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16 팰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주석을 주석 틀로 변경)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19명의 중간 판 8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File:F16A FAP refuel KC-10.jpg|550px]]
{{항공기 정보
|이름    = 제너럴 다이내믹스 F-16 팰콘
|원어이름 =
|그림    = [[파일:F-16 Fighting Falcon.jpg|250픽셀]]
|그림설명 =
|종류    = 전투기
|제조    = 제너럴 다이내믹스<br />록히드 마틴
|설계    = 제너럴 다이내믹스
|운영    = {{나라|미국}} 등
|첫비행  =
|생산연도 = [[1973년]] ~ {{현재년}}년 현재
|사용연도 = [[1978년]] ~ {{현재년}}년 현재
|생산량  = 4,600대 이상
|정원    =
|엔진    = F100-PW-200 (Block 25까지, 15 OCU 제외)<br />F100-PW-220/220E (Block 15 OCU, 32, 42)<br />F110-GE-100 (Block 30, 40)<br />F110-GE-129 (Block 50)<br />F100-PW-229 (Block 52)<br />F110-GE-132(Block 60)
|출력    = 131 kN (29,400 lbf, F110-GE-129)
|속도    = Mach 2
|무장    = 공대공: [[AIM-7 스패로]]·[[AIM-9 사이드와인더]]·[[AIM-120 암람]]<br />Mk 80 시리즈 폭탄·CBU 계열 집속탄·[[JDAM]]·페이브웨이 레이저 유도폭탄 등<br />기총: [[M61 벌칸]]
|길이    = 15.06 m
|폭      = 9.96 m
|높이    = 4.88 m
|비고    =
}}


[[File:YF-16 and YF-17 in flight.jpg|550px]]
'''General Dynamics / Lockheed Martin F-16 Fighting Falcon'''
*F-16의 [[프로토타입]] YF-16과 [[F-18]]의 프로토타입 YF-17의 시험비행.


 
'''제너럴 다이나믹스 / 록히드 마틴 F-16 파이팅 팰콘'''
[[File:F-16 Fighting Falcons above New York City.jpg|550px]]
*[[뉴욕 시]] 상공을 비행하는 [[미군|미 공군]] 선더버드 [[곡예비행단]]의 F-16 편대. 뒤로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이 보인다.
 
== 개요 ==
과거 [[제너럴 다이너믹스]]항공사업부가 개발하고 현 [[록히드 마틴]]사가 [[생산]]중인 멀티롤 전투기. 서방권에서 [[F-4]]다음으로 많이 생산된 전투기로, 전체 전투기중에서는 세번째로 많은 생산이 이루어졌다.


== 개발 배경 ==
== 개발 배경 ==
예산 좀 줄이라는 의회의 압박<del>협박</del>을 받은 미 공군이 F-15의 보조로서 경전투기 개발 사업을 벌였고, 이에 F-18의 원형이 되는 YF-17와 YF-16이 나와 경합을 펼치게 되지만 미 공군은 YF-16의 손을 들어 주었고, YF-17은 나가리가 되었다.<del>그리고 해군이 주워먹는다.</del> 이후 [[1972년]] 시작기가 제작된 이후 [[1976년#12월|1976년 12월]] 에 최초 비행이 성공하고 [[1979년#1월|1979년 1월]] 실전배치 되었다. 별명은 Fighting Falcon, 개발 도중에 불리던 별명인 Viper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베트남전 당시 [[미사일 만능주의]]에 젖은 [[미국 공군]]과 [[미국 해군]]은 그 모토를 충실히 따르는 [[F-4]]팬텀을 투입하였으나, 여러가지 이유로 인하여 고전을 면치 못하였다.<ref>이는 베트남전 당시 교전규칙이 [[미사일 만능주의]]와 상충되는 탓이 컸으며, 더불어서 실제 교환비도 1:4정도로 교환비 자체만 보면 압도적이었다. 문제는 [[한국전쟁]]당시 교환비는 1:10정도 되었다는거</ref> 여기에 더불어서 신예기인 [[F-15]]는 그 가격이 지나치게 상승하였고, 그 때문에 실제 목표 수량으로 정수를 채우는 것이 불가능할뿐더러 [[NATO]]등의 [[동맹국]]들에게 제공할만한 전투기가 필요했다.
== 특징 ==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파일:F-35 Divertless Supersonic Inlet F-16.jpg|실험 초음속 포구
파일:F16 Cockpit, Asian Aerospace 2006.JPG|F-16의 시뮬레이터 조종석
</gallery>
F-16 전투기는 전자식 조종 방식인 플라이 바이 와이어(Fly by wire) 조종 시스템을 항공기 중 최초로 채택했다. 항공기의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대형화되면서, 조종사의 힘과 감각으로 작동시키는 기계식 조종 시스템은 한계에 부딪히게 된다.  결국, 보다 조종이 용이한 전자식 조종 방식이 개발된다. 전자식 조종 방식인 플라이 바이 와이어는 항공기를 기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전기 신호와 컴퓨터로 제어한다. 또한 기계적 조종 시스템과 달리 구조적으로 가볍고 간단하면서도, 컴퓨터의 도움으로 인간 감각의 한계를 넘는 기동성을 가능케 한다.


특히나 [[바르샤바 조약기구]]의 주력기종인 [[MiG-19]], [[MiG-21]]은 염가형 전투기였고, 이들을 잡기 위해 [[F-15]]가 투입된다는 것은 극히 비효율적인 일이었기 때문에 이런 염가형 전투기를 잡기 위해서 시작된 프로젝트가 바로 LWF였고, 여기에는 [[제너럴 다이너믹스]]의 YF-16과 [[맥도널 더글러스]]의 YF-17 두개의 기종이 경쟁을 하기에 이른다. 이 과정에서 [[미국 공군]]에 채택된것은 YF-16이고, YF-17은 이대로 묻히는가 싶었지만 [[미국 해군]]에서 확대버전을 채용, 현재의 [[F/A-18]]이 된다. 본래는 체계[[통합]]을 위해 하나로 하고자 하였지만, [[미국 해군]]이 안전성을 이유로 하여 다른 기종을 선택하게 된다.<ref>이미 미 해군은 당시에 [[F-8]]등의 단발기를 잘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단발기의 위험성은 이유가 되지 않는다</ref>
F-16 전투기 기체의 외형은 동체와 주익이 부드러운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블렌디드 윙 바디(Blended Wing Body)스타일로 설계되었다. 이 설계를 통해 공기저항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기체 내부에 많은 연료를 탑재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F-15에 장착되는 것과 동일한 엔진을 사용하므로 기체의 크기에 비해 강력한 추력을 발휘할 수 있어서 기동성과 폭장량이 높은 편이다.


== 특징 ==
== 개량 ==
가장 큰 특징은, 목표로 하는 상대가 [[MiG-19]], [[MiG-21]]이므로 최대한 가격상승을 억제하고, 근접전에서의 기동성을 우수하게 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결과적으로 [[F-15]]를 보조하는 전투기가 되었으며 이후 [[F-15]]가 하지 않는 임무들을 나누어 가짐에 따라 후기형으로 갈수록 수행하는 임무가 많아졌다. 초기에는 일부 [[F-4]]와 [[F-106]]을 대체하였으나, 이후에는 [[센추리 시리즈]]의 대부분을 교체하고, 전성기의 [[미국 공군]]에서는 가용 전투기의 3분의 2이상을 차지하기도 하였다. 현재는 노후화와 군축 문제로 그 수가 많이 줄어든 상황.
[[1972년]]에 첫 시작기가 만들어진 기체로서, 시간이 흐르면서 새로운 전자장비와 무장을 통합하는 등 미국 공군의 요구로 꾸준한 개량이 진행되었고, 앞으로도 수출형으로 컨포멀 연료탱크와 AESA 위상배열레이다를 장착하는 첨단사양의 기체가 수출이 계약되어 있을만큼 수요처가 많은 상황이다.
[[파일:Norwegian f-16b in-flight refuelling.jpg|thumb|220px| [[공중급유]]를 시도하는<br />노르웨이 공군의 ''F-16B'']]


현재 후계기로 [[F-35]]가 나와 있는 상황이지만 아직 실전배치는 되지 않고 있으며, [[2015년]] 현재에도 [[이라크 공군]]용 등으로 계속해서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초의 기체가 [[1973년]]에 만들어졌다는 점을 생각하면 꽤나 장수하고 있는 셈.
=== F-16 original ===
;Block 1
: 초기 양산형 F-16은 시제기를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 파생형 ==
=== F-16 A/B ===
=== F-16 A/B ===
현재 오리지널 상태의 A/B형은 존재하지 않으며, 대부분이 개조되어서 기존의 형태를 보유하고 있지 않고 있다. 그나마도 상당수가 기령문제로 퇴역하였으며, 현재 운영되고 있는 세력은 소수에 불과하다. 475대 생산.
;  Block 1
: 94기가 생산되는 원형기이다.


* Block 1은 최초의 양산형이다. 최초의 양산형 기체넘버는 #78-0001로, [[1991년]]에 퇴역하여 [[버지니아주]] 랭글리 공군 기념 공원에 전시되어 있다. 엔진은 F100-PW-200을 장착.
Block 5  
* Block 5에서는 흡기블레이드와 UHF안테나등의 개량이 이루졌다.
: 총 197기가 생산되었으며 전방안테너돔 도색변경이특징이다.
* Block 10은 Block 5의 마이너 개량으로, 주로 내부 정비성 개선에 중점을 두었다. 이들중 일부는 [[걸프 전쟁]]당시 [[CAS]]지원을 위하여 [[GPU-5]]건포드 장착이 가능하게 개량을 하였고, 미 공군 소속 항공기는 아래의 Block 15 OCU에 맞게 개량되었다.
* Block 15는 하드포인트의 중량 강화와 AIM-7운영을 위한 UHF트랜스미터 탑재를 골자로 한 여러 개량조치가 이루어졌으며, 외관상 가장 큰 특징은 후방 꼬리날개의 면적이 커졌다는 것이다. [[1988년]]이후 15 OCU개량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F100-PW-220터보팬 엔진으로의 교체, AGM-65및 AIM_120의 장착을 감안하고, [[AN/APX-101]]IFF, [[ALE-40]] 채프/플레어 디스펜서의 설치등이 중요 사항이다.
* Block 20은 [[대만]]에 수출된 F-16이며, A/B형의 기체에 아래에 서술할 MLU수준의 개량과 더불어서 일부 블럭 50의 운영상 장점을 섞은 마개조 버전이다.


==== A/B형 개량 프로그램 ====
;  Block 10
F-16 A/B형의 추가적인 개량은 크게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 총 312기가 생산되었으며 티타늄제질을 알루미늄제질로 변경하였다.
* 미 공군을 중심으로 한 Block 15 OCU
 
* [[ADF]]로 배속된 A/B형에 대한 요격성능 개량 프로그램(F-16 ADF) : 미공군, 이후 중고기가 요르단과 태국에 판매.
Block 15  
* NATO의 요격성능 개량 프로그램(F-16 MLU) : 벨기에, 덴마크, 네덜란드, 노르웨이, 포르투칼, 요르단, 파키스탄
: 많은 개량이 가해진 기종으로 AN/APG-66 (V) 레이다를 비롯하여 UHF 방식의 무전기와 수평안정장치등을 개량한 기체로 983기가 생산된다.
* 싱가포르의 Falcon One
* 이스라엘의 Avionics Capabilities Enhancement (F-16 ACE)


=== F-16 C/D ===
=== F-16 C/D ===
F-16 C/D는 F-16 MSIPII 계획을 통해서 탄생하는데, 최초의 F-16 C/D는 Block 25형인 #83-0118이다. 현재 해당기체는 2010년 예비기체로 전환되어 [[AMARC]]에 보관되어 있다.
;  Block 25
: Block 25는 [[1984년]] [[6월]]에 첫 비행을 하였고, 같은 해 [[8월]]에 [[미국 공군]]에 실전배치되었다. [[웨스팅하우스]] [[AN/APG-68]] 레이더를 탑재하고 있고, 야간 정밀공격 기능이 있다. [[F100-PW-220E]] 터보팬 엔진을 장착했고, 기계식 계기판을 상당수 다기능 모니터인 MFD로 교체하는 등 디지털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적용했다. [[미국 공군]]만이 이 버전을 사용하며, 209대가 사용되고 있다.
 
;  Block 30/32
: Block 30/32의 가장 큰 특징은 P&W사의 개량형 F100-PW-220 엔진(블록32)과 함께 GE사의 F110-GE-100 엔진(블록30)도 장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군]]도 피스브릿지 사업을 통해 블록 이 버전의 F-16C/D형 도합 40대를 도입하였다.
 
; Block 40/42 (F-16 CG/DG)
: Block 40/42는 [[LANTIRN|랜턴]]포드를 장착한 향상된 전천후 폭격기 버전이다. 이 버전의 야간공격능력은 랜턴포드의 성능을 의미하는 'Night Falcons'로 불리게 하였다. 랜턴 포드와 향상된 레이더, GPS 수신기를 위해서 착륙 장치를 강화하였고, 길이를 늘렸다. [[1988년]]부터 실전배치되었으며, [[2002년]]부터 Block 40/42는 [[JDAM]], [[JSOW]], [[WCMD]], [[EGBU-27]] 등을 포함하여 탑재 가능한 무기의 종류를 늘렸으며, 해외 수출도 활발히 진행되어 총 615대가 5개국에 인도되었다.


기존의 A/B형과 구별되는 가장 큰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Block 50/52 (F-16 CJ/DJ)
* 레이더의 교체 : 기존의 [[AN/APG-66]]에서 [[AN/APG-68]]로 교체
: Block 50/52는 [[1991년]] 후반부터 사용되었다. 향상된 [[GPS]]/[[관성 항법 시스템|INS]]를 탑재했다. Block 50+/Block 52+ 모델 이후부터는 헬멧 조준기(JHMCS)가 있어서, 정면 이외의 적에 대한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발사가 가능해졌으며, [[AGM-84 하푼|하푼]], [[AGM-88 HARM]] 같은 고성능 미사일을 장착할 수 있다. 엔진으로는 [[제너럴 일렉트릭]] [[F110-GE-129]] 엔진(Block 50 전용) 또는 [[프렛 앤 휘트니]] [[F100-PW-229]] 엔진(Blcok 52 전용)을 사용한다. 대한민국 공군 역시 이 버전의 F-16을 120대 구매하는 내용의 [[KFP 사업]]을 진행하였다.
* MIL-STD-1760인터페이스의 표준 장착
[[파일:F-16 CJ Fighting Falcon.jpg|thumb|right|300px| F-16 C/J Fighting Falcon]]
* 칵핏의 개량
* 화력통제/저장관리 컴퓨터의 개선
* 라디오의 ECCM기능 강화


한때는 AN/ALQ-165 ASPJ의 장착이 검토가 되어, 장착공간을 만들어 두었으나 미공군 버전은 끝내 장착되지 않았다.
Block 50D/52D Wild Weasel
F-16 C/D형은 다음과 같이 분류가 된다.
: 고성능 [[SEAD]](Suppression of Enemy Air Defences, 적 방공망 제압 임무기)인 와일드위즐은 HTS(AN/ASQ-213 HARM Targeting System)를 사용한다. HTS는 미리 입력된 적국의 레이더 기지 사이트의 정보를 토대로 원거리에서 정확하게 AGM-88을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장비이다. 또한 와일드위즐 기체는 자기 방어를 위해 ALQ-119 전자식 재밍(Jamming, 전파방해)포드를 가지고 있다. Block 5xD 와일드위즐은 F-4G 와일드위즐이 퇴역하면서 현재로서는 미국 공군의 유일한 SEAD 임무기로 활동하고 있다.
* Block 25 : 최초의 F-16 C/D
* Block 30/32 : 미공군의 전투기 엔진 대체계획(AFE)와 F-16 MSIP III계획에 의해서 개량된 버전. Block32의 경우 F100-PW-220E, Block 30의 경우에는 F110-GE-100엔진을 사용. Block 30의 경우 공기흡입구와 노즐이 식별 포인트로, 공기흡입구의 경우 Block 32보다 크다. 생산할 때부터 [[AIM-120]]의 운영을 전제로 하였다.
* F-16N : 미 해군의 가상적기용 항공기. 기존의 [[F-5]]를 대체한다. 총 26대가 배치되었고, 이후 1998년 후계기 없이 AMARC행. 현재는 파키스탄 공군이 일부 기체를 운영중이다.
* Block 40/42 : 통칭 Night Falcon으로 명명되었으며, LANITRN운영을 위해 여러 부분이 개조되었다. 레이더의 신뢰도가 소폭 상승하였고, 본래 목적답게 주로 야간 공격을 위해서 사용되었으나, 초기형 F-16들이 상당수 퇴역한 현재에는 특정임무에만 투입되는 과거와는 다른 패턴으로 운영중. GBU-10/12/15/24등이 사용가능하다.
* Block 50/52 : Wild Weasel III라고도 하며, HTS 포드를 탑재, SEAD임무를 수행하는데 주 목적을 둔 버전이다. 사실상 F-16의 최정점을 찍은 기종이며, 현재 [[이라크 공군]]용으로 생산중인 항공기 역시 이 버전이다. 엔진의 교체가 이루어져서 Block 50은 F110-GE-129, Block 52는 F100-PW-229를 사용한다. 최초의 항공기는 #90-0810이며, 이 기체는 [[2000년]]에 사고로 추락, 손실되었다.
* Block 50/52+ : 이스라엘과 그리스가 도입한 변형으로, 외형상 가장 큰 특징은 기체 상부에 컨포멀 탱크가 탑재되었다는 것이다. 처음 등장했을 때에는 많은 국가가 도입할것으로 생각하였으나, 현재는 그 생산이 종료되었다.


=== F-16 E/F ===
=== F-16 E/F ===
Block 60으로 불리는 기체이며, 전체적인 외관은 Block 50/52+와 유사하다. 엔진은 F110-GE-132, 레이더가 AN/APG-80으로 교체되었으며 여러 전자장비가 바뀌었다. 대표적인 운영국은 [[UAE]]. 현재 신규 생산되는 기체는 없다.
Block 60
: Block60은 50/52 기반으로 제너럴 일렉트릭 GE-F110-132 엔진(144 kN), 컨포멀 연료탱크를 장비하여 항속거리와 출력이 향상되었으며, 노스롭 그루먼 사의 AN/APG-80 AESA 레이더를 장착한 사양으로 [[아랍에미레이트]](UAE)에 판매되었다. AN/APG-80레이더는 KF-16에 장착된 AN/APG-68(v)7보다 탐지거리가 2배로 증가된 신형레이더이다.
 
==운용==
[[파일:F-16 operators.png|섬네일|오른쪽|200px|F-16 운용국]]
F-16은 현재까지 총 4,500대가 넘는 수량이 생산되어 미국 공군 및 서방 동맹국가들에게 판매되었다. 단일 기체로는 앞으로도 깨지기 어려운 숫자의 생산 기록을 가지고 있다. 더욱 무서운 점은 성능이 지속적으로 개량중에 있다는 것으로 현재에도 최신형 F-16을 도입하려는 국가들이 존재하며, 기존 F-16을 시대에 맞게 최신식 사양으로 업그레이드 사업을 진행하는 국가들도 많다는 점이다. 지금의 추세대로 꾸준히 생산되어 수출이 이뤄질 경우 5,000대 이상을 생산한 기체로 무기 역사에 깨지지 않을 기록을 남기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 F-16I
: [[이스라엘의 군사|이스라엘군용]] F-16으로 성능이 향상된 전자장비를 채택했다. 전자 장비는 이스라엘제 부품을 사용했으며, 항속거리 증가를 위해 [[컨포멀 연료 탱크]](Conformal Fuel Tank, CFT)를 채용했다.
 
;[[F-16XL]]
: 항공기 연구를 목적으로 [[NASA]]에 의해 사용된, 델타익으로, 한 때는 [[성능강화 전술 전투기]](Enhanced Tactical Fighter, ETF) 프로젝트의 경쟁자로서 F-16의 전투폭격기화를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기체의 태생적 한계때문에 [[F-15E]]와 경쟁에 패배했다. ETF는 노후된 [[F-111 전투폭격기]]의 후계 기종 선정사업이었다.
 
[[파일:General Dynamics F-16XL afg-041110-016.jpg|thumb|240px| F-16XL]]
 
; RF-16C/F-16R
: [[정찰]]기 버전으로 [[개량형 전술 항공 정찰 시스템]](Advanced Tactical Airborne Reconnaissance System, ATARS) 장착했다.
 
; F-16 MLU(Mid Life Update)
: [[네덜란드 공군]](Royal Netherlands Air Force), [[덴마크 공군]](Royal Danish Air Force), [[노르웨이 공군]](Royal Norwegian Air Force), [[포르투갈 공군]]의 F-16 A/B의 성능 개량형.
 
;F-16N
: 미국 해군에 가상적기 훈련용으로 26대가 납품된 블록30.
 
;TF-16N
: 미국 해군의 가상적기 훈련용으로 복좌형 4대가 생산되었다.
 
;F-16 VISTA
: F-16 VISTA는 [[추력 편향 조종 기능]](TVC, Thrust Vectoring Control)을 가진 록히드 마틴사의 시제기로서, VISTA 프로젝트는 성공작으로 평가되었으나, TVC 기능이 실제 생산되는 전투기에 적용되지는 않았다.
 
== 대한민국 공군 ==
;Block 32, F-16 PB
: [[1978년]]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이 [[주한미군]] 철수를 추진하자, 이에 반대하던 [[박정희]] 대통령이 주한미군 철수에 대비해 F-16A/B 도입을 추진했다. 그러나 [[1979년]] [[10.26 사건]]으로 박정희 대통령이 암살되는 등 국내 정세 변화로 도입이 무산되었으며, 이후 [[1986년]] 전두환 정부가 피스브릿지(Peace bridge) 사업을 추진하여 당시 최신예 사양이었던 F-16C/D 블록32을 도입했다. 대한민국 공군의 최초의 F-16 전투기이다. 최초 계약시 36기를 계약하였으나, 도입 도중 환율변화로 예산이 남아서 4대를 추가로 구매하여 총 40대를 도입하였다. 공군은 이 기체를 F-16 PB라 칭하며, [[2014년]]에는 항전장비 교체 및 [[AIM-120 암람]], [[JDAM]] 등 무기 운용능력 향상, [[LInk-16]] 등을 장착하는 내용의 업그레이드 사업을 진행하여 F-16 PB형이 개량되었다. 이 개량 모델은 F-16 PBU라 불린다. F-16 PB형 기체는 총 40대중 6대가 사고나 기체이상으로 손실되어 {{현재년}}년 현재 총 34대가 운용중이다.
 
; Block 52, KF-16 C/D
: 도입과정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KFP 사업]]을 참조. 미국에서 직도입된 기체와 삼성항공이 라이센스를 얻어 국내에서 조립, 생산한 기체를 도합하여 총 120대가 도입되었다. 그리고 [[2006년]]까지 20대를 추가로 생산하여 최종적으로 140대가 도입되었다. 이중 불의의 사고나 기체결함으로 7대가 손실되어 {{현재년}}년 현재 총 133대를 운용중이다.
 
== 운용국 ==
[[2020년]] 현재 각국 보유 물량
 
* {{나라|미국}}
** [[미국 공군]]: 943
** [[미국 해군]]: 14
* 미국 이외의 국가
** {{나라|바레인}}: 22
** {{나라|벨기에}}: 71 ([[NATO]]소속 60대)
** {{나라|칠레}}: 10
** {{나라|덴마크}}: 78
** {{나라|이집트}}: 220
** {{나라|그리스}}: 140
** {{나라|요르단}}: 24
** {{나라|인도네시아}}: 10
** {{나라|이스라엘}}: 382
** {{나라|이탈리아}}: 24
** {{나라|네덜란드}}: 213
** {{나라|노르웨이}}: 72
** {{나라|오만}}: 12
** {{나라|파키스탄}}: 32
** {{나라|폴란드}}: 48
** {{나라|포르투갈}}: 65
** {{나라|싱가포르}}: 60
** {{나라|중화민국}}: 150
** {{나라|대한민국}}: 167
** {{나라|태국}}: 61
** {{나라|터키}}: 248
** {{나라|아랍에미리트}}: 80
** {{나라|베네수엘라}}: 24
 
* 총 생산 대수: 4,604 ([[2018년]] 현재)
* 대당 가격
** F-16 A/B: [[1998년]] - 14,600,000 US$
** F-16 C/D: [[1998년]] - 18,800,000 US$
** 최근 가격: [[1998년]] - 26,900,000 US$
 
=== 도입 예정 및 희망 국가 ===
; {{나라|루마니아}}
: [[NATO]] 가입 후 [[루마니아]]는 자국 방위력 개선, 특히 구소련제 항공기 중심의 공군력을 개편하기 위해 미국의 중고 F-16C/D 24기를 구매하기로 계약했으나, [[2010년]] 선수금 납기일까지 돈을 마련하지 못하여(…) 자동적으로 계약이 취소되었다. 이후 루마니아는 [[포르투갈]]의 중고 F-16 12기를 도입하는 것으로 방향을 바꿔서, [[2016년]] 첫 F-16을 받게 될 전망이다.
 
; {{나라|필리핀}}
: [[남중국해]]와 [[스프래틀리 군도]] 문제로 [[중국]]과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미국으로부터 중고 F-16 12기 정도를 도입하는 것에 대한 문제를 논의 중이다. 필리핀 공군은 [[F-5]] 퇴역 이후 전투기가 전무한 상황이기에 F-16 도입에 적극적이지만 열악한 경제력 문제로 무상 내지 염가판매를 희망하고 있어 도입에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이며 무산 가능성도 있다.
 
=== 도입 무산 국가 ===
;{{나라|이란}}
: 197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이란은 미국의 제1급 동맹국이었고 이를 바탕으로 총 160기의 F-16을 주문, 계약까지 체결했으나 [[1979년]] [[이란 이슬람 혁명]]으로 졸지에 미국의 적성국가로 변하면서 계약은 취소되었다. 대신 이란에 인도될 예정이었던 F-16들은 [[이스라엘]]로 넘어갔다.
 
;{{나라|불가리아}}
: 불가리아 역시 루마니아와 같은 이유로 중고 F-16을 도입하기로 했고 그 대상으로 포르투갈을 선정했으나, 포르투갈제 중고 기체 도입 경쟁에서 루마니아에 패하여 F-16 도입이 무산되었다.
 
;{{나라|인도}}
: 인도 공군 차세대 주력전투기 사업(MRCA)에서 록히드 마틴은 F-16의 궁극형이라 불릴만한 F-16IN을 제시했으나 [[라팔]], [[유로파이터 타이푼]]에 밀려 최종후보에도 들지 못하고 탈락하였다.
 
;{{나라|오스트레일리아}}
: [[1980년]]대 초 차기 전투기 사업에서 F-16과 F-18을 놓고 고민하다가 최종적으로 F-18을 선정하였다.
 
;{{나라|뉴질랜드}}
: [[1998년]]에 소수의 F-16을 도입하기로 미국과 합의하였으나 이후 내부 논의를 거쳐 이런 과도한 군사력은 불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도입을 취소했다. 주변국이래야 우방국 오스트레일리아를 빼면 [[피지]]와 [[솔로몬]], [[바누아투]] 정도이며 딱히 주변에 적대적인 국가가 없는 상황이다.


=== 그 외의 파생형 ===
== 생산자 ==
* F-16/79 : [[카터]]대통령 시절 계획된 우방국 수출용. 최종적으로 F-16의 해외수출 금지가 취소되면서 덩달아 취소.
* [[제너럴 다이내믹스]] / [[록히드 마틴|록히드 마틴 항공 회사]] ([[미국]])
* F-16/101 : F101엔진탑재 시험기. 이후 이 계획은 F101의 변형인 F110엔진을 탑재함으로써 성공.
* [[터키 항공우주 산업]] ([[터키]])
* F-16XL : GD사의 주도하에 만들어진 공기역학 테스트용 기종. 델타익을 장착하고 있으며, 이후 [[NASA]]로 이관되어 연구용으로 사용중.
* [[포커]] ([[네덜란드]])
* F-16 AFTI : 외관상 카나드를 장착한 AFTI프로그램용 기체.
* [[SABCA]](Société Anonyme Belge de Constructions Aéronautiques) ([[벨기에]])
* [[F-2]] : [[록히드 마틴]]과의 기술협력으로 F-16의 확대생산형. 일본만 운영중.
* [[콩스베르크 방위 및 항공우주]](Kongsberg Vaapenfabrikk) 외 ([[노르웨이]])
* [[한국항공우주산업]](구 삼성항공) ([[대한민국]])


== 운영 국가 ==
== 같이 보기 ==
=== 현재 운영국가 ===
* [http://www.f-16.net F-16.net] 최신 F-16 파이팅 팰콘 자료들
==== [[미국 공군]] ====
* [http://www.fas.org/man/dod-101/sys/ac/f-16.htm 미과학자협회] F-16 무장 플랫폼
==== [[대한민국 공군]] ====
=== 과거 운영국가 ===
* [[이탈리아 공군]] : [[토네이도]] ADV와 [[F-104]]의 퇴역으로 인한 공백을 메꾸기 위하여 32대의 F-16 A/B형을 [[2001년]]부터 [[2012년]]까지 미국으로부터 임차. 현재는 퇴역.
== 기타 ==


{{주석}}
{{각주}}
[[분류 : 전투기]] [[분류 : 미군]]
[[분류:전투기]]
[[분류:대한민국 공군]]
[[분류:미국 공군]]
[[분류:미국 해군]]

2023년 11월 10일 (금) 03:00 기준 최신판

제너럴 다이내믹스 F-16 팰콘
F-16 Fighting Falcon.jpg
항공기 정보
종류 전투기
제조 제너럴 다이내믹스
록히드 마틴
설계 제너럴 다이내믹스
운영 미국
생산연도 1973년 ~ 2024년 현재
사용연도 1978년 ~ 2024년 현재
생산량 4,600대 이상
엔진 F100-PW-200 (Block 25까지, 15 OCU 제외)
F100-PW-220/220E (Block 15 OCU, 32, 42)
F110-GE-100 (Block 30, 40)
F110-GE-129 (Block 50)
F100-PW-229 (Block 52)
F110-GE-132(Block 60)
출력 131 kN (29,400 lbf, F110-GE-129)
속도 Mach 2
무장 공대공: AIM-7 스패로·AIM-9 사이드와인더·AIM-120 암람
Mk 80 시리즈 폭탄·CBU 계열 집속탄·JDAM·페이브웨이 레이저 유도폭탄 등
기총: M61 벌칸
길이 15.06 m
9.96 m
높이 4.88 m

General Dynamics / Lockheed Martin F-16 Fighting Falcon

제너럴 다이나믹스 / 록히드 마틴 F-16 파이팅 팰콘

개발 배경[편집 | 원본 편집]

예산 좀 줄이라는 의회의 압박협박을 받은 미 공군이 F-15의 보조로서 경전투기 개발 사업을 벌였고, 이에 F-18의 원형이 되는 YF-17와 YF-16이 나와 경합을 펼치게 되지만 미 공군은 YF-16의 손을 들어 주었고, YF-17은 나가리가 되었다.그리고 해군이 주워먹는다. 이후 1972년 시작기가 제작된 이후 1976년 12월 에 최초 비행이 성공하고 1979년 1월 실전배치 되었다. 별명은 Fighting Falcon, 개발 도중에 불리던 별명인 Viper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특징[편집 | 원본 편집]

F-16 전투기는 전자식 조종 방식인 플라이 바이 와이어(Fly by wire) 조종 시스템을 항공기 중 최초로 채택했다. 항공기의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대형화되면서, 조종사의 힘과 감각으로 작동시키는 기계식 조종 시스템은 한계에 부딪히게 된다. 결국, 보다 조종이 용이한 전자식 조종 방식이 개발된다. 전자식 조종 방식인 플라이 바이 와이어는 항공기를 기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전기 신호와 컴퓨터로 제어한다. 또한 기계적 조종 시스템과 달리 구조적으로 가볍고 간단하면서도, 컴퓨터의 도움으로 인간 감각의 한계를 넘는 기동성을 가능케 한다.

F-16 전투기 기체의 외형은 동체와 주익이 부드러운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블렌디드 윙 바디(Blended Wing Body)스타일로 설계되었다. 이 설계를 통해 공기저항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기체 내부에 많은 연료를 탑재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F-15에 장착되는 것과 동일한 엔진을 사용하므로 기체의 크기에 비해 강력한 추력을 발휘할 수 있어서 기동성과 폭장량이 높은 편이다.

개량[편집 | 원본 편집]

1972년에 첫 시작기가 만들어진 기체로서, 시간이 흐르면서 새로운 전자장비와 무장을 통합하는 등 미국 공군의 요구로 꾸준한 개량이 진행되었고, 앞으로도 수출형으로 컨포멀 연료탱크와 AESA 위상배열레이다를 장착하는 첨단사양의 기체가 수출이 계약되어 있을만큼 수요처가 많은 상황이다.

공중급유를 시도하는
노르웨이 공군의 F-16B

F-16 original[편집 | 원본 편집]

Block 1
초기 양산형 F-16은 시제기를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F-16 A/B[편집 | 원본 편집]

Block 1
총 94기가 생산되는 원형기이다.
Block 5
총 197기가 생산되었으며 전방안테너돔 도색변경이특징이다.
Block 10
총 312기가 생산되었으며 티타늄제질을 알루미늄제질로 변경하였다.
Block 15
많은 개량이 가해진 기종으로 AN/APG-66 (V) 레이다를 비롯하여 UHF 방식의 무전기와 수평안정장치등을 개량한 기체로 983기가 생산된다.

F-16 C/D[편집 | 원본 편집]

Block 25
Block 25는 1984년 6월에 첫 비행을 하였고, 같은 해 8월미국 공군에 실전배치되었다. 웨스팅하우스 AN/APG-68 레이더를 탑재하고 있고, 야간 정밀공격 기능이 있다. F100-PW-220E 터보팬 엔진을 장착했고, 기계식 계기판을 상당수 다기능 모니터인 MFD로 교체하는 등 디지털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적용했다. 미국 공군만이 이 버전을 사용하며, 209대가 사용되고 있다.
Block 30/32
Block 30/32의 가장 큰 특징은 P&W사의 개량형 F100-PW-220 엔진(블록32)과 함께 GE사의 F110-GE-100 엔진(블록30)도 장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군도 피스브릿지 사업을 통해 블록 이 버전의 F-16C/D형 도합 40대를 도입하였다.
Block 40/42 (F-16 CG/DG)
Block 40/42는 랜턴포드를 장착한 향상된 전천후 폭격기 버전이다. 이 버전의 야간공격능력은 랜턴포드의 성능을 의미하는 'Night Falcons'로 불리게 하였다. 랜턴 포드와 향상된 레이더, GPS 수신기를 위해서 착륙 장치를 강화하였고, 길이를 늘렸다. 1988년부터 실전배치되었으며, 2002년부터 Block 40/42는 JDAM, JSOW, WCMD, EGBU-27 등을 포함하여 탑재 가능한 무기의 종류를 늘렸으며, 해외 수출도 활발히 진행되어 총 615대가 5개국에 인도되었다.
Block 50/52 (F-16 CJ/DJ)
Block 50/52는 1991년 후반부터 사용되었다. 향상된 GPS/INS를 탑재했다. Block 50+/Block 52+ 모델 이후부터는 헬멧 조준기(JHMCS)가 있어서, 정면 이외의 적에 대한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발사가 가능해졌으며, 하푼, AGM-88 HARM 같은 고성능 미사일을 장착할 수 있다. 엔진으로는 제너럴 일렉트릭 F110-GE-129 엔진(Block 50 전용) 또는 프렛 앤 휘트니 F100-PW-229 엔진(Blcok 52 전용)을 사용한다. 대한민국 공군 역시 이 버전의 F-16을 120대 구매하는 내용의 KFP 사업을 진행하였다.
F-16 C/J Fighting Falcon
Block 50D/52D Wild Weasel
고성능 SEAD(Suppression of Enemy Air Defences, 적 방공망 제압 임무기)인 와일드위즐은 HTS(AN/ASQ-213 HARM Targeting System)를 사용한다. HTS는 미리 입력된 적국의 레이더 기지 사이트의 정보를 토대로 원거리에서 정확하게 AGM-88을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장비이다. 또한 와일드위즐 기체는 자기 방어를 위해 ALQ-119 전자식 재밍(Jamming, 전파방해)포드를 가지고 있다. Block 5xD 와일드위즐은 F-4G 와일드위즐이 퇴역하면서 현재로서는 미국 공군의 유일한 SEAD 임무기로 활동하고 있다.

F-16 E/F[편집 | 원본 편집]

Block 60
Block60은 50/52 기반으로 제너럴 일렉트릭 GE-F110-132 엔진(144 kN), 컨포멀 연료탱크를 장비하여 항속거리와 출력이 향상되었으며, 노스롭 그루먼 사의 AN/APG-80 AESA 레이더를 장착한 사양으로 아랍에미레이트(UAE)에 판매되었다. AN/APG-80레이더는 KF-16에 장착된 AN/APG-68(v)7보다 탐지거리가 2배로 증가된 신형레이더이다.

운용[편집 | 원본 편집]

F-16 운용국

F-16은 현재까지 총 4,500대가 넘는 수량이 생산되어 미국 공군 및 서방 동맹국가들에게 판매되었다. 단일 기체로는 앞으로도 깨지기 어려운 숫자의 생산 기록을 가지고 있다. 더욱 무서운 점은 성능이 지속적으로 개량중에 있다는 것으로 현재에도 최신형 F-16을 도입하려는 국가들이 존재하며, 기존 F-16을 시대에 맞게 최신식 사양으로 업그레이드 사업을 진행하는 국가들도 많다는 점이다. 지금의 추세대로 꾸준히 생산되어 수출이 이뤄질 경우 5,000대 이상을 생산한 기체로 무기 역사에 깨지지 않을 기록을 남기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F-16I
이스라엘군용 F-16으로 성능이 향상된 전자장비를 채택했다. 전자 장비는 이스라엘제 부품을 사용했으며, 항속거리 증가를 위해 컨포멀 연료 탱크(Conformal Fuel Tank, CFT)를 채용했다.
F-16XL
항공기 연구를 목적으로 NASA에 의해 사용된, 델타익으로, 한 때는 성능강화 전술 전투기(Enhanced Tactical Fighter, ETF) 프로젝트의 경쟁자로서 F-16의 전투폭격기화를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기체의 태생적 한계때문에 F-15E와 경쟁에 패배했다. ETF는 노후된 F-111 전투폭격기의 후계 기종 선정사업이었다.
F-16XL
RF-16C/F-16R
정찰기 버전으로 개량형 전술 항공 정찰 시스템(Advanced Tactical Airborne Reconnaissance System, ATARS) 장착했다.
F-16 MLU(Mid Life Update)
네덜란드 공군(Royal Netherlands Air Force), 덴마크 공군(Royal Danish Air Force), 노르웨이 공군(Royal Norwegian Air Force), 포르투갈 공군의 F-16 A/B의 성능 개량형.
F-16N
미국 해군에 가상적기 훈련용으로 26대가 납품된 블록30.
TF-16N
미국 해군의 가상적기 훈련용으로 복좌형 4대가 생산되었다.
F-16 VISTA
F-16 VISTA는 추력 편향 조종 기능(TVC, Thrust Vectoring Control)을 가진 록히드 마틴사의 시제기로서, VISTA 프로젝트는 성공작으로 평가되었으나, TVC 기능이 실제 생산되는 전투기에 적용되지는 않았다.

대한민국 공군[편집 | 원본 편집]

Block 32, F-16 PB
1978년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이 주한미군 철수를 추진하자, 이에 반대하던 박정희 대통령이 주한미군 철수에 대비해 F-16A/B 도입을 추진했다. 그러나 1979년 10.26 사건으로 박정희 대통령이 암살되는 등 국내 정세 변화로 도입이 무산되었으며, 이후 1986년 전두환 정부가 피스브릿지(Peace bridge) 사업을 추진하여 당시 최신예 사양이었던 F-16C/D 블록32을 도입했다. 대한민국 공군의 최초의 F-16 전투기이다. 최초 계약시 36기를 계약하였으나, 도입 도중 환율변화로 예산이 남아서 4대를 추가로 구매하여 총 40대를 도입하였다. 공군은 이 기체를 F-16 PB라 칭하며, 2014년에는 항전장비 교체 및 AIM-120 암람, JDAM 등 무기 운용능력 향상, LInk-16 등을 장착하는 내용의 업그레이드 사업을 진행하여 F-16 PB형이 개량되었다. 이 개량 모델은 F-16 PBU라 불린다. F-16 PB형 기체는 총 40대중 6대가 사고나 기체이상으로 손실되어 2024년 현재 총 34대가 운용중이다.
Block 52, KF-16 C/D
도입과정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KFP 사업을 참조. 미국에서 직도입된 기체와 삼성항공이 라이센스를 얻어 국내에서 조립, 생산한 기체를 도합하여 총 120대가 도입되었다. 그리고 2006년까지 20대를 추가로 생산하여 최종적으로 140대가 도입되었다. 이중 불의의 사고나 기체결함으로 7대가 손실되어 2024년 현재 총 133대를 운용중이다.

운용국[편집 | 원본 편집]

2020년 현재 각국 보유 물량

  • 총 생산 대수: 4,604 (2018년 현재)
  • 대당 가격
    • F-16 A/B: 1998년 - 14,600,000 US$
    • F-16 C/D: 1998년 - 18,800,000 US$
    • 최근 가격: 1998년 - 26,900,000 US$

도입 예정 및 희망 국가[편집 | 원본 편집]

루마니아
NATO 가입 후 루마니아는 자국 방위력 개선, 특히 구소련제 항공기 중심의 공군력을 개편하기 위해 미국의 중고 F-16C/D 24기를 구매하기로 계약했으나, 2010년 선수금 납기일까지 돈을 마련하지 못하여(…) 자동적으로 계약이 취소되었다. 이후 루마니아는 포르투갈의 중고 F-16 12기를 도입하는 것으로 방향을 바꿔서, 2016년 첫 F-16을 받게 될 전망이다.
필리핀
남중국해스프래틀리 군도 문제로 중국과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미국으로부터 중고 F-16 12기 정도를 도입하는 것에 대한 문제를 논의 중이다. 필리핀 공군은 F-5 퇴역 이후 전투기가 전무한 상황이기에 F-16 도입에 적극적이지만 열악한 경제력 문제로 무상 내지 염가판매를 희망하고 있어 도입에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이며 무산 가능성도 있다.

도입 무산 국가[편집 | 원본 편집]

이란
197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이란은 미국의 제1급 동맹국이었고 이를 바탕으로 총 160기의 F-16을 주문, 계약까지 체결했으나 1979년 이란 이슬람 혁명으로 졸지에 미국의 적성국가로 변하면서 계약은 취소되었다. 대신 이란에 인도될 예정이었던 F-16들은 이스라엘로 넘어갔다.
불가리아
불가리아 역시 루마니아와 같은 이유로 중고 F-16을 도입하기로 했고 그 대상으로 포르투갈을 선정했으나, 포르투갈제 중고 기체 도입 경쟁에서 루마니아에 패하여 F-16 도입이 무산되었다.
인도
인도 공군 차세대 주력전투기 사업(MRCA)에서 록히드 마틴은 F-16의 궁극형이라 불릴만한 F-16IN을 제시했으나 라팔, 유로파이터 타이푼에 밀려 최종후보에도 들지 못하고 탈락하였다.
오스트레일리아
1980년대 초 차기 전투기 사업에서 F-16과 F-18을 놓고 고민하다가 최종적으로 F-18을 선정하였다.
뉴질랜드
1998년에 소수의 F-16을 도입하기로 미국과 합의하였으나 이후 내부 논의를 거쳐 이런 과도한 군사력은 불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도입을 취소했다. 주변국이래야 우방국 오스트레일리아를 빼면 피지솔로몬, 바누아투 정도이며 딱히 주변에 적대적인 국가가 없는 상황이다.

생산자[편집 | 원본 편집]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