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계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8명의 중간 판 11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배경색 = gray
|이름    = 석계
|글자색 = white
|원어이름 =
|역명 = <big>석계역</big><br />Seokgye Station
|배경색   = gray
|그림 =
|글자색   = white
|관할 = [[한국철도공사]] (KORAIL)<br/>[[서울교통공사]]
|그림    =
|그림설명 =
|그림alt  =
|주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노원구]]
|번호    =  
|노선    = [[경원선]] <small>17.1 km</small><br />[[서울 지하철 6호선]] <small>32.7 km</small>
|관할     = [[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
|폐지일  =
|코드    =
|승강장  =
|관련역  =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
{{+1|석계역}}<br />石溪驛 / Seokgye Station


== 개요 ==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서울)|화랑로]] 341(舊 [[월계동 (서울)|월계동]] 36-4번지)과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지하 347-1(舊 월계동 25-2번지)에 위치한 지상(선하역)-지하 환승역. 이름은 [[성북구]] [[석관동]]의 석(石) 자와 [[노원구]] 월계동의 계(溪) 자를 합친 것이다. 실제로 역이 두 동에 걸쳐있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341(舊 [[월계동 (서울)|월계동]] 36-4번지)과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지하 347-1(舊 월계동 25-2번지)에 위치한 지상(선하역)-지하 환승역. 이름은 [[성북구]] [[석관동]]의 석(石) 자와 [[노원구]] 월계동의 계(溪) 자를 합친 것이다. 실제로 역이 두 동에 걸쳐있다.


== 역 구조 ==
== 역사 ==
=== 한국철도공사 ===
* 1992년 11월 6일: 6호선 역명을 '''석계'''로 결정<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2110700239121010&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2-11-07&officeId=00023&pageNo=21&printNo=22162&publishType=00010 지하철(6-7호선)驛名(역명) 확정], 조선일보</ref>
* 2000년 8월 7일: 6호선 [[상월곡역|상월곡]]~[[봉화산역|봉화산]] 구간 개통
 
== 시설 ==
=== 1호선 ===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2|KR}}
|이름    = 석계
|글자색 = white
|원어이름 =
|상단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역명 = KORAIL 석계역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     =  
|역번호 = {{역번호/한국|120|SM|1}}
|그림설명 =  
|역코드 =
|그림alt  =  
|주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화랑로]] 341
|주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화랑로 (서울)|화랑로]] 341
|개업일 = {{날짜/출력|1985-1-14}}
|번호    = {{역번호/한국|120|수도권|1}}
|폐지일 =
|노선    = [[경원선]] <small>17.1 km</small>
|관할 = [[한국철도공사]] (KORAIL)
|관할     =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승강장 = 1면 2선
|개업일  = [[1985년]] [[1월 14일]]
|운임구역 =  
|폐지일  =
|이용객 =
|코드    =
|노선 = [[경원선|경원본선]] <small>17.1 km</small>
|승강장   = 1면 2선
|관련역  =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섬식 승강장]]으로는 유일하게 확장공사를 한 적 있는 역이다. [[망우선]] 선로가 경원선 선로와 나란히 놓여 있지만 [[경춘선]] 열차는 이 역에 승강장이 없어 다음역인 [[광운대역]]에 열차가 정차한다.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섬식 승강장]]으로는 유일하게 확장공사를 한 적 있는 역이다. [[망우선]] 선로가 경원선 선로와 나란히 놓여 있지만 [[경춘선]] 열차는 이 역에 승강장이 없어 다음역인 [[광운대역]]에 열차가 정차한다.


<div>
{{철도승강장|구조=
{| class="wikitable" style="width: 40em; line-height: 120%; font-size: 85%;"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경원선]] [[광운대역|광운대]]  
|-
}}
| style="border-top: 2px solid black; border-bottom: 2px solid black; text-align: right;" | [[경원선|경원본선]] [[광운대역|광운대]] 방면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승강장 번호=1번|승강장 정보='''1호선''' [[광운대역|광운대]] · [[의정부역|의정부]] · [[소요산역|소요산]] 방면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1}};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border: 2px solid black; " | [[광운대역|<span style="color: white;">광운대</span>]] · [[의정부역|<span style="color: white;">의정부</span>]] · [[소요산역|<span style="color: white;">소요산</span>]] 방면 | '''1번 승강장'''<br />'''2번 승강장''' | [[서울역|<span style="color: white;">서울역</span>]] · [[인천역|<span style="color: white;">인천</span>]] · [[서동탄역|<span style="color: white;">서동탄</span>]]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승강장 번호=2번|승강장 정보='''1호선''' [[서울역|서울역]] · [[인천역|인천]] · [[서동탄역|서동탄]] 방면
|-
}}
| style="border-top: 2px solid black; border-bottom: 2px solid black; text-align: left;" | ← [[경원선|경원본선]] [[신이문역|신이문]] 방면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경원선]] [[신이문역|신이문]]
|-
}}
|}
}}
</div>
{{-}}
{{-}}
=== 서울교통공사 ===
=== 서울교통공사 ===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2|ST}}
|이름    = 석계
|글자색 = white
|원어이름 =
|상단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
|역명 = 서울교통공사 석계역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     =  
|역번호 = {{역번호/한국|644|ST|6}}
|그림설명 =  
|역코드 =  
|그림alt  =  
|주소 =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지하347-1
|주소     =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지하347-1
|개업일 = {{날짜/출력|2000-8-7}}
|번호    = {{역번호/한국|644|수도권|6}}
|폐지일 =
|노선    = [[서울 지하철 6호선]] <small>32.7 km</small>
|관할 = [[서울교통공사]]
|관할     = [[서울교통공사]]
|승강장 = 2면 2선
|개업일  = [[2000년]] [[8월 7일]]
|운임구역 =  
|폐지일  =
|이용객 =
|코드    =
|노선 = [[서울 지하철 6호선]] <small>32.7 km</small>
|승강장   = 2면 2선
|관련역  =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div>
{{철도승강장|구조=
{| class="wikitable" style="width: 40em; line-height: 120%; font-size: 85%;"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6}} |승강장 번호=상행|승강장 정보='''6호선''' [[동묘앞역|동묘앞]] · [[삼각지역|삼각지]] · [[응암역|응암]] 방면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T|6}};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border: 2px solid black;" | '''상행 승강장''' | [[동묘앞역|<span style="color: white;">동묘앞</span>]] · [[삼각지역|<span style="color: white;">삼각지</span>]] · [[응암역|<span style="color: white;">응암</span>]] 방면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서울 지하철 6호선]] [[돌곶이역|돌곶이]]
|-
}}
| style="border-top: 2px solid black; border-bottom: 2px solid black; text-align: left;" | ← [[서울 지하철 6호선]] [[돌곶이역|돌곶이]] 방면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서울 지하철 6호선]] [[태릉입구역|태릉입구]] →
|-
}}
| style="border-top: 2px solid black; border-bottom: 2px solid black; text-align: right;" | [[서울 지하철 6호선]] [[태릉입구역|태릉입구]]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6}} |승강장 번호=하행|승강장 정보='''6호선''' [[태릉입구역|태릉입구]] · [[화랑대역|화랑대]] · [[신내역|신내]] 방면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T|6}};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border: 2px solid black;" | [[태릉입구역|<span style="color: white;">태릉입구</span>]] · [[화랑대역|<span style="color: white;">화랑대</span>]] · [[봉화산역|<span style="color: white;">봉화산</span>]] 방면 | '''하행 승강장'''
}}
|-
|}
</div>
{{-}}
{{-}}
=== 환승 정보 ===
=== 환승 정보 ===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87번째 줄: 109번째 줄:
! colspan="4" | 목적지
! colspan="4" | 목적지
|-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1}}; color: white;" | 1호선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호선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T|6}}; color: white;" | 6호선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6}}; color: white;" | 6호선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1}}; color: white;" | 소요산<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소요산<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1}}; color: white;" | 인천 · 신창<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인천 · 신창<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T|6}}; color: white;" | 응암<br />순환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6}}; color: white;" | 응암<br />순환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T|6}}; color: white;" | 봉화산<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6}}; color: white;" | 신내<br />방면
|-
|-
! rowspan="4" | 출발지
! rowspan="4" | 출발지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1}}; color: white;" | 1호선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호선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1}}; color: white;" | 소요산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소요산 방면
| -
| -
| ''섬식''
| '''모든 문'''
| colspan="2" | 10-4
| colspan="2" | 10-4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1}}; color: white;" | 인천 · 신창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인천 · 신창 방면
| ''섬식''
| '''모든 문'''
| -
| -
| colspan="2" | 1-1
| colspan="2" | 1-1
|-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T|6}}; color: white;" | 6호선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6}}; color: white;" | 6호선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T|6}}; color: white;" | 응암 순환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6}}; color: white;" | 응암 순환
| colspan="2" | 4-3
| colspan="2" | 4-3
| -
| -
| 4-3
| 4-3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T|6}}; color: white;" | 봉화산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6}}; color: white;" | 신내 방면
| colspan="3" | 5-2
| colspan="3" | 5-2
| -
| -
124번째 줄: 146번째 줄:
[[광운대학교]] 학생이라면 이 역에서 [[광운대학교]] 정문으로 가는 셔틀버스를 탑승할 수 있다.
[[광운대학교]] 학생이라면 이 역에서 [[광운대학교]] 정문으로 가는 셔틀버스를 탑승할 수 있다.


역 주변의 도로가 꽤나 특이한데, 역 위로 [[북부간선도로]]와 [[화랑로]]가 지나고, 화랑고가차도에서 빠진 도로가 석계역 남쪽 부분을 지하로 통과한다.<br/>
역 주변의 도로가 꽤나 특이한데, 역 위로 [[북부간선도로]]와 [[화랑로 (서울)|화랑로]]가 지나고, 화랑고가차도에서 빠진 도로가 석계역 남쪽 부분을 지하로 통과한다.
[[파일:Seokgye Station Map.png|600px|섬네일|가운데]] (참고로 실제로는 북부간선도로의 석계역 서쪽 부분 밑에 바로 화랑로가 있지만, 평면 지도의 한계상 북부간선도로에서 살짝 벗어나 그려져있다.)
 
</br>
이런 덕분에 이 인근 도로는 늘상 헬게이트가 연출된다. 인근의 [[동부간선도로]]로 들어가는 차량, [[구리시|구리]], [[남양주시|남양주]]에서 들어오는 차량, 동부간선도로에서 들어오는 차량들이 엉키는데다 화랑고가차도에서 내려오는 차들까지 꼬여들면서 극심한 정체가 빚어진다. 이 역을 회차점으로 삼는 버스노선도 한둘이 아닌 상황. 거기에다가 화랑로를 타고 들어온 버스들이 회차해 나가는 신호주기가 대기시간에 비해 좌회선 신호가 지나치게 짧고, 다른 직진차량이 차선을 하나 먹고 있는 경우가 발생하면 답이 나오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여기에다 간혹 [[태릉입구역]] 사거리의 정체가 길어지면서 그 정체가 월릉교를 넘어서 석계역 인근의 정체와 합쳐지면 그야말로 답이 안나오는 상황이 빚어지기도 한다.
이런 덕분에 이 인근 도로는 늘상 헬게이트가 연출된다. 인근의 [[동부간선도로]]로 들어가는 차량, [[구리시|구리]], [[남양주시|남양주]]에서 들어오는 차량, 동부간선도로에서 들어오는 차량들이 엉키는데다 화랑고가차도에서 내려오는 차들까지 꼬여들면서 극심한 정체가 빚어진다. 이 역을 회차점으로 삼는 버스노선도 한둘이 아닌 상황. 거기에다가 화랑로를 타고 들어온 버스들이 회차해 나가는 신호주기가 대기시간에 비해 좌회선 신호가 지나치게 짧고, 다른 직진차량이 차선을 하나 먹고 있는 경우가 발생하면 답이 나오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여기에다 간혹 [[태릉입구역]] 사거리의 정체가 길어지면서 그 정체가 월릉교를 넘어서 석계역 인근의 정체와 합쳐지면 그야말로 답이 안나오는 상황이 빚어지기도 한다.  


== 사건 · 사고 ==
== 사건 · 사고 ==
{{날짜/출력|2015-11-9}} 1호선 역에 정차한 인천행 열차의 차량고장으로 인천행, 병점행, 천안・신창행 열차가 지연 운행되었다. 광운대역행과 청량리행 등 기타 계통, 6호선은 정상 운행되었다.
[[2015년]] [[11월 9일]] 1호선 역에 정차한 인천행 열차의 차량고장으로 인천행, 병점행, 천안・신창행 열차가 지연 운행되었다. 광운대역행과 청량리행 등 기타 계통, 6호선은 정상 운행되었다.


== 경유 노선 ==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닫기=닫음|style=width: 45em;}}
{{경유 노선/열기}}
{{경유 노선/관할|배경색={{한국 철도 노선색2|KR}}|글자색=white|관할=한국철도공사 (KORAIL)|링크=한국철도공사}}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한국 철도 노선색2|KR}}|글자색=white
|노선명=305 [[경원선]]|노선거리=17.1 km
|노선폭=11em|노선명=205 경원본선|노선링크=경원선|노선거리=17.1 km
|전방면=[[용산역|용산]] 방면|전역=[[신이문역|신이문]]|전거리=1.4 km
|전역폭=10em|전방면=[[용산역|용산]] 방면|전역=[[신이문역|신이문]]|전거리=1.4 km
|당역폭=8em|당역='''석계'''
|후역폭=12em|후방면=[[백마고지역|백마고지]] 방면|후역=[[광운대역|광운대]]|후거리=1.1 km}}
{{경유 노선/관할|배경색={{한국 철도 노선색2|ST}}|글자색=white|관할=서울교통공사|링크=서울교통공사}}
{{경유 노선|배경색={{한국 철도 노선색2|ST}}|글자색=white
|노선명=서울 지하철 6호선|노선링크=서울 지하철 6호선|노선거리=32.7 km
|전방면=[[응암역|응암]] 순환|전역=[[돌곶이역|돌곶이]]|전거리=1.0 km
|당역='''석계'''
|당역='''석계'''
|후방면=[[봉화산역|봉화산]] 방면|후역=[[태릉입구역|태릉입구]]|후거리=0.8 km}}
|후방면=[[백마고지역|백마고지]] 방면|후역=[[광운대역|광운대]]|후거리=1.1 km}}
{{경유 노선/닫기}}
{{경유 노선/닫기}}


=== 수도권 전철 ===
== 경유 열차 ==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계통|배경색={{한국 철도 노선색2|SM|1}}|글자색=white|계통=수도권 전철 1호선|링크=수도권 전철 1호선}}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글자색=white|계통=[[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경유 계통|전역폭=15em|전방면=[[소요산역|소요산]] 방면|전역={{역번호/한국|119|SM|1}} [[광운대역|광운대]]|전거리=1.1 km
{{경유 계통|전방면=[[소요산역|소요산]] 방면|전역={{역번호/한국|119|수도권|1}} [[광운대역|광운대]]|전거리=1.1 km
|당역폭=9em|당역={{역번호/한국|120|SM|1}} '''석계'''|등급=
|당역={{역번호/한국|120|수도권|1}} '''석계'''|등급=
|후역폭=15em|후방면=[[인천역|인천]] · [[신창역|신창]] 방면|후역={{역번호/한국|121|SM|1}} [[신이문역|신이문]]|후거리=1.4 km}}
|후방면=[[인천역|인천]] · [[신창역|신창]] 방면|후역={{역번호/한국|121|수도권|1}} [[신이문역|신이문]]|후거리=1.4 km}}
{{경유 계통/계통|배경색={{한국 철도 노선색2|ST|6}}|글자색=white|계통=서울 지하철 6호선|링크=서울 지하철 6호선}}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6}}|글자색=white|계통=[[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
{{경유 계통|전방면=[[응암역|응암]] 순환|전역={{역번호/한국|643|ST|6}} [[돌곶이역|돌곶이]]|전거리=1.0 km
{{경유 계통|전방면=[[응암역|응암]] 순환|전역={{역번호/한국|643|수도권|6}} [[돌곶이역|돌곶이]]|전거리=1.0 km
|당역={{역번호/한국|644|ST|6}} '''석계'''
|당역={{역번호/한국|644|수도권|6}} '''석계'''
|후방면=[[봉화산역|봉화산]] 방면|후역={{역번호/한국|645|ST|6}} [[태릉입구역|태릉입구]]|후거리=0.8 km}}
|후방면=[[신내역|신내]] 방면|후역={{역번호/한국|645|수도권|6}} [[태릉입구역|태릉입구]]|후거리=0.8 km}}
{{경유 계통/닫기}}
{{경유 계통/닫기}}


{{각주}}
{{각주}}


[[분류:경원선]][[분류:서울 지하철 6호선]]
[[분류:경원선]][[분류:서울 도시철도 6호선]]
[[분류:수도권 전철 1호선]]
[[분류:서울특별시에 있는 철도역]]
[[분류:서울특별시의 철도역]]
 
[[분류:전철역]]
{{리브레 맵스 마커|37.61467017461374|127.06581115722656|14|석계역}}

2024년 1월 19일 (금) 02:36 기준 최신판

석계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노원구
노선 경원선 17.1 km
서울 지하철 6호선 32.7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341(舊 월계동 36-4번지)과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지하 347-1(舊 월계동 25-2번지)에 위치한 지상(선하역)-지하 환승역. 이름은 성북구 석관동의 석(石) 자와 노원구 월계동의 계(溪) 자를 합친 것이다. 실제로 역이 두 동에 걸쳐있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1992년 11월 6일: 6호선 역명을 석계로 결정[1]
  • 2000년 8월 7일: 6호선 상월곡~봉화산 구간 개통

시설[편집 | 원본 편집]

1호선[편집 | 원본 편집]

석계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화랑로 341
번호  120 
노선 경원선 17.1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개업일 1985년 1월 14일
승강장 1면 2선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섬식 승강장으로는 유일하게 확장공사를 한 적 있는 역이다. 망우선 선로가 경원선 선로와 나란히 놓여 있지만 경춘선 열차는 이 역에 승강장이 없어 다음역인 광운대역에 열차가 정차한다.

서울교통공사[편집 | 원본 편집]

석계
주소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지하347-1
번호  644 
노선 서울 지하철 6호선 32.7 km
관할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2000년 8월 7일
승강장 2면 2선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환승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수도권 전철 환승 정보
목적지
1호선 6호선
소요산
방면
인천 · 신창
방면
응암
순환
신내
방면
출발지 1호선 소요산 방면 - 모든 문 10-4
인천 · 신창 방면 모든 문 - 1-1
6호선 응암 순환 4-3 - 4-3
신내 방면 5-2 -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역 주변은 주거지역이며, 석계역 문화공원 밑으로 우이천이 흐르고, 중랑천과 합류한다.

광운대학교 학생이라면 이 역에서 광운대학교 정문으로 가는 셔틀버스를 탑승할 수 있다.

역 주변의 도로가 꽤나 특이한데, 역 위로 북부간선도로화랑로가 지나고, 화랑고가차도에서 빠진 도로가 석계역 남쪽 부분을 지하로 통과한다.

이런 덕분에 이 인근 도로는 늘상 헬게이트가 연출된다. 인근의 동부간선도로로 들어가는 차량, 구리, 남양주에서 들어오는 차량, 동부간선도로에서 들어오는 차량들이 엉키는데다 화랑고가차도에서 내려오는 차들까지 꼬여들면서 극심한 정체가 빚어진다. 이 역을 회차점으로 삼는 버스노선도 한둘이 아닌 상황. 거기에다가 화랑로를 타고 들어온 버스들이 회차해 나가는 신호주기가 대기시간에 비해 좌회선 신호가 지나치게 짧고, 다른 직진차량이 차선을 하나 먹고 있는 경우가 발생하면 답이 나오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여기에다 간혹 태릉입구역 사거리의 정체가 길어지면서 그 정체가 월릉교를 넘어서 석계역 인근의 정체와 합쳐지면 그야말로 답이 안나오는 상황이 빚어지기도 한다.

사건 · 사고[편집 | 원본 편집]

2015년 11월 9일 1호선 역에 정차한 인천행 열차의 차량고장으로 인천행, 병점행, 천안・신창행 열차가 지연 운행되었다. 광운대역행과 청량리행 등 기타 계통, 6호선은 정상 운행되었다.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용산 방면
신이문 1.4 km
석계 백마고지 방면
광운대 1.1 km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1호선
소요산 방면
 119  광운대
 120  석계 인천 · 신창 방면
 121  신이문
6호선
응암 순환
 643  돌곶이
 644  석계 신내 방면
 645  태릉입구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