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Sternradio: 두 판 사이의 차이

85번째 줄: 85번째 줄:


등등
등등
=== 보완 ===
* [[현실주의 (국제정치학)]]
: '힘의 측정' 관련 내용 - 현실주의의 핵심 키워드는 힘(power)인 만큼 이를 어떻게 측정하는지(GDP, 인구, 1인당 GDP 등),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관한 논의도 당연히 들어가야. 참고: Goldstein (2002) pp. 86-91.
: 역사 - Jackson & Sorensen (2010) chapter 3을 참고로.
* [[자유주의 (국제정치학)]]
: 구성주의나 현실주의에 비해 너무 부실함. Jackson & Soerensen (2010) chapter 4와 김우상 외, 『국제관계론 강의1』 참고.
* [[국제정치학]]
: 소개/개괄 - Jackson & Sorensen (2010) chapter 2 참고. 현실주의, 자유주의, 국제사회(The English School), 국제정치경제학을 중심으로 역사를 간략히 다루자. 언제 어떤 배경에서 무슨 전통이 생겨났는지 간략하게 언급하는 것으로 충분할 듯. + 이미 있는 대논쟁 파트와의 관계도 고려해야. Goldstein (2002) pp. 19-27도 참고하자. 행위자(국가행위자/비국가행위자), 분석수준(세계/국가간/국내/개인)도 다룰 수 있으면 좋을 것이다.


== 잡소리 ==
== 잡소리 ==
=== 정보검색법 ===
=== 정보검색법 ===
{{참조|시리즈:사막에서 바늘도 찾는 정보검색법}}
{{참조|시리즈:사막에서 바늘도 찾는 정보검색법}}

2015년 12월 16일 (수) 18:44 판

이 사용자에게 문제가 있는 경우 운영진 문제제기 문서에서 문제를 제기하세요.

  • 권한: 검사관
  • 권한 만료일: 2016년 1월 21일

소개

국제학[1] 전공 학부생입니다. Messgram, Tonight Alive, Thrice 같은 밴드들 짱조아합니다. 여러분도 들으세요. 여러 번 들으세요. 요즘엔 Skarlett Riot, The Dirty Youth, Icon for Hire도 격하게 좋아합니다. 아, 글리치 합(Glitch Hop)도 좋더군요.

요즘 바빠서 죽겠습니다. 뭐 이렇게 읽고 쓰고 할 게 많은지.

아이디

서명

sternradio (토론 | 기여)

관심분야

바이에른 뮌헨, 분데스리가, , 국제정치학, 언어학, 일본, 홋카이도 등.

"국제정치학" 구글링 1페이지에 뜰 때까지 정진하겠습니다....라고 적어뒀는데 어느샌가 달성! 이젠 1페이지 첫번째 자리를 탈환해봅시다....도 어느샌가 달성! 이젠 이 자리를 오래도록 유지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억에 남는 기여

번역한 문서

하위문서

야망

언젠가 작성해볼 생각인 것들

등등

보완

'힘의 측정' 관련 내용 - 현실주의의 핵심 키워드는 힘(power)인 만큼 이를 어떻게 측정하는지(GDP, 인구, 1인당 GDP 등),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관한 논의도 당연히 들어가야. 참고: Goldstein (2002) pp. 86-91.
역사 - Jackson & Sorensen (2010) chapter 3을 참고로.
구성주의나 현실주의에 비해 너무 부실함. Jackson & Soerensen (2010) chapter 4와 김우상 외, 『국제관계론 강의1』 참고.
소개/개괄 - Jackson & Sorensen (2010) chapter 2 참고. 현실주의, 자유주의, 국제사회(The English School), 국제정치경제학을 중심으로 역사를 간략히 다루자. 언제 어떤 배경에서 무슨 전통이 생겨났는지 간략하게 언급하는 것으로 충분할 듯. + 이미 있는 대논쟁 파트와의 관계도 고려해야. Goldstein (2002) pp. 19-27도 참고하자. 행위자(국가행위자/비국가행위자), 분석수준(세계/국가간/국내/개인)도 다룰 수 있으면 좋을 것이다.

잡소리

정보검색법

  1. International Studies. 원체 모호하게 넓은 분야라 '국제' 들어간 건 다 배웁니다. 국제관계학, 국제경제학, 국제법, 국제기구, 국제통상, 국제금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