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별 불쾌감: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성소수자}}{{트랜스젠더}}
{{질병 정보
| 이름          = 성 정체성 장애<br />Gender Dysphoria
| ICD10          = {{ICD10|F|64.9||f|60}}, {{ICD10|F|64.8||f|60}}
| ICD9          = {{ICD9|302.85}}
| ICDO          =
| OMIM          =
| MedlinePlus    = 001527
| eMedicineSubj  =
| eMedicineTopic =
| MeshID        = D005783
}}
'''성별 불쾌감'''(Gender dysphoria)은 자신의 생물학적 [[성별]]이나 자신에게 주어진 사회적 [[성 역할]](혹은 [[젠더]])에 대하여 불쾌하게 생각하는 증상을 가리킨다.
'''성별 불쾌감'''(Gender dysphoria)은 자신의 생물학적 [[성별]]이나 자신에게 주어진 사회적 [[성 역할]](혹은 [[젠더]])에 대하여 불쾌하게 생각하는 증상을 가리킨다.


17번째 줄: 4번째 줄:


== 분류 ==
== 분류 ==
[[ICD-10]]기준이다.
[[ICD-11]]기준이다.
=== F64.0 [[성전환증]](Transsexualism) ===
 
=== F64.1 [[이중역할 의상도착증]](Dual-role transvestism) ===
=== HA60 [[성전환증|청소년기 또는 성인기의 성별 불일치]](Gender incongruence of adolescence or adulthood) ===
[[여장]]이나 [[남장]]을 하여서 일시적으로 반대 성별에 대한 소속감을 느끼면서 만족을 얻는 증상을 말한다. 이들은 [[성욕]]을 느끼기 위한 것이 아니며, 영원히 반대 성으로 살고 싶어하거나 [[성전환 수술]]을 받고 싶어하지 않는다. 정의상 이중역할 의상도착증은 [[바이젠더]]를 언급하는 것이기는 하지만<ref>[https://books.google.co.kr/books?id=F_t6W07QMgAC&pg=PA112&lpg=PA112&dq=bigender+Dual-role+transvestism&source=bl&ots=DzH4bWlGcF&sig=96CTAzvLLcmH-ShEWqxM0MYOMHI&hl=ko&sa=X&ei=Dx5gVdjpBOPLmAX2rIHQAQ&ved=0CDwQ6AEwBA#v=onepage&q=bigender%20Dual-role%20transvestism&f=false]</ref> [[바이젠더]]나 [[젠더플루이드]]와 지칭하는 범위가 같다고는 할 수 없다.


[[성욕]]을 동기로 하지 않는다는 점이 [[의상도착적 페티시즘]](F65.1, fetishistic transvestism)과 구분된다. [[의상도착적 페티시즘]]에서 이중역할 의상도착증으로, 다시 [[성전환증]]으로 발전하는 사람도 있다고 알려져 있다. 다만 다른 성전환자와는 달리 성기에 별다른 불만이 없으며, full time으로 생활하는 성별을 바꾸는데 성공적으로 적응했음에도 [[성전환 수술]]을 원치 않는 경우가 있다.<ref>[https://books.google.co.kr/books?id=I-8qZlGIpnQC&pg=PA32&lpg=PA32&dq=dual+role+transvestism&source=bl&ots=eK-1Ll7MF8&sig=E2Do0vAkb-Ao3goFgpmOOFiyJ64&hl=ko&sa=X&ei=aqpiVcWtLsfImAXr4ILQAQ&redir_esc=y Transsexual and Other Disorders of Gender Identity:] James Barret, [[2007년]], 34페이지</ref>
=== HA61 소아기 성별 불일치(Gender incongruence of childhood) ===
=== F64.2 소아기 성별 불쾌감 (Gender dysphoria in children) ===
[[어린이]]가 성별 불쾌감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 [[자아 비친화성 성적 지향]](F66.1, egodystonic sexual orientation), [[성적 성숙 장애]](F66.0, sexual maturation disorder)와는 구분된다.
[[어린이]]가 성별 불쾌감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 [[자아 비친화성 성적 지향]](F66.1, egodystonic sexual orientation),[[성적 성숙 장애]](F66.0, sexual maturation disorder)와는 구분된다.


성인의 성별 불쾌감과 다르게 접근해 어린이를 치료/교정해서 시스젠더로 가능한 한 바꿔 놓아야 하는지, 아니면 성인의 성 정체성 장애와 같은 것으로 보고 정체성에 맞는 행동을 할 수 있게 해야 하는지 논란이 되고 있다.
성인의 성별 불쾌감과 다르게 접근해 어린이를 치료/교정해서 시스젠더로 가능한 한 바꿔 놓아야 하는지, 아니면 성인의 성 정체성 장애와 같은 것으로 보고 정체성에 맞는 행동을 할 수 있게 해야 하는지 논란이 되고 있다.


=== F64.8 기타 성별 불쾌감(Other Gender dysphoria) ===
=== HA6Z 상세불명의 성별 불쾌감(Gender dysphoria, unspecified) ===
=== F64.9 상세불명의 성별 불쾌감(Gender dysphoria, unspecified) ===
 
{{각주}}
{{각주}}
{{트랜스젠더}}
{{성소수자}}
[[분류:성소수자]]
[[분류:성소수자]]
[[분류:트랜스젠더]]
[[분류:트랜스젠더]]

2024년 2월 9일 (금) 12:13 기준 최신판

성별 불쾌감(Gender dysphoria)은 자신의 생물학적 성별이나 자신에게 주어진 사회적 성 역할(혹은 젠더)에 대하여 불쾌하게 생각하는 증상을 가리킨다.

과거엔 미국정신의학회(APA)의 DSM-5 분류상 성 정체성 장애(Gender identity disorder)로 분류되었으나 성소수자 단체들의 지적과 장애가 아닌 차이라는 입장들이 점차 수용됨에 따라 2013년 이후엔 DSM-5에서는 공식적으로 정신질환이 아닌 단순한 성별 불쾌감이라고 칭하고 있다.

분류[편집 | 원본 편집]

ICD-11기준이다.

HA60 청소년기 또는 성인기의 성별 불일치(Gender incongruence of adolescence or adulthood)[편집 | 원본 편집]

HA61 소아기 성별 불일치(Gender incongruence of childhood)[편집 | 원본 편집]

어린이가 성별 불쾌감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 자아 비친화성 성적 지향(F66.1, egodystonic sexual orientation), 성적 성숙 장애(F66.0, sexual maturation disorder)와는 구분된다.

성인의 성별 불쾌감과 다르게 접근해 어린이를 치료/교정해서 시스젠더로 가능한 한 바꿔 놓아야 하는지, 아니면 성인의 성 정체성 장애와 같은 것으로 보고 정체성에 맞는 행동을 할 수 있게 해야 하는지 논란이 되고 있다.

HA6Z 상세불명의 성별 불쾌감(Gender dysphoria, unspecified)[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