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덕도등대: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가덕도등대 (진도)|부산지방해양수산청 관할의 항로표지관리소|목포지방해양수산청 관할의 무인등대}}
{{다른 뜻|가덕도등대 (진도)|부산지방해양수산청 관할의 항로표지관리소|목포지방해양수산청 관할의 무인등대}}
{{사용자:Pika/대체용 틀
{{등대 정보
|등대이름 = 가덕도등대
|등대이름 = 가덕도등대
|원어이름 =  
|원어이름 =  
|그림    =  
|그림    = [[파일:2067 부산 가덕도 등대.jpg]]
|그림설명 =  
|그림설명 =  
|번호    = 2057 / M4352
|번호    = 2057 / M4352
|위치    = [[부산광역시]] [[강서구 (부산)|강서구]] [[대항동]]
|위치    = [[부산광역시]] [[부산 강서구|강서구]] [[대항동]]
|경위도  = 34°59′22.4″N 128°49′44.7″E
|경위도  = 34°59′22.4″N 128°49′44.7″E
|등고    = 105m
|등고    = 105m
18번째 줄: 18번째 줄:
|하위 틀  =  
|하위 틀  =  
  {{문화재 정보/삽입용
  {{문화재 정보/삽입용
  |종목    =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종목    =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목록|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지정일  = [[2003년]] [[9월 16일]]
  |지정일  = [[2003년]] [[9월 16일]]
  |해제일  =  
  |해제일  =  
43번째 줄: 43번째 줄:
{{대한민국의 유인등대}}
{{대한민국의 유인등대}}
{{부산지방해양수산청 관할 등대}}
{{부산지방해양수산청 관할 등대}}
[[분류: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분류:등대문화재]]
[[분류:등대문화재]]


{{리브레 맵스 마커|34.99094506162053|128.82958820489694|11|가덕도등대}}
{{리브레 맵스 마커|34.99094506162053|128.82958820489694|11|가덕도등대}}

2023년 9월 20일 (수) 17:47 기준 최신판

가덕도등대
2067 부산 가덕도 등대.jpg
등대 정보
번호 2057 / M4352
위치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항동
34°59′22.4″N 128°49′44.7″E
등고 105m
높이 40m
관할기관 부산지방해양수산청
점등일자 1909년 12월
광파표지 12초 1백섬광 / 21해리(43km) / 명호: 223~137º
음파표지 Air Siren 45초 1회(취명 5초, 정명 40초)(No.4352)
전파표지 AIS 설치
문화재 정보
종목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지정일 2003년 9월 16일

부산광역시 가덕도의 남쪽 맨 끝 동두말이라고 부르는 곶의 위쪽에 자리하고 있는 등대로 남해상에서 부산항, 부산신항, 마산항, 진해항 등으로 들어오는 선박들의 항로표지 역할을 하고 있는 등대이다.

만일 이 등대가 마비되면 야간에 진해만에 위치한 항구에서 선박의 입출항이 상당히 어렵게 되며, 특히 진해항의 해군 함정들이 작전전개를 하는데 있어서 상당히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물론 거제-통영쪽으로 나가는 수로가 하나 더 있기는 하지만, 이쪽 해역은 그야말로 좁아터진 협수로(일명 견내량)로 대형선박은 항행이 상당히 제한된다. 거기에 부산신항의 물동량이 늘어나면서 이 등대의 중요성은 더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등대 연혁[편집 | 원본 편집]

  • 1962. 12. 31 무신호 운영개시[1]
  • 1970. 02. 18 원동기 고장으로 운휴[2]

기타사항[편집 | 원본 편집]

  • 이 등대는 해군 작전지역 내에 위치하고 있어 사전 1일 전에 반드시 연락을 하고 출입허가를 받아야만 견학 및 방문 출입이 가능하다. 등대숙소의 경우 등대이탈 불가. 그냥 들어갈 수도 있지만 그때는 바로 코렁탕 시식 확정.
  • 부근에 부산신항 VTS가 있다. 조금 특이한 점이라면 부근이라는 게 가까운 섬. 근데 등대는 육지에 있다.
  • 등대와 관계없이 가덕도 자체는 부산지역의 섬들 중에서 낚시가 잘 되기로 유명한 곳이지만 등대 앞에서 낚시행위를 하면 코렁탕 시식 확정.
  • 날씨가 좋을 경우 바다 건너에 있는 대마도까지 조망이 가능하다. 실제로 이종무의 대마도 정벌 당시 조선의 함대는 가덕도 앞바다를 통과하여 대마도로 향하였다.
  • 이 등대는 2014년 한국기행 진해만 편에서 방영이 되었었다.
  • 가덕도등대에서 사용중인 등명기는 최초의 국산등명기라고 한다. 참고로 당시에는 하나하나 손으로 렌즈를 깎아서 만든 수제 등명기를 사용했다고 한다.

각주

  1. 교통부 고시 제851호
  2. 교통부 고시 제22호 (197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