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물자리 | |
---|---|
![]() |
|
중앙 적경 | 3시 55분[1] |
중앙 적위 | -60°00’[1] |
넓이 | 113.936 평방도[1] |
관측 범위 | N23°~S90°[2] |
그물자리(Reticulum)는 라카유족 별자리 중 하나로, 남반구 봄철(북반구 가을철)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별자리이다. 대한민국에서는 볼 수 없다.
이 별자리 주변으로 아래 별자리들이 이웃해 있다.
고물자리(Puppis)와는 전혀 다른 별자리이다.
유래[편집 | 원본 편집]
이 별자리는 1763년 라카유가 도입하여 생겨났다. 여기서 그물이란 광학 망원경에서 렌즈 시야의 중앙에 그려놓은 그물 모양의 조준기(reticle)를 뜻한다.
한편 이 별자리 영역은 1621년 아이작 하브렉트 2세(Isaac Habrecht Ⅱ)가 '마름모'(Rhombus)라는 이름으로 소개한 바 있다.
구성 천체[편집 | 원본 편집]
- α Ret: 3.3등급으로 그물자리에서 가장 밝다.
- ε Ret: 백색왜성과 외계행성을 동반하는 준거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 ζ Ret: 이중성계로 각 항성이 태양과 성질이 거의 비슷하다.
- NGC 1559: 나선 은하
기타[편집 | 원본 편집]
이 별자리 방향으로 7억~12억 광년 거리에 시계자리-그물자리 초은하단이 있다.
각주
황도 12궁 | |
---|---|
큰곰족 | |
헤르쿨레스족 | |
페르세우스족 | |
오리온족 | |
헤븐리 워터 | |
바이어족 | |
라카유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