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시: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산업)
64번째 줄: 64번째 줄:


== 산업 ==
== 산업 ==
{{빈 문단}}
=== 농업 ===
서산은 기본적으로 산화철 성분이 풍부한 나머지 누렇다 못해 붉기까지한 적토지대로서, 수분과 유기양분을 잘 붙들고 있지 못하는데다 기반암이 풍화되면서 남긴 잔돌이 많아 토질이 매우 거칠기 때문에 밭작물로는 거친 환경과 토질을 잘 버티는 생강이 많이 재배되고 있는 실정이다. 돌을 꼼꼼하게 골라내어 고운 토질을 조성한 뒤 파나 고추 등의 밭작물을 재배하는 경우도 있으나 상업적 재배라기엔 규모가 영세한 자급자족용 텃밭 수준이다. 다만 일조시수 자체는 양호한 덕에 팔봉산 일대에서는 지형을 활용한 육쪽마늘과 감자의 상업적 재배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구릉지대 치고는 기복이 적은 편인 음암에서도 양질의 취식용 고구마가 생산되고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현재 서산의 대세는 다른 내포지역과 마찬가지로 논에서 재배하는 벼농사이다. 비록 기반토양이 거침에도 불구하고 서산 또한 다른 내포지역과 마찬가지로 해안의 간척이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엄청나게 많은 갯벌이 논으로 바뀌어서, 해마다 엄청나게 넓은 농토에서 엄청나게 많은 쌀을 생산한다. 차이점이 있다면 서산의 대규모 논은 시내동 지구에서도 매우 흔하게 볼수있다는 것이다. 과장 좀 보태서 서산시내의 최신 고층아파트들은 죄다 논에 포위되어있는 것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서산을 처음 찾아온 방문객들에게 피치못하게 친환경(?)스러운 위화감을 선사한다. 그리고 그 논들이 지평선을 이뤄서 기어코 수십km 떨어진 안면도 옆의 간월도까지 이어지는걸 보면 질릴 정도다.
 
가야산을 끼고있는 운산과 해미를 제외한다면 산이 별로 없어서 흐르는 물이 귀한 탓에, 간척평야의 벼농사는 방조제 안쪽의 낮은 민물을 공공펌프로 퍼올려 관개수로로 대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관개수로는 수압 확보를 위해 좀 높이 지어지기도 해서 마치 로마제국의 수도교같은 인상도 준다. 양수기로 시냇물을 직접 퍼올려서 논에 물을 대는 것은 영세 농가에 한한다.


== 군사 ==
== 군사 ==

2022년 9월 20일 (화) 18:34 판

서산
Korea-Seosan-Sea on the ebb-01.jpg
지역 정보
종류
시장 맹정호
국회의원 성일종
행정구역 1 읍, 5 행정동, 14 법정동, 9 면
인구 174,801 명 (2020년 기준)
면적 740.79 km2
기타 정보
상징 소나무 (나무)
국화 (꽃)
까치 (새)
웹사이트 서산시청

서산시(瑞山市, Seosan City)는 대한민국 서해안의 태안반도 중심에 위치한 도시이다. 인구는 약 17만 명으로 면적은 739.15km²이다. 원래는 수많은 섬과 드넓은 갯벌로 이루어져 다른 읍성과의 왕래가 어려운 벽지였으므로 한 고집 한다는 사람들(...)의 유배지로 이름높았으나 현재는 지역균형개발의 본격적인 후발주자이자 내포권 제1의 도시이다. 사실 누구나 다 알다시피 서쪽에 있는 산이 아니라 상서로울 瑞 자에 뫼 山, 상서로운 산이란 뜻이다.

서산과 그 주변쪽의 사투리로는 '시절' 이 있다. 의미는 대략 '바보, 한심한 놈'이란 뜻이다. [1]

90년대의 폭발적 성장에 이어 대형 첨단산업단지와 아파트단지가 추가로 유치되면서 성장동력을 장기간 유지할 전도 유망한 내포권 도시이다.

역사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도시구조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지리

위의 표를 보자. 일단 땅이 더럽게 넓다. 시내 부분에 많은 건물이 밀집되어 있는데 그래봐야 별 것도 없다. 요즈음에는 대산항 근처가 개발된다카더라.[2] 다시 말하지만 땅이 더럽게 넓어서 전투비행장도 크게 짓고, 2군 구장도 크게 짓는 땅만 더럽게고 기차도 안다니는은 도시이다.

서산을 갈 일이 있다면 아무나 붙잡고 물어보자. 3년 이내에 그 더럽게 넓은 서산 땅을 구석구석 다 돌아다닌 잉여사람은 보기 드물 것이다.

지형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기후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스포츠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특산물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산업

농업

서산은 기본적으로 산화철 성분이 풍부한 나머지 누렇다 못해 붉기까지한 적토지대로서, 수분과 유기양분을 잘 붙들고 있지 못하는데다 기반암이 풍화되면서 남긴 잔돌이 많아 토질이 매우 거칠기 때문에 밭작물로는 거친 환경과 토질을 잘 버티는 생강이 많이 재배되고 있는 실정이다. 돌을 꼼꼼하게 골라내어 고운 토질을 조성한 뒤 파나 고추 등의 밭작물을 재배하는 경우도 있으나 상업적 재배라기엔 규모가 영세한 자급자족용 텃밭 수준이다. 다만 일조시수 자체는 양호한 덕에 팔봉산 일대에서는 지형을 활용한 육쪽마늘과 감자의 상업적 재배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구릉지대 치고는 기복이 적은 편인 음암에서도 양질의 취식용 고구마가 생산되고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현재 서산의 대세는 다른 내포지역과 마찬가지로 논에서 재배하는 벼농사이다. 비록 기반토양이 거침에도 불구하고 서산 또한 다른 내포지역과 마찬가지로 해안의 간척이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엄청나게 많은 갯벌이 논으로 바뀌어서, 해마다 엄청나게 넓은 농토에서 엄청나게 많은 쌀을 생산한다. 차이점이 있다면 서산의 대규모 논은 시내동 지구에서도 매우 흔하게 볼수있다는 것이다. 과장 좀 보태서 서산시내의 최신 고층아파트들은 죄다 논에 포위되어있는 것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서산을 처음 찾아온 방문객들에게 피치못하게 친환경(?)스러운 위화감을 선사한다. 그리고 그 논들이 지평선을 이뤄서 기어코 수십km 떨어진 안면도 옆의 간월도까지 이어지는걸 보면 질릴 정도다.

가야산을 끼고있는 운산과 해미를 제외한다면 산이 별로 없어서 흐르는 물이 귀한 탓에, 간척평야의 벼농사는 방조제 안쪽의 낮은 민물을 공공펌프로 퍼올려 관개수로로 대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관개수로는 수압 확보를 위해 좀 높이 지어지기도 해서 마치 로마제국의 수도교같은 인상도 준다. 양수기로 시냇물을 직접 퍼올려서 논에 물을 대는 것은 영세 농가에 한한다.

군사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사건사고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출신 인물

각주

  1. 정확히 하면 내포 사투리라고 해도 될 것이다.
  2. 완전히 카더라는 아니라카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