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렬비열도등대 | |
---|---|
![]() |
|
등대 정보 | |
번호 | 3288 / M4184 |
소재지 |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 가의도리 산27 36°37′32.9″N 125°33′33.2″E |
등고 | 112m |
높이 | 14m |
관할기관 | 대산지방해양수산청 |
점등일자 | 1909년 2월 |
광파표지 | 10초 1백섬광 / 26해리 / 명호: 299~308º |
전파표지 |
AIS발신기 설치 RACON (No.4136.2) "K"부호 송신(30초 on, 30초 off) / 10해리 / 9375, 9410, 9415, 9445, 3050㎒ |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 가의도리 산27번지 격렬비열도 중 북격렬비열도의 정상부에 자리하고 있는 등대로 대한민국 충청남도의 서해 중부 해상 가장 서쪽 끝단에 위치하고 있는 등대이다. 서해 중부 해상을 항해하는 육지초인표지 역할을 하는 등대로 옹도등대에서 서쪽으로 약 40km 떨어진 지점에 자리하고 있다.
등대 연혁[편집 | 원본 편집]
- 1909년 6월 격렬비열도등대 초점등(유인등대)
- 1994년 항로표지관리원(등대원)의 철수로 무인화
- 2013년 대산지방해양청, 충청남도, 대전지방기상청, 산림청 등 6개 기관에서 격렬비열도등대의 유인화를 위한 업무협햑 체결[1]
- 2015년 6월 24일 대산지방해양수산청의 직원을 파견하여 다시 유인등대로 전환작업 실시
- 2015년 8월 27일 대산지방해양수산청에서 산림청으로부터 등대가 위치한 북격렬비열도의 소유권을 2억2천3백만원에 매입함
기타사항[편집 | 원본 편집]
- 등대 연혁을 보면 알겠지만 유인등대→무인등대→유인등대 이렇게 변경된 특이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무인화 당시에는 너무 격오지라서 근무하기 불편하다는 이유로 직원을 철수시켰으나 중국과의 배타적경제수역(EEZ) 문제가 점차 불거지면서 다시 유인화를 하게 되었다. 어찌보면 서해상의 독도와 비스무리한 위상이라고도 할 수 있다.
- 등대가 위치한 북격렬비열도의 소유권은 본래 산림청에 있었으나 등대 점검을 하러 갈 때마다 산림청에 협조를 구하는 불편함이 있었기 때문에 2015년에 다시 유인화를 추진하면서 대산지방해양수산청에서 아예 섬을 사들여 소유권을 이전하였다.
- 등대가 위치한 북격렬비열도를 비롯한 격렬비열도는 괭이갈매기의 서식지이기도 하다.
- 1992년 각종 항로표지시설을 컴퓨터와 전파신호를 통해 원격으로 조정하는 장치가 도입되기 시작하였는데 해당 장치가 최초로 도입된 등대가 바로 이 등대이다.
- 이 등대에는 전파표지인 레이콘 시설과 선박위치표시장치인 AIS표시장치가 병설되어있다.
각주
인천지방해양수산청 | |
---|---|
부산지방해양수산청 | |
여수지방해양수산청 | |
목포지방해양수산청 | |
군산지방해양수산청 | |
울산지방해양수산청 | |
마산지방해양수산청 | |
동해지방해양수산청 | |
대산지방해양수산청 | |
포항지방해양수산청 | |
제주해양수산관리단 | |
†: 등대기능이 없는 항로표지관리소 |
대산지방해양수산청 관할 등대 |
|
---|---|
유인등대(항로표지관리소) | |
무인등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