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작자리 | |
---|---|
![]() |
|
중앙 적경 | 19시 37분[1] |
중앙 적위 | -65°47’ |
넓이 | 377.666 평방도 |
관측 범위 | N15°~S90°[2] |
공작자리(Pavo)는 바이어족 별자리 중 하나로, 남반구 겨울철(북반구 여름철) 남쪽 하늘에서 볼 수 있는 별자리이다. 대한민국에서는 볼 수 없다.
이 별자리 주변으로 아래 별자리들이 이웃해 있다.
유래[편집 | 원본 편집]
공작자리는 1603년 요한 바이어의 《우라노메트리아》에 처음 소개되었다.
구성 천체[편집 | 원본 편집]
- α Pav: 피콕 (Peacock), 1.9등급으로 공작자리에서 가장 밝다.
- NGC 6752 (콜드웰 93): 밤하늘에서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 큰부리새자리 47 다음으로 밝은 구상 성단.
- NGC 6744 (콜드웰 101): 2005년 초신성이 관측된 적이 있는 나선 성운.
각주
황도 12궁 | |
---|---|
큰곰족 | |
헤르쿨레스족 | |
페르세우스족 | |
오리온족 | |
헤븐리 워터 | |
바이어족 | |
라카유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