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네스 월츠

케네스 닐 월츠
Kenneth Neal Waltz
Kenneth Waltz.jpg
인물 정보
출생 1924년 6월 8일
미국 미시건주 앤 아보르(Ann Arbor)
사망 2013년 5월 12일 (89세)
미국 뉴욕주
국적 미국
학력 학부 - 오벌린대학(Oberlin College)
대학원 - 컬럼비아 대학교(Columbia University)
직업 국제정치학자
배우자 헬렌 엘리자베스 린즐리(Helen Elizabeth Lindsley)

케네스 닐 월츠(Kenneth Neal Waltz, 1924년 6월 8일 ~ 2013년 5월 12일[출처 1])는 미국의 정치학자로,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와 컬럼비아 대학교(Columbia University)의 교수이자 국제정치학 분야에서 가장 저명한 학자 중 하나였다.[출처 2] 제2차 세계대전한국전쟁에 참전한 경력도 있다.[출처 3]

월츠는 국제정치학의 신현실주의(neorealism), 또는 구조주의적 현실주의(structural realism)이라고 불리는 학파의 창시자이다. 월츠의 이론은 국제정치학계에서 널리 논의되고 있다.[출처 4] 1981년에는 "핵무기의 확산"(The Spread of Nuclear Weapons)라는 논문을 통해 핵무기의 확산이 국제 평화의 가능성을 높일 것이라고 주장했다.[출처 4][1]

레슬리 겔브(Leslie H. Gelb)는 월츠가 국제정치학을 완전한 학문 분야로 완성시킨 "거인"(giants)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출처 1] 컬럼비아 대학교의 동료 학자 로버트 저비스(Robert Jervis)는 월츠에 대해 "월츠가 쓴 거의 모든 것은 당시 지배적이던 생각들에 도전"[출처 4] 하며, "설령 그에게 동의하지 않더라도 월츠는 당신의 생각을 한 발자국 앞으로 움직여 놓는다"[출처 1]고 평했다. 연세대학교 최종건 교수는 "만약 월츠의 신현실주의가 등장하지 않았다면, 국제정치학의 주요 논쟁인 구조와 행위자의 문제, 공격형 현실주의와 방어형 현실주의간의 논쟁, 무정부의 속성과 효과에 관한 논쟁은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국제정치학의 이론적 발전에 대한 월츠의 기여가 매우 크다는 점을 강조했다.[출처 5]

생애[편집 | 원본 편집]

월츠는 1924년 6월 8일, 미국 미시건 주 앤 아보르(Ann Arbor)에서 태어나 고등학교까지 그곳에서 다녔다.[출처 1] 이후 오벌린 대학(Oberlin College)에 입학했는데, 의외로 전공은 수학(!)이었다.[출처 6] 하지만 1944년부터 1946년 사이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면서 군에 입대하게 되어 학업을 중단해야 했다.[출처 7] 한편 군에서는 이등병에서 중위까지 진급하는 위엄을 보였다.

오벌린 대학에서는 경제학으로 전공을 바꾼 뒤[출처 6] 1948년 학사학위를 취득했다.[출처 7] 대학 졸업 후에는 '파이 베타 카파 클럽'(Phi Beta Kappa)[2]에 가입했으며,[출처 7] 아모스 밀러 학자(Amos Miller Scholar)로도 지명되었다.

1949년에는 "허디"(Huddie)라고 알려진 헬렌 엘리자베스 린즐리(Helen Elizabeth Lindsley)와 결혼했다.[출처 7] 이 부부는 슬하에 세 자녀를 두었다.[출처 7]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경제학 전공으로 대학원을 다니다 정치학으로 전과했는데, 이는 정치철학이 더 흥미를 끌었기 때문이다.[출처 6] 이후 1950년에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출처 7] 한편 1950년에는 잠시동안 오벌린 대학에서 강사로 재직하기도 했다.

미군 예비군으로서 한국전쟁에 끌려가기도 했다.[출처 1] 한국전쟁에서는 1951년부터 1852년까지[출처 7] 중위로 복무했다.

1954년에는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땄다.[출처 7]

경력[편집 | 원본 편집]

1953년에서 1957년 사이 월츠는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강사, 이윽고 조교수가 되었다.[출처 7] 컬럼비아에서는 전쟁평화연구소(Institute of War and Peace Studies)의 초창기 멤버로 참여했는데, 1952년부터 1954년 사이에는 연구조교로, 1954년부터는 연구원으로서 근무했다. 월츠는 1957년 컬럼비아 대학교를 떠나 스워스모어 대학(Swarthmore College)의 조교수로 부임하여 1966년까지 재직했고, 그동안 정교수가 되었다.[출처 7] 나중에 밝힌 바에 따르면 떠난 이유는 뉴욕에서 어린 자녀를 기를 생각에 불안해서였다고(...).[출처 4] 그 뒤 1966년에는 브랜다이스 대학교(Brandeis University)로 잠시 옮겨 1971년까지 근무했는데, 재직 중 마지막 4년간은 국제정치학과 아들라이 E. 스티븐슨 교수(Adlai E. Stevenson Professor of International Politics chair)로 재임했다.[출처 7] 1971년 월츠는 미 서부로 옮겨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으로 가 정치학과 포드 교수(the Ford Professor of Political Science)로 재직하면서[출처 7] 20년 이상을 머물렀다.

재직 중 월츠는 그 외에 많은 연구직을 맡았다. 1964년에는 전쟁평화연구소 소속으로 연구했으며, 1950년부터 1960년까지는 런던에서 컬럼비아 대학교 정치외교학과(Political Theor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펠로우을 역임했다. 1963년~1964년, 1968년~1969년, 그리고 1972년에는 하버드 대학교 국제문제 연구소(Center for International Affairs) 연구원으로서[출처 7] 국제정치학 이론 발전에 힘썼다. 또한 1976-1977 구겐하임 펠로우(Guggenheim Fellow) 수상자로 선정되었다.[출처 7] 1977년에는 세계정치연구소(the Institute for the Study of World Politics) 펠로우가 되었다. 1970년부터 1980년까지는 우드로 윌슨 센터(Woodrow Wilson International Center for Scholars)에서 펠로우로 재직했다.[출처 7] 이어서는 킹스 칼리지 런던(King's College London) 전쟁학과 소속 연구원으로 근무했다.[출처 3]

월츠는 1982년 베이징 대학에서 두 달 간 강의를 맡은 적 있고,[출처 7] 이후 푸단 대학에서도 가르친 바 있다.[출처 3] 그 외에도 미국 내 다양한 기관에서 강의한 바가 있다. 예컨대 미국 공군사관학교(United States Air Force Academy),[출처 3]국립전쟁대학(National War College), 미육군전쟁대학(United States Army War College), 해군전쟁대학(Naval War College) 등이 있다. 또 세계 각국에서 강의한 적이 있는데, 여기에는 런던 정치경제대학교(London School of Economics), 오스트레일리아 국립 대학교(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볼로냐 대학교(University of Bologna) 등이 포함된다.[출처 3]

1997년에 월츠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교수직에서 사임하고 컬럼비아 대학교로 돌아갔다.[출처 3][출처 4] 컬럼비아에서는 겸임교수로 재직하며 전쟁평화연구소 수석연구원으로도 근무했다.[출처 3]

그 외에도 미국정치학회(Americ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총무(1966~1967)[출처 7] 및 회장(1987~1988)[출처 1], 국제학회 뉴잉글랜드 부서(New England Section of the International Studies Association)의 장(1966-1967)[출처 7],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펠로우,[출처 7] 그 외 수많은 학술 저널의 편집자를 역임한 바 있다. 역시 잘난 사람들은 바쁘다.

월츠의 국제 정치 이론[편집 | 원본 편집]

분석수준(Levels of analysis)[편집 | 원본 편집]

월츠의 첫 학문적 기여는 본인의 박사 논문에 기반해 1959년 출간한 저서 『인간, 국가, 전쟁』(Man, the State, and War)으로,[출처 1] 이 책에서 월츠는 전쟁의 원인을 세 가지 범주, 곧 세 분석 수준으로 분류했다.[출처 4] 월츠는 이 분석 수준을 "이미지"(images)라고 칭하고, 각각의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해 고전 정치철학자들의 저술을 활용하면서 각각의 이미지에 두 장(chapter)씩을 할애했다. 두 장 중 앞의 장은 그 이미지가 전쟁의 원인에 주는 함의가 무엇인지를, 뒤의 장은 해당 이미지의 강점과 약점에 대한 분석을 주제로 한다.

첫 번째 이미지에 따르면 전쟁은 특정 정치가나 국가의 수장 같은 정치 지도자(나폴레옹 등)의 성격, 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인간 본성에 의해 일어난다. 이는 주로 고전적 현실주의(Classical Realism)의 주장과 합치한다. 한편 고전적 현실주의는 이 책이 쓰이던 당시 국제정치학의 주류 이론이었는데, 월츠는 그의 다음 저작 『국제정치이론』(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에서 이 이론에 보다 정면으로 도전했다.

전쟁에 관한 이론 중 월츠의 두 번째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론은 국가의 내적 짜임새가 전쟁을 유발한다고 주장했다. 월츠가 인용하는 대표적인 사례는 레닌제국주의 이론으로, 이 이론에 따르면 전쟁의 주 원인은 자국의 경제 체제를 영속화하려는 의도로 새로운 시장을 열어젖히려는 자본가들의 요구이다. 서방권에 보다 친숙한 사례로는 비민주적인 국가가 그 비민주적 체제 때문에 전쟁을 일으킨다는 개념(민주평화론)이다.

월츠는 이어서 앞의 두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세 번째 이미지보다 영향력이 떨어지며, 그럼에도 전쟁의 원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이라고 평가했다. 세 번쨰 이미지는 전쟁의 원인을 체제 수준(systemic level)에서 찾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국제 체제의 무정부적 구조가 전쟁의 근본 원인이라는 것이다. 여기서 "무정부" 상태는 혼란이나 무질서의 조건이라기보다는 그저 자율적인 민족국가(nation-state)들의 상호작용을 통제할 권위(sovereign body)가 부재한 상태를 의미한다. 다시말해, 신체나 재산 상의 피해가 발생했을 때 (이론상으로나마) 법의 강제력에 기댈 수 있는 국내 사회와 달리, 국제 사회에서 국가가 타국의 공격을 받았을 때는 이를 도와줄 경찰관도 소방관도 없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국내적 수준에서는 두 사람이 분쟁에 휘말린다면 법원의 판결을 위해 소송을 진행할 수 있고, 특히 국가기관이 그 판결에 강제력을 부여함으로써 그 실행을 보장하지만, 국제사회에서는 이런 역할을 해줄, 국가 상위에 있는 존재가 전무하다. 법이나 규칙을 제정하고, 이 법이 특정한 경우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해석하고, 또 이 법의 적용을 강제할 기구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그 결과, 어떤 사안이 한 국가에게 일정 수준 이상으로 중요한 것이라면 그 국가는 무력(power)을 통해서만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국가가 어느 때든 목표 달성을 위해 무력을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한 국가들은 그런 경우에 대비해 항상 준비되어 있고자 노력하게 된다. 이런 주장은 이후 『국제정치이론』에서 보다 구체화되어 나타나며, 여기서는 책의 제목이 암시하듯, 그저 전쟁의 원인만이 아니라 국제정치 전반에 대한 이론이 제시됐다.

신현실주의[편집 | 원본 편집]

월츠의 주요 업적은 신현실주의(neorealism; 월츠 본인의 표현에 따르면 구조주의적 현실주의structural realism) 이론을 창안한 것이다. 이 이론은 주권을 가진 국가들 사이의 상호작용은 이들의 선택을 제약하는 국제 체제의 무정부적 구조에 의한 압력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신현실주의는 따라서 국제관계에서 되풀이되는 패턴을 설명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예컨대 어째서 스파르타아테네 사이의 관계가 냉전기 미국소련 사이의 관계와 닮아 있는지 등.

월츠가 이 책을 비롯해 여러 곳에서 강조한 바가 있는데, 이는 본인은 외교정책 이론을 만들고자 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외교정책 이론은 특정 시기 특정 국가의 행동을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월츠의 세력균형 이론에는 상당한 비판이 가해졌는데, 이는 주로 세력균형 이론이 핵 확산 등의 분야에서 특정 국가들의 외교정책에 대한 설명력이 떨어진다고 본 학자들에 의한 것이었다.

월츠는 세계가 영구적인 무정부 상태(anarchy)로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월츠는 국제 환경에서의 이러한 무정부 상태가 국내 환경에서의 무정부상태와는 다른 것이라고 보았다. 국내 환경에서 모든 행위자는 "정부" 혹은 "국가"라는 중앙집중적 권위에 기대며, 이러한 권위에 의해 통제되기도 한다. 그러나 국제 환경에서는 이러한 중앙 권위가 존재하지 않는다. 국제 정치에서의 이 무정부 상태(권위에 의한 강제력의 부족)로 인해, 행위자들은 자신의 안전을 최우선 순위에 놓게 된다. 이는 민주주의나 독재체제 모두가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엄연한 정치적 현실이다. 다른 행위자의 선의를 기대할 수 없으므로, 각각의 행위자는 자신을 지킬 만반의 준비를 해야만 한다. 이후 국제정치학자들이 월츠의 이론과 씨름하게 되면서, 월츠에 의한 "무정부"라는 표현의 도입은 국제정치학에 근본적인 변화를 불러왔다. 어떤 연구에 따르면 "무정부" 상태라는 용어가 1979년 이전에 간행된 국제정치학 서적에서는 평균 6.9회 등장했으나, 1979년 이후 간행된 국제정치학 서적에서는 35.5회로 증가했다고 한다. [출처 8]

다른 신현실주의자들과 마찬가지로 월츠는 세계화가 국가에 대한 새로운 도전이라고 보았으나, 국가 그 자체가 대체되는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여겼다. 왜냐하면 국가에 필적하는 역량을 지닌 비국가 행위자의 등장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월츠는 세계화가 1990년대의 유행이라고 생각했으며, 오히려 세계 변화에 맞춰 국가가 더 큰 역할을 수행하리라 보았다.

신현실주의는 고전적 현실주의의 오류에 대한 월츠의 해답이라 볼 수 있다. 신현실주의와 현실주의는 때때로 혼동되기도 하지만, 둘 사이에는 근본적인 차이점들이 존재한다. 두 이론 간에 존재하는 가장 큰 차이점은 고전적 현실주의가 전쟁의 원인을 인간 본성이나 지배욕에서 찾았다면, 신현실주의는 전쟁의 원인을 인간 본성에 대한 주장 대신 무정부상태의 압력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여 정부인사나 외교관들의 인성, 혹은 각국의 국내 정세에 주안점을 덜 두게 되었다는 것이다.

월츠가 『국제정치이론』(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에서 집대성한 자신의 이론은 외교정책에 대한 것이 아니며, 소비에트의 붕괴 등 특정한 국가의 행동을 예측하고자 하는 것도 아니었다. 이 이론은 오직 국제 사회의 항구적 무정부상태로 인해 국가간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행동 원칙을 파악하고자 하는 개괄적인 시도였다. 이 원칙에는 세력 균형[3], 군비 경쟁, 상대국과의 세력비로 인한 데꿀멍 행동 자제 [4] 등이 포함된다.『국제정치이론』(p. 6)에서 월츠는 사회과학에서는 자연과학과 달리 통제된 환경 하에서의 실험이 불가능하므로, 사회과학 이론은 현상의 예측보다 그 설명에 무게를 두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저서 목록[편집 | 원본 편집]

  • Man, the State, and War.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1959. (한국어판: 케네스 월츠. (2007). 『인간 국가 전쟁: 전쟁의 원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아카넷. 정성훈 역. ISBN 9788957331064)
    이 책에서는 국제관계에서 나타나는 행위를 보는 세 가지 이미지를 제시한다. 첫 번째는 개인과 인간 본성이고, 두 번째는 민족국가, 세 번째는 국제 체제이다.
  • Foreign Policy and Democratic Politics: The American and British Experience. Little, Brown and Company. New York: 1967.
  •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McGraw Hill. New York: 1979. (한국어판: 케네스 월츠. (2000). 『국제정치이론』 서울:사회평론 박건영 역. ISBN 9788986167672)
    이 책은 신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의 핵심 원리들을 설명한다. E. H. 카, 한스 모겐소 등과 같은 이전의 고전적 현실주의자들과는 달리 월츠는 구조주의적 관점을 채택했다. 이후 랜달 스웰러(Randall Schweller), 파리드 자카리아(Fareed Zakaria), 윌리엄 월포스(William Wohlforth) 등, 구조주의적 요소를 도입하는 동시에 구조의 영향을 경감시키는 국가-사회 관계를 강조했던 신고전적 현실주의 학자들의 등장에 밑거름이 되었다. 또 이 책은 밴드왜건 효과(bandwagoning), 즉 편승이라는 용어를 대중화시키기도 했다.
  • The Use of Force: Military Power and International Politics. University Press of America. New York: 1983. (coauthored with Robert Art).
  • "Reflections on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A Response to My Critics" in: Keohane, Robert: Neorealism and Its Critics. 1986.
  • The Spread of Nuclear Weapons: A Debate Renewed. W. W. Norton & Company. New York: 1995.
    핵 억지력이 세계 평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며 핵 확산을 지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책이다. 상호확증파괴 개념을 참고하면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한편 세이건(Scott D. Sagan)은 이에 대해 핵 확산은 도리어 세계 평화를 위협한다고 주장했다. 영어가 된다면 영위백의 nuclear peace를 참고.
  • Realism and International Politics. Routledge. 2008.

수상 경력[편집 | 원본 편집]

월츠는 1991년 "Nuclear Myths and Political Realities"(핵 미신과 정치적 현실)이라는 논문으로 1990년 『미국 정치학 비평』지 하인츠 오일라우 최고 논문 상(the Heinz Eulau Award in 1991 for Best Article in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during 1990)을 수상했다.[출처 9] 또한 1999년에는 미국정치학회(Americ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으로부터 "정치학에서의 뛰어난 업적"을 기리는 제임스 메디슨 상(the James Madison Award)을 수여받았다.[출처 4] 또 국제학회(International Studies Association)은 2010년 월츠를 국제 안보 연구 분야 석학(International Security Studies Section Distinguished Scholar)으로 지명했다.[출처 3]

2008년에는 애버리스트위스 대학교(Aberystwyth University)에서 월츠를 기리기 위해 "사조의 왕: 이론, 주제와 월츠"(The King of Thought: Theory, the Subject and Waltz)라는 이름으로 학회를 개최했다. [출처 1] 이 학회는 『인간, 국가, 전쟁』의 출간 50주년과 『국제정치이론』의 출간 30주년을 기념하는 자리이기도 했다.[출처 3]

월츠는 코펜하겐 대학교(Copenhagen University), 오벌린 대학(Oberlin College), 난카이 대학(Nankai University), 애버스트위스 대학교(Aberystwyth University)과[출처 3] 그리스의 마케도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Macedonia)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학위논문 상[편집 | 원본 편집]

케네스 N. 월츠 학위논문 상(the Kenneth N. Waltz Dissertation Award)는 미국정치학회가 매년 수여하는 상으로, 국제 안보와 군축 분야에서 가장 뛰어난 학위논문에 주어진다. 참가자격은 미국 전역의 학생에게 주어지며, 심사위원회는 네 명으로 구성된다. 논문은 자유형식으로, 역사적 접근, 양적 접근, 이론적 접근, 정책 분석 등 어떤 접근법을 취해도 된다.[출처 10]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참고문헌[편집 | 원본 편집]

인용 출처[편집 | 원본 편집]

  1. 1.0 1.1 1.2 1.3 1.4 1.5 1.6 1.7 Martin, Douglas, “Kenneth Waltz, Foreign-Relations Expert, Dies at 88”, 2013년 5월 19일 작성, A22면.
  2. Susan Peterson and Michael J. Tierney with Daniel Maliniak (August 2005). Teaching and Research Practices, Views on the Discipline, and Policy Attitudes of International Relations Faculty at U.S. Colleges and Universities
  3.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Kenneth N. Waltz (1924 – 2013). Arnold A. Saltzman Institute of War and Peace Studies. 2014년 11월 19일에 확인.
  4. 4.0 4.1 4.2 4.3 4.4 4.5 4.6 Hollander, Jason, “Prof. Kenneth N. Waltz's Political Realism Wins James Madison Lifetime Achievement Award In Political Science”, 《Office of Communications and Public Affairs, Columbia University》, 2000년 3월 28일 작성.
  5. 최종건. (2013). "신현실주의 기원과 한국 국제정치학의 이론적 함의: 1959~1979년 월츠의 저작을 중심으로."『국제정치논총』제53집 4호, 9-37.
  6. 6.0 6.1 6.2 Kreisler, Harry (2003년 2월 10일). Theory and International Politics: Conversation with Kenneth N. Waltz: Background. 《Conversations with History》. Institute of International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12년 4월 25일에 확인.
  7. 7.00 7.01 7.02 7.03 7.04 7.05 7.06 7.07 7.08 7.09 7.10 7.11 7.12 7.13 7.14 7.15 7.16 7.17 7.18 (1984) 《Who's Who in America 1984–1985 Volume 2》, 43rd, Chicago: Marquis Who's Who, 3394쪽
  8. Donnelly, Jack (2015년 11월 1일). The discourse of anarchy in IR. 《International Theory》 7 (03): 393–425. doi 10.1017/S1752971915000111doi 10.1017/S1752971915000111. ISSN 1752-9727.
  9. Heinz Eulau Award Recipients. Americ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2014년 11월 21일에 확인.
  10. International Security and Arms Control.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2012년 4월 25일에 확인.

그 외[편집 | 원본 편집]

  • "Contemporary mainstream approaches: neo-realism and neo-liberalism" by Steven L. Lamy, 2001.
  • "Leviathan" by Thomas Hobbes, 1651. 13장 참고.

관련 사이트[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월츠는 이후 저작에서 이 이론을 발전시켰는데, 그 중에는 이란이 핵무기를 보유한다면 중동의 평화가 확보될 것이라는 주장을 담은 것도 있다.
  2. 한마디로 초 엘리트들의 사교모임이다. 참고
  3. 이 이론은 스티븐 월츠에 의해 다시 정립되어 "세력균형"에서 "위협균형"으로 재정리되었다.
  4. 원문: exercising restraint in proportion to relative power
Wikipedia-ico-48px.png이 문서에는 영어판 위키백과의 Kenneth Waltz 문서를 번역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