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Pika/연습: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틀:항성 정보' 표준화 v1.0)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사용자:Pika/대체용 틀
{{별자리 정보
|이름    = 시리우스 AB
|명칭=오리온자리
|원어이름 =  
|그림=IAU Orion.gif
|그림     = [[파일:Sirius.jpg]]
|그림설명=
|그림설명 = 시리우스 A와 B의 모습. B는 A의 왼쪽 아래에 있는 작은 백색왜성이다.
|라틴어명=Orion
|하위 틀  =  
|약자=Ori
|역기점  =  
|소유격=Orionis
|종류    =  
|적경=5시 35분<ref>[http://calgary.rasc.ca/constellation.htm#list calgary.rasc.ca 별자리 목록]</ref>
|적경     = {{적경|06|45|08.9173}}
|적위=+5°57′
|적위     = {{적위|−16|42|58.017}}
|남중시기=[[1월 25일]]
|별자리  = [[큰개자리]]
|관측범위= N79°~S67°<ref>[http://www.ianridpath.com/constellations1.htm ianridpath.com 별자리 목록]</ref>
|겉보기  = -1.47 / 8.30
|입체각=594.120 deg² (1.440%)
|분광형  = A1V / DA2
|U-B      =
|B-V      =
|V-R      =
|R-I      =
|J-H      =
|J-K      =
|변광성  =
|시선속도 =
|고유운동 =
|연주시차 = 379.21 ± 1.58m″
|거리    = 8.59 ± 0.04 광년
|절대등급 = 1.42 / 11.18
|질량    = 2.02 / 0.978 {{태양질량}}
|반지름  = 1.711 / 0.0084 ± 3% {{태양반경}}
|광도    = 25.4 / 0.026 {{태양광도}}
|유효온도 = 9,940 / 25,200 K
|금속함량 =
|자전주기 =
|나이    =
|주성    =
|동반성  =
|주기    =
|긴반지름 =
|이심률  =
|궤도경사 =
|승교점  =
|근일점  =
|비고    =
}}
}}
==개요==
[[겨울]] 저녁 하늘을 대표하는 [[별자리]] 중 하나로 천구상의 적도에 위치하고 있는 별자리이다. 명칭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사냥꾼인 [[오리온]]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방패를 들고 곤봉을 휘두르는 모양으로 자리하고 있는 별자리로 한국에서는 겨울철 남쪽 밤하늘에서 쉽게 관측할 수 있는 별자리이다.


'''시리우스'''(Sirius)는 [[큰개자리]] 알파별(α Canis Majoris, α CMa)로, 밤 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이다. 우리말로는 천랑성(天狼星)이라고 한다. [[알파 센타우리]]와 함께 일반적으로 가장 잘 알려진 [[항성]]이다. 밤 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이기 때문에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중요한 관찰 대상이었다. 특히 고대 이집트 문명에서는 해가 뜨기 전 새벽 시리우스가 동쪽하늘에서 떠오르는 시기에 [[나일강]]이 범람한다는 관계에서 알 수 있다.
==전설==
오리온자리와 관련한 전설은 여러 가지가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전설은 그의 연인이었던 [[아르테미스]]가 오빠인 [[아폴론]]에게 속아서 그를 과녁삼아 쏴 죽이게 만들어서 하늘의 별자리가 되었다는 것이다. 하늘의 별자리 배열과 관련있는 다른 전설은 아르테미스와 사냥을 하던 오리온이 지상의 모든 짐승을 사냥할 수 있다는 말을 하자 이 말을 듣고 그를 교만하다 여긴 여신 [[헤라]][[전갈]]을 보내서 그를 쏘아 죽이도록 하였는데 이 결과 슬픔에 빠진 아르테미스가 그를 하늘의 별자리가 되게 하였고, 오리온을 죽인 전갈은 헤라에 의해서 별자리가 되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오리온은 별이 되고 나서도 전갈이라면 기겁을 하여서 천구상에서 오리온자리와 [[전갈자리]]는 거의 반대편에 자리하게 되었다. 실제로 전갈자리가 동쪽 지평선에서 나타나기 시작할 때면 오리온자리가 지평선 아래로 들어가서 두 별자리의 동시 관측은 불가능하다.


== 위치 ==
이외에 하늘의 [[큰개자리]]와 [[작은개자리]]가 오리온의 사냥개라고 알려져 있기도 하다. 또한 이 별자리들과 맞서는 별자리가 바로 사냥감 중 하나인 [[황소자리]]이다.
[[파일:Winter Hexagon.PNG|480px]]


겨울 밤 하늘을 밝게 빛내는 일곱 개 별들(시리우스, [[프로키온]], [[베텔게우스]], [[리겔]], [[카펠라]], [[알데바란]], [[폴룩스]]) 가운데 하나로, 겨울의 대삼각형과 [[겨울의 대육각형]]을 이루는 별이다.
==삼태성==
동아시아에서는 오리온의 허리 부분에 해당하는 별 셋을 따로 삼태성(三太星)이라고 한다. 영미권에서도 오리온의 허리띠, 혹은 벨트라고 불리는 부분으로 1등성은 아니지만 꽤 밝은 별에 속하는 2등성 3개{{ㅈ|민타카, 알니탁, 알닐람}}가 거의 일직선이면서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모습으로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여러 문화권에서 이 세 별이 별자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동양에서는 이 세 별을 3명의 장군별로 보았으며, 이집트에서는 [[오시리스]]와 관련이 있는 별로 여겨졌다. 또한 팔레스타인 일대에서는 옛 거인족인 네피림의 상징이기도 하였으며, 성경에서도 이 별들이 등장한다{{ㅈ|[[욥기]]9:9, 38:31, [[아모스]] 5:8 : 개역성경에서는 삼성(의 허리띠)으로 번역}}


겨울철 남쪽 하늘에 30~40도 만큼 떠오르는 [[밝은 ]]이 시리우스이다. [[오리온자리]]의 남동쪽(즉 왼쪽 아래)에 있다.
==구성 항성==
오리온자리는 밝은 항성이 다수 있다.
*α Ori - '''[[베텔게우스]]'''(Betelgeuse): [[적색거성]]이다. 오리온의 오른쪽 어께 부분에 자리하고 있는 별로 밝기는 0.4~1.3등급 사이를 약 5년 반 정도 주기로 변화하는 [[변광성]]이다.
*β Ori - '''[[리겔]]'''(Rigel): [[청색거성]]이다. 오리온의 왼쪽 다리 부분에 자리하고 있느 별로 0.1등성의 밝은 백색별이다.
*γ Ori - [[벨라트릭스]](Bellatrix): 아마존을 상징하는 별로 1.6등급의 밝은 별이다.
*δ Ori - [[민타카]](Mintaka): 2.2등성의 백색별로 삼태성의 맨 우측<ref>북반구 관측자 입장</ref>에 있는 별이다.
*ε Ori - [[알닐람]](Alnilam): 1.7등성의 백색별로 삼태성 한가운데 있는 별이다.
*ζ Ori - [[알니탁]](Alnitak): 1.8등성의 황백색별로 삼태성 맨 왼쪽<ref>북반구 관측자 입장</ref>에 있는 별이다.
*η Ori - [[오리온자리 에타]]: 사중성계
*θ Ori - [[트라페지움]](Trapezium Cluster): 단일한 별이 아니라 4개의 별들이 함께 [[성단]]이다. [[사다리꼴 성단]]이라고도 부르는 산개성단으로 [[오리온자리 대성운]]의 중심부이기도 하다.
*ι Ori - [[하트샤]](Hatsya): 2.8등성
*κ Ori - [[사이프]](Saiph): 오리온의 오른발로 2.1등성이다.
*λ Ori - [[메이사]](Meissa): 오리온의 머리 부분에 있는 별로 3.4등성의 별이다.
*π Ori - [[오리온자리 파이]]: 오리온자리 서쪽 팔의 '방패'해당한다. 이중 파이3 별은 [[타빗]]이란 고유명이 있다.
*σ Ori - [[오리온자리 시그마]]: 다중성계로 알니탁 바로 남쪽에 있다.


2017년 기준 [[적도좌표계|적도좌표]]는 적경 6시 46분, 적위 -16도 44분이며 자정남중일은 [[1월 12일]]이다.
== 심원 천체 ==
 
오리온자리에는 성운이 다수 있다. 때문에 질량이 큰 별들이 생겨나고 있으며, 위 문단에 소개된 별들도 대부분 이와 관련이 있다.
== 항성 정보 ==
*'''[[오리온자리 대성운]]''' (메시에 42, NGC 1976): 발광 성운을 대표하는 밝은 천체이다. 밝기는 4등급.
겉보기 등급은 -1.5등성이다. 청백색 주계열성인 시리우스A와 백색왜성인 시리우스B로 구성되어 있다. 지구로부터의 거리는 8.7광년이다. 태양보다 25배 밝으면서 아주 가깝기 때문에 겉보기 등급이 그렇게 높게 나타나는 것이다. 참고로 거리 4.3광년인 0등성 [[알파 센타우리]] A 별의 밝기는 태양의 150% 남짓이다.
*[[드모이란 성운]] (메시에 43, NGC 1982): 발광 성운으로 오리온 대성운의 일부로 들어가 있다.
 
*[[말머리 성운]] (바너드 33): 암흑 성운으로 알니탁 옆에 있다. 뒤에 있는 밝은 성운은 [[IC 434]]이다.
거리로는 [[알파 센타우리]]와 [[바너드 별]], [[울프 359]][[글리제 411]]에 이어 다섯 번째로 가깝다. 여기서 알파 센타우리는 A, B 별과 [[프록시마]]를 묶어서 지칭한 것으로, 개별 항성으로 보면 일곱 번째로 가깝다.
*[[NGC 2023]]: 반사 성운으로 말머리 성운 옆에 있다.
 
*[[불꽃 성운]] (NGC 2024, Sh2-277): 발광 성운으로 알니탁의 남쪽에 있다.
[[파일:Orbit of Sirius AB.png|480px]]
*[[메시에 78]] (NGC 2068): 반사 성운
 
*[[37 성단]] (NGC 2169): 6등급 산개 성단. 오리온자리의 동쪽 팔에 있다.
시리우스 A를 기준으로 본 B의 공전궤도 반지름은 20AU 정도 되며, 공전주기는 50년이다. 2017년 현재 원점(apoapsis) 근처에 있다.
*[[원숭이머리 성운]] (NGC 2174, Sh2-252): 발광 성운. 산개성단인 [[NGC 2175]]이 이 자리에 있다.
 
*[[로워 성운]] (Sh2-261): 발광 성운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Sirius_proper_motion.gif 시리우스의 고유운동]
*[[오리온자리 람다 고리]] (Sh2-264): 메이사 주변으로 보이는 성운으로, '에인절피시 성운'이라고도 불린다.
 
*[[바너드 루프]] (Sh2-276): 오리온자리 몸통을 둘러싸는 반원 모양의 성운. 시직경이 '''20도'''에 이른다.
시리우스는 현재 초속 5.5 km로 태양계 쪽으로 접근하고 있고, 천구 상에서 남서쪽으로 매년 1.34"씩 이동하고 있다. 대략 황도의 남극 쪽으로 이동하는 셈이다. 6만여 년 후에는  -1.64등급까지 최대로 밝아질 것으로 예상된다.<ref>[https://en.wikipedia.org/wiki/Historical_brightest_stars Wikipedia 문서]에서 가져옴</ref>
*[[러닝맨 성운]] (Sh2-279): 발광 성운 및 반사 성운으로 이루어져 있다. 오리온 대성운 옆에 있다.
 
== 색깔 문제 ==
실제 시리우스의 색깔은 하늘빛이지만 고대 [[그리스]][[로마]]의 문헌에서는 빨간색으로 기록한 경우가 많다. 이를 시리우스의 색깔 문제(color controversy)라고 한다. 한편 [[중국]]에서는 흰색으로 기록하였다.
 
[[백색왜성]]이 된 시리우스B가 고대에는 [[적색거성]] 상태였기 때문에 빨간색으로 보였다는 설이 있으나 이는 현재 항성진화 이론상 [[적색거성]]에서 [[백색왜성]]으로의 [[항성]]진화가 그렇게 빠른 시간 안에 일어나는 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두 가지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 첫째는 당시 시리우스를 관찰한 사람들이 시리우스가 완전히 하늘 높이 뜬 상태가 아니라 지평선 근처에서 보일락말락 하는 상태를 관찰하고는 빨간색으로 기록했다는 설이 있다. 둘째는 고대에는 정말로 시리우스B가 적색거성 상태였고 그래서 빨간색으로 보였는데 현대의 항성진화 이론에 문제가 있어서 항성진화가 빠른 시간 안에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놓쳤다는 설이 있다.
 
== 설화 ==
* [[이집트 신화]]의 여신 [[소프데트]]는 시리우스가 신격화된 신이다.


== 기타 ==
*오리온자리 유성우 : 매년 10월 21일 부근에 발생하는 [[유성우]]이다.
{{각주}}
{{각주}}
[[분류:항성]]
{{현대 별자리}}
[[분류:별자리]]

2022년 6월 27일 (월) 03:49 판

{{{이름}}}
IAU Orion.gif
중앙 적경 5시 35분[1]
중앙 적위 +5°57′
관측 범위 N79°~S67°[2]

개요

겨울 저녁 하늘을 대표하는 별자리 중 하나로 천구상의 적도에 위치하고 있는 별자리이다. 명칭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사냥꾼인 오리온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방패를 들고 곤봉을 휘두르는 모양으로 자리하고 있는 별자리로 한국에서는 겨울철 남쪽 밤하늘에서 쉽게 관측할 수 있는 별자리이다.

전설

오리온자리와 관련한 전설은 여러 가지가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전설은 그의 연인이었던 아르테미스가 오빠인 아폴론에게 속아서 그를 과녁삼아 쏴 죽이게 만들어서 하늘의 별자리가 되었다는 것이다. 하늘의 별자리 배열과 관련있는 다른 전설은 아르테미스와 사냥을 하던 오리온이 지상의 모든 짐승을 사냥할 수 있다는 말을 하자 이 말을 듣고 그를 교만하다 여긴 여신 헤라전갈을 보내서 그를 쏘아 죽이도록 하였는데 이 결과 슬픔에 빠진 아르테미스가 그를 하늘의 별자리가 되게 하였고, 오리온을 죽인 전갈은 헤라에 의해서 별자리가 되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오리온은 별이 되고 나서도 전갈이라면 기겁을 하여서 천구상에서 오리온자리와 전갈자리는 거의 반대편에 자리하게 되었다. 실제로 전갈자리가 동쪽 지평선에서 나타나기 시작할 때면 오리온자리가 지평선 아래로 들어가서 두 별자리의 동시 관측은 불가능하다.

이외에 하늘의 큰개자리작은개자리가 오리온의 사냥개라고 알려져 있기도 하다. 또한 이 별자리들과 맞서는 별자리가 바로 사냥감 중 하나인 황소자리이다.

삼태성

동아시아에서는 오리온의 허리 부분에 해당하는 별 셋을 따로 삼태성(三太星)이라고 한다. 영미권에서도 오리온의 허리띠, 혹은 벨트라고 불리는 부분으로 1등성은 아니지만 꽤 밝은 별에 속하는 2등성 3개[3]가 거의 일직선이면서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모습으로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여러 문화권에서 이 세 별이 별자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동양에서는 이 세 별을 3명의 장군별로 보았으며, 이집트에서는 오시리스와 관련이 있는 별로 여겨졌다. 또한 팔레스타인 일대에서는 옛 거인족인 네피림의 상징이기도 하였으며, 성경에서도 이 별들이 등장한다[4]

구성 항성

오리온자리는 밝은 항성이 다수 있다.

  • α Ori - 베텔게우스(Betelgeuse): 적색거성이다. 오리온의 오른쪽 어께 부분에 자리하고 있는 별로 밝기는 0.4~1.3등급 사이를 약 5년 반 정도 주기로 변화하는 변광성이다.
  • β Ori - 리겔(Rigel): 청색거성이다. 오리온의 왼쪽 다리 부분에 자리하고 있느 별로 0.1등성의 밝은 백색별이다.
  • γ Ori - 벨라트릭스(Bellatrix): 아마존을 상징하는 별로 1.6등급의 밝은 별이다.
  • δ Ori - 민타카(Mintaka): 2.2등성의 백색별로 삼태성의 맨 우측[5]에 있는 별이다.
  • ε Ori - 알닐람(Alnilam): 1.7등성의 백색별로 삼태성 한가운데 있는 별이다.
  • ζ Ori - 알니탁(Alnitak): 1.8등성의 황백색별로 삼태성 맨 왼쪽[6]에 있는 별이다.
  • η Ori - 오리온자리 에타: 사중성계
  • θ Ori - 트라페지움(Trapezium Cluster): 단일한 별이 아니라 4개의 별들이 함께 성단이다. 사다리꼴 성단이라고도 부르는 산개성단으로 오리온자리 대성운의 중심부이기도 하다.
  • ι Ori - 하트샤(Hatsya): 2.8등성
  • κ Ori - 사이프(Saiph): 오리온의 오른발로 2.1등성이다.
  • λ Ori - 메이사(Meissa): 오리온의 머리 부분에 있는 별로 3.4등성의 별이다.
  • π Ori - 오리온자리 파이: 오리온자리 서쪽 팔의 '방패'에 해당한다. 이중 파이3 별은 타빗이란 고유명이 있다.
  • σ Ori - 오리온자리 시그마: 다중성계로 알니탁 바로 남쪽에 있다.

심원 천체

오리온자리에는 성운이 다수 있다. 때문에 질량이 큰 별들이 생겨나고 있으며, 위 문단에 소개된 별들도 대부분 이와 관련이 있다.

  • 오리온자리 대성운 (메시에 42, NGC 1976): 발광 성운을 대표하는 밝은 천체이다. 밝기는 4등급.
  • 드모이란 성운 (메시에 43, NGC 1982): 발광 성운으로 오리온 대성운의 일부로 들어가 있다.
  • 말머리 성운 (바너드 33): 암흑 성운으로 알니탁 옆에 있다. 뒤에 있는 밝은 성운은 IC 434이다.
  • NGC 2023: 반사 성운으로 말머리 성운 옆에 있다.
  • 불꽃 성운 (NGC 2024, Sh2-277): 발광 성운으로 알니탁의 남쪽에 있다.
  • 메시에 78 (NGC 2068): 반사 성운
  • 37 성단 (NGC 2169): 6등급 산개 성단. 오리온자리의 동쪽 팔에 있다.
  • 원숭이머리 성운 (NGC 2174, Sh2-252): 발광 성운. 산개성단인 NGC 2175이 이 자리에 있다.
  • 로워 성운 (Sh2-261): 발광 성운
  • 오리온자리 람다 고리 (Sh2-264): 메이사 주변으로 보이는 성운으로, '에인절피시 성운'이라고도 불린다.
  • 바너드 루프 (Sh2-276): 오리온자리 몸통을 둘러싸는 반원 모양의 성운. 시직경이 20도에 이른다.
  • 러닝맨 성운 (Sh2-279): 발광 성운 및 반사 성운으로 이루어져 있다. 오리온 대성운 옆에 있다.

기타

  • 오리온자리 유성우 : 매년 10월 21일 부근에 발생하는 유성우이다.

각주

  1. calgary.rasc.ca 별자리 목록
  2. ianridpath.com 별자리 목록
  3. 민타카, 알니탁, 알닐람
  4. 욥기9:9, 38:31, 아모스 5:8 : 개역성경에서는 삼성(의 허리띠)으로 번역
  5. 북반구 관측자 입장
  6. 북반구 관측자 입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