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관련역 =(.*)\n\|참고 =(.*)\n\|비고 =(.*)\n +|관련역 =\1\n|참고 =\2\n|비고 =\3\n|하위 틀 = \n))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분류:등록문화재 +분류:등록문화유산))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역이름  = 진주역
|이름    = 진주
|원어이름 =  
|원어이름 =  
|부역명  =
|관할약칭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그림    = [[파일:Jinju_Station.JPG]]
|그림    = Jinju Station.JPG
|그림설명 =  
|그림설명 =  
|그림alt  =
|주소    = [[경상남도]] [[진주시]] [[개양로]]116번길 33
|주소    = [[경상남도]] [[진주시]] [[개양로]]116번길 33
|번호    =  
|번호    =  
|노선    = [[경전선]] <small> 91.4km</small>
|노선    = [[경전선]] <small> 91.4km</small>
|관할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마산역|마산관리역]]
|관할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개업일  = [[1925년]] [[6월 1일]]
|개업일  = [[1925년]] [[6월 1일]]
|폐지일  =  
|폐지일  =  
21번째 줄: 20번째 줄:
|하위 틀  =  
|하위 틀  =  
}}
}}
<big>晉州驛 / Jinju Station</big>


== 개요 ==
경상남도 진주시 개양로116번길 33 (가좌동 68-10)에 위해 있다. 폐역된 [[개양역]] 자리에 들어왔다고 보면 된다.
경상남도 진주시 개양로116번길 33 (가좌동 68-10)에 위해 있다. 폐역된 [[개양역]] 자리에 들어왔다고 보면 된다.


이 역에서 [[사천공항]]으로 들어가는 선로가 분기한다. 이 선로의 용도를 자세히 알려고 하다가는 [[코렁탕]]을 섭취하게 될 수 있다. 사실은 군사기지용이다.
이 역에서 [[사천공항]]으로 들어가는 선로가 분기한다.
 
== 역사 ==
[[파일:Korail Gyeongjeon Line Jinju Station Rearside.jpg|가운데|400px|구 역사]]
* 1925년 6월 15일: [[경남선]] [[군북역|군북]] ~ 진주 구간 개통과 함께 개업<ref>조선총독부휘보 사설철도운수영업개시</ref>
* 1971년 9월 10일: 민수용 무연탄 도착취급역 지정<ref>철도청고시 제37호</ref>
* [[2012년]] [[10월 23일]]: [[경전선]] [[마산역|마산]] ~ 진주 구간 이전으로 역사를 현 위치로 이전
* 2012년 12월 5일: [[경전선]] [[마산역|마산]] ~ 진주 복선전철화 개통으로 경전선 [[KTX]] 연장 운행 개시
* [[2015년]] [[5월 29일]]: 화물 취급 중지<ref>국토교통부고시 제2015-332호</ref>


== 시설 ==
== 시설 ==
46번째 줄: 51번째 줄:
}}
}}


 
=== 차량정비고 ===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이다.
 
== 주변 정보==
{{건축물 정보
{{건축물 정보
|건물이름 = 진주역 차량정비고
|건물이름 = 진주역 차량정비고
73번째 줄: 75번째 줄:
|하위 틀  =  
|하위 틀  =  
  {{문화재 정보/삽입용
  {{문화재 정보/삽입용
  |종목    = 등록문화재 제202호
  |종목    = [[등록문화재]]
  |지정일  = 2005년 9월 14일
  |지정일  = 2005년 9월 14일
  |해제일  =  
  |해제일  =  
  }}
  }}
}}
}}
'''허허벌판'''이다. 신역사 주변에는 편의 시설은 전무한 상황이고 역사 바로 앞에 버스정류장이 있다. 131번, 132번 버스를 타고 진주역환승센터 (개양오거리)로 바로 갈 수 있다. 걸어서 30분이면 개양오거리, [[경상대학교]]를 갈 수 있지만 가는 길이 어두워서 밤에 혼자 걷는 것은 추천하지 않는다. 참고로 걸어서 30분이면 대략 2km내외의 거리이다. 다만 [[역세권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구 역사의 차량정비고는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살펴보면 전쟁으로 생긴 탄흔이 선명하게 남아 있다.
구 역사의 차량정비고는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살펴보면 전쟁으로 생긴 탄흔이 선명하게 남아 있다.


== 역사 ==
== 주변 정보==
[[파일:Korail_Gyeongjeon_Line_Jinju_Station_Rearside.jpg|가운데|400px|구 역사]]
'''허허벌판'''이다. 신역사 주변에는 편의 시설은 전무한 상황이고 역사 바로 앞에 버스정류장이 있다. 131번, 132번 버스를 타고 진주역환승센터 (개양오거리)로 바로 갈 수 있다. 걸어서 30분이면 개양오거리, [[경상대학교]]를 갈 수 있지만 가는 길이 어두워서 밤에 혼자 걷는 것은 추천하지 않는다. 참고로 걸어서 30분이면 대략 2km내외의 거리이다. 다만 [[역세권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1925년 6월 15일: [[경남선]] [[군북역|군북]] ~ 진주 구간 개통과 함께 개업<ref>조선총독부휘보 사설철도운수영업개시</ref>
* 1971년 9월 10일: 민수용 무연탄 도착취급역 지정<ref>철도청고시 제37호</ref>
* [[2012년]] [[10월 23일]]: [[경전선]] [[마산역|마산]] ~ 진주 구간 이전으로 역사를 현 위치로 이전
* 2012년 12월 5일: [[경전선]] [[마산역|마산]] ~ 진주 복선전철화 개통으로 경전선 [[KTX]] 연장 운행 개시
* [[2015년]] [[5월 29일]]: 화물 취급 중지<ref>국토교통부고시 제2015-332호</ref>


== 경유 노선 ==
== 경유 노선 ==
109번째 줄: 104번째 줄:
  }}
  }}
  {{경유 열차 목록/종류
  {{경유 열차 목록/종류
  |열차종류 = [[ITX-새마을]]
  |열차종류 = [[SRT]]
|세로수  = 1
|노선    =
  {{경유 열차 목록/SRT 경전선}}
}}
{{경유 열차 목록/종류
|열차종류 = [[ITX|ITX-새마을]]
  |세로수  = 1
  |세로수  = 1
  |노선    =  
  |노선    =  
122번째 줄: 123번째 줄:
  }}
  }}
  {{경유 열차 목록/종류
  {{경유 열차 목록/종류
  |열차종류 = [[남도해양열차|S-train]]
  |열차종류 = [[남도해양열차]]
  |세로수  = 1
  |세로수  = 1
  |노선    =  
  |노선    =  
   {{경유 열차 목록/S-train 경전선}}
   {{경유 열차 목록/남도해양열차 경전선}}
  }}
  }}
}}
}}
132번째 줄: 133번째 줄:


[[분류:경전선]]
[[분류:경전선]]
[[분류:진주시의 철도역]]
[[분류:경상남도에 있는 철도시설]]
[[분류:등록문화유산]]
{{리브레 맵스 마커|35.18011358831599|128.08825984379496|11|진주역 차량정비고}}
{{리브레 맵스 마커|35.18011358831599|128.08825984379496|11|진주역 차량정비고}}


{{리브레 맵스 마커|35.15066580304791|128.11808027903203|12|진주역}}
{{리브레 맵스 마커|35.15066580304791|128.11808027903203|12|진주역}}

2023년 9월 20일 (수) 22:06 기준 최신판

진주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개양로116번길 33
노선 경전선 91.4km
관할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개업일 1925년 6월 1일
코드 063
승강장 2면 4선

경상남도 진주시 개양로116번길 33 (가좌동 68-10)에 위해 있다. 폐역된 개양역 자리에 들어왔다고 보면 된다.

이 역에서 사천공항으로 들어가는 선로가 분기한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구 역사

시설[편집 | 원본 편집]

차량정비고[편집 | 원본 편집]

진주역 차량정비고
진주역 차량정비고2.JPG
건축물 정보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소유 국가철도공단
대지면적 688.9 m2
문화재 정보
종목 등록문화재
지정일 2005년 9월 14일

구 역사의 차량정비고는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살펴보면 전쟁으로 생긴 탄흔이 선명하게 남아 있다.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허허벌판이다. 신역사 주변에는 편의 시설은 전무한 상황이고 역사 바로 앞에 버스정류장이 있다. 131번, 132번 버스를 타고 진주역환승센터 (개양오거리)로 바로 갈 수 있다. 걸어서 30분이면 개양오거리, 경상대학교를 갈 수 있지만 가는 길이 어두워서 밤에 혼자 걷는 것은 추천하지 않는다. 참고로 걸어서 30분이면 대략 2km내외의 거리이다. 다만 역세권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삼랑진 방면
반성 13.1 km
진주 광주송정 방면
완사 10.5 km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역을 경유하는 여객열차 목록
종류 노선 정차역 (구간운행 포함)
KTX 경전선 (행신 -) 서울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서대구 - 동대구 - 경산 - 밀양 - 진영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진주)
SRT 경전선 수서 - 동탄 - 평택지제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동대구 - 밀양 - 진영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진주
ITX-새마을 경전선 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대전 - 옥천 - 영동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경산 - 청도 - 밀양 - 진영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함안 - 진주
무궁화호 경전선 동대구 - 경산 - 남성현 - 청도 - 상동 - 밀양 - 한림정 - 진영 - 진례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
경전선 부전 - 사상 - 구포 - 화명 - 물금 - 원동 - 삼랑진 - 한림정 - 진영 - 진례[4]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 - 완사 - 북천 - 횡천 - 하동 - 진상 - 광양 - 순천 (- 벌교 - 조성 - 예당 - 득량 - 보성 - 명봉 - 이양 - 능주 - 화순 - 효천 - 서광주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임성리 - 목포)
남도해양열차 경전선 부산 - 구포 - 물금 - 삼랑진 - 진영 - 창원중앙 - 마산 - 진주 - 북천 - 하동 - 광양 - 순천 - 벌교 - 득량 - 보성 - 명봉 - 능주 - 화순 - 효천 - 서광주 - 광주송정
정확한 정차역은 열차 운영사의 안내를 참고하세요.

각주

  1. 조선총독부휘보 사설철도운수영업개시
  2. 철도청고시 제37호
  3.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332호
  4. 부전~목포 구간 열차는 미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