원으로 [[수도권 전철]] 기본요금 1050원에 별도로 200원이 추가되는 방식이다. 수도권 전철용 정기권도 1구간용부터 사용 가능하다. 10km 초과 시 5km마다 100원씩 추가요금이 부과되며 65세 이상은 무료이고, 청소년은 20%, 어린이는 50% 할인이 된다.
수도권 통합 요금이 적용되며, 기본요금은 1450원으로 [[수도권 전철]] 기본요금 1250원에 별도로 200원이 추가되는 방식이다. 10km 초과 시 5km마다 100원씩 추가요금이 부과되며, 65세 이상은 무료이고, 청소년은 20%, 어린이는 50% 할인이 된다.<br/>수도권 전철용 정기권도 1구간용부터 사용 가능하다.  


== 운영 방식 ==
== 운영 방식 ==
수익형 민자사업(BTO)로 진행되었다. 캐나다의 봉바르디에 사가 주축이 된 용인경전철주식회사 컨소시엄이 건설한 후 용인시에 제공하되, 용인시에서는 30년간 경전철의 운영권을 [[용인경전철주식회사]]에 주는 방식이다.
수익형 민자사업(BTO)로 진행되었다. 캐나다의 [[봉바르디에]] 사가 주축이 된 용인경전철주식회사 컨소시엄이 건설한 후 용인시에 제공하되, 용인시에서는 30년간 경전철의 운영권을 [[용인경전철주식회사]]에 주는 방식이다.


== 문제점 ==
== 문제점 ==
'''용인시 최대 골칫거리'''<br>
'''용인시 최대 골칫거리'''<br>
'''지방자치제도에서 잘못된 자치단체장을 뽑을 경우의 폐해와 무능하고 부패한 공무원들이 벌이는 폐해를 한번에 보여주는 용인시의 재앙.'''<br>
'''부유한 지방자치단체였던 용인시가 재정난을 겪게 된 원인들 중 하나.'''<ref>용인경전철도 영향을 줬지만, 용인도시공사의 부채도 심각했었다. http://news.joins.com/article/16118464</ref><br>
'''전국적으로 손에 꼽히는 부유한 지방자치단체였던 용인시가 재정난을 겪게 된 원인.'''<br>
'''잘못된 자치단체장과 부패한 공무원들의 폐해를 한번에 보여주는 용인시의 재앙.'''<br>
'''중전철을 대신하여 친환경 저비용 교통수단으로 각광받았던 고가 경전철의 이미지를 시궁창에 빠뜨린 원흉.'''
'''중전철을 대신하는 친환경 저비용 교통수단으로 각광받았던 고가 경전철의 이미지를 시궁창에 빠뜨린 원흉.'''
 


문서의 본문은 [[용인경전철/문제점]]입니다.
용인시의 인구가 98만명이지만, 노선이 커버하는 지역은 용인시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난개발로 악명높고, 인구많은 수지구는 아예 지나지 않고, 대규모 아파트가 있는 기흥구의 구성지구 등도 안 지나간다. 동백지구는 지나가기는 하는데 남쪽 끄트머리를 지나가는 거라 지나간다고 하기 좀 애매하다. 결국, 경전철의 대부분은 용인시의 구 중 '''인구가 제일 적은 처인구를 지나간다.''' 하지만, 처인구의 인구의 문제라기보다는, 노선이 좀 돌아가기 때문에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더 크다. 게다가 역 위치 자체가 접근성이...  


== 역 목록 ==
== 역 목록 ==

2015년 11월 10일 (화) 21:55 판

수도권 전철 노선
1 2 3 4 5 6 7 8 9 공항 인천1 인천2
경의중앙 경춘 수인분당 신분당 경강 서해 A 우이 신림 의정부 용인 김포


首都圈電鐵 龍仁輕電鐵 / Everline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align="center" | 수도권 전철 용인경전철
운영기관 용인경전철주식회사
영업거리 18.5km
궤간 1435mm 표준궤
역 수 15
신호 추가바람
차량기지 삼가차량사업소
지상구간 전구간
연혁 2013. 04. 26 기흥 ↔전대·에버랜드

개요

경기도 용인시의 경전철. 분당선 환승역인 기흥역부터 에버랜드 인근의 전대·에버랜드역까지 18km 구간을 운행한다. 2013년 4월 26일 개통하였다.

원래 2009년 즈음 개통 예정이었으나 분당선 개통 등의 문제로 2010년 6월 30일에 개통하기로 결정했었다. 2010년에 예정대로 개통했다면, 한국 최초의 경전철이란 칭호를 가질 수 있었겠지만... 아래 제시할 여러 가지 문제들로 인해 한국 최초의 경전철 타이틀은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이 훨씬 먼저 가져가 버렸고, 수도권 최초라는 타이틀마저 의정부경전철이 먼저 가져가 버렸다.

에버라인이라는 대외명칭을 애용하고 있다.하지만 아무도 그렇게 부르지 않는다. 당연히 명칭은 종착역인 전대·에버랜드역에서 따왔다.

안내방송은 의정부경전철서울메트로 진입 안내방송을 담당하고 있는 박형욱 성우와 제니퍼 클라이드이다.

역사

이 문서의 본문은 용인경전철/역사 항목입니다.

2014년 1월 6일, 4대 용인시장이자 용인 경전철을 추진한 이정문 전 용인시장에게 징역 1년에 추징금 1만 달러 실형이 대법원에서 확정되었다.[1]

2015년 3월 31일에 하루 승객이 3만명이 넘었다! 하지만 이는 경기개발연구원이 용역보고서에서 제시한 예상승객(16만명)의 18.7%뿐이다. [2]

용인시가 3년만에 용인 경전철 부채를 갚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3]

요금

수도권 통합 요금이 적용되며, 기본요금은 1450원으로 수도권 전철 기본요금 1250원에 별도로 200원이 추가되는 방식이다. 10km 초과 시 5km마다 100원씩 추가요금이 부과되며, 65세 이상은 무료이고, 청소년은 20%, 어린이는 50% 할인이 된다.
수도권 전철용 정기권도 1구간용부터 사용 가능하다.

운영 방식

수익형 민자사업(BTO)로 진행되었다. 캐나다의 봉바르디에 사가 주축이 된 용인경전철주식회사 컨소시엄이 건설한 후 용인시에 제공하되, 용인시에서는 30년간 경전철의 운영권을 용인경전철주식회사에 주는 방식이다.

문제점

용인시 최대 골칫거리
부유한 지방자치단체였던 용인시가 재정난을 겪게 된 원인들 중 하나.[4]
잘못된 자치단체장과 부패한 공무원들의 폐해를 한번에 보여주는 용인시의 재앙.
중전철을 대신하는 친환경 저비용 교통수단으로 각광받았던 고가 경전철의 이미지를 시궁창에 빠뜨린 원흉.


용인시의 인구가 98만명이지만, 이 노선이 커버하는 지역은 용인시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난개발로 악명높고, 인구많은 수지구는 아예 지나지 않고, 대규모 아파트가 있는 기흥구의 구성지구 등도 안 지나간다. 동백지구는 지나가기는 하는데 남쪽 끄트머리를 지나가는 거라 지나간다고 하기 좀 애매하다. 결국, 경전철의 대부분은 용인시의 구 중 인구가 제일 적은 처인구를 지나간다. 하지만, 처인구의 인구의 문제라기보다는, 노선이 좀 돌아가기 때문에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더 크다. 게다가 역 위치 자체가 접근성이...

역 목록

용인경전철 역 목록
역번호 km 역명 승강장 환승 소재지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Y110 0.0 기 흥 器 興 ■│■│■ 분당선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Y111 1.0 강남대 江南大 ■││■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Y112 1.1 지 석 支 石 ■││■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Y113 1.0 어 정 御 井 ■││■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Y114 1.2 동 백 東 栢 ■││■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Y115 1.1 초 당 草 堂 ■││■
삼가차량사업소 처인구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Y116 2.6 삼 가 三 街 ■││■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Y117 1.4 시청·용인대 市廳·龍仁大 ■││■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Y118 1.0 명지대 明知大 ■││■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Y119 0.8 김량장 金良場 ■││■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Y120 1.0 운동장·송담대 運動場·松潭大 ■││■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Y121 0.9 고 진 古 陳 ■││■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Y122 1.8 보 평 洑 坪 ■││■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Y123 1.0 둔 전 屯 田 ■││■
style="background-color: 틀: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Y124 2.6 전대·에버랜드 前垈·에버랜드 ■││■

각주

틀:대한민국의 지하철 및 경전철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