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은사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10명의 중간 판 6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1|奉恩寺驛 / Bongeunsa Station}}
{{새 철도역 정보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이름    = 봉은사
|+ 봉은사 / 奉恩寺 / Bongeunsa
|원어이름 =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9}}; color: white;" | '''[[서울 지하철 9호선|<span style="color: white;">서울 지하철 9호선</span>]]'''
|글자색  = white
|-
|그림    = Bongeunsa Station 20150328 151433196.JPG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9}}; color: white;" | 역번
|그림설명 =  
|| '''929'''
|그림alt  =
|-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지하601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9}}; color: white;" | 주소
|번호    = {{역번호/한국|929|수도권|9}}
||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지하601<br />(舊 삼성동 111-8번지)
|노선    = [[서울 지하철 9호선]] <small>30.3 km</small>
|-
|관할    = [[서울교통공사]]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9}}; color: white;" | 개업일
|개업일  = [[2015년]] [[3월 28일]]
|| [[2015년]] [[3월 28일]]
|폐지일  =
|-
|코드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9}}; color: white;" | 운영기관
|승강장  = 2면 2선
|| [[서울교통공사]] (Seoul Metro)
|관련역  =
|-
|참고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9}}; color: white;" | 승강장
|비고    =  
|| [[상대식 승강장]]
|하위 틀  =
|}
}}


== 개요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강남)|삼성동]]에 위치한 지하철역.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지하철역


역명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역 근처에 [[봉은사]]가 있어 해당 사찰의 역명을 따왔다. 다만 이 과정에서 종교 갈등이 벌어졌었는데...자세한 건 후술.
역명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역 근처에 [[봉은사]]가 있어 해당 사찰의 역명을 따왔다. 다만 이 과정에서 종교 갈등이 벌어졌었는데...자세한 건 후술.
== 연혁 ==
[[2015년]] [[3월 28일]]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의 2단계 구간([[신논현역|신논현]]-[종합운동장역 (서울)|종합운동장]]) 구간이 개통되면서 개업한 역이다.
== 특징 ==
* 이 역 근처에는 [[코엑스]]와 [[봉은사]]가 있다. 그리고 영동대로 남쪽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삼성역 (서울)|삼성역]]도 있으며, 코엑스 몰 리모델링 후 새롭게 이사온 [[반디앤루니스]] 서점도 있다.


* [[서울 경전철 위례신사선]]이 이 역을 통과할 예정이다.
== 역사 ==
* 2014년 12월 18일: 역명을 '''봉은사'''로 결정<ref>서울특별시고시 제2014-436호</ref>
* 2015년 3월 28일: 9호선 [[신논현역|신논현]]~[[종합운동장역 (서울)|종합운동장]] 구간 개통과 함께 개업


* [[GTX]] A선이 이 역과 [[삼성역 (서울)|삼성역]]을 통과할 예정인데, 봉은사역과 삼성역 사이에 GTX 역을 놓아 두 역 사이를 연결하겠다는 계획이 있다. <del>물론 [[막장환승]] 될지도...</del> 게다가 이 근처에 대규모 개발계획이 존재하는데, [[서울특별시]]의 삼성동 MICE 개발 계획과 더불어 [[현대자동차그룹]]에서 [[한국전력공사]] 부지 (코엑스 바로 맞은편)에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지상 115층, 높이 571m짜리 [[글로벌 비즈니스 센터]]를 건설할 예정인지라<ref>완공 시 [[롯데월드타워]](123층/556m)를 꺾고 [[마천루/대한민국|국내 최고층 건물]]이 될 예정이다.</ref> 향후 [[2020년]] 무렵에 이 지역 주변은 많이 바뀔지도...
== 시설 ==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역명 논란 ==
{{철도승강장|구조=
사실 2단계 구간이 대부분 그랬지만, '''봉은사역 같은 경우 역명 확정을 하는 데에 진통이 심했다.''' 왜 그리 되었냐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9}} |승강장 번호=상행|승강장 정보='''9호선 급행 · 일반''' [[신논현역|신논현]] · [[노량진역|노량진]] · [[개화역|개화]] 방면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서울 지하철 9호선]] [[삼성중앙역|삼성중앙]]<sup>일반</sup> / [[선정릉역|선정릉]]<sup>급행</sup>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서울 지하철 9호선 [[종합운동장역 (서울)|종합운동장]]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9}} |승강장 번호=하행|승강장 정보='''9호선 급행 · 일반''' [[종합운동장역 (서울)|종합운동장]] · [[석촌역|석촌]] · [[중앙보훈병원역|중앙보훈병원]] 방면 
}}
}}


착공 당시 9호선 929번 정거장의 임시 역명은 '[[코엑스]]역'이었으나<ref>오히려 앞에 있던 [[삼성중앙역]]의 가칭이 봉은역이었다. 다만 실질적으로 봉은사와 가까운 역이 929번 정거장이었으니...</ref> 봉은사 측에서는 서울특별시에 역명을 봉은사역으로 지정해 줄 것을 요청했다.
== 주변 정보 ==
역 주변에 [[코엑스]], [[스타필드 코엑스몰]]과 [[봉은사]]가 있다. 그리고 영동대로 남쪽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삼성역]]도 있다.


이미 코엑스는 [[서울 지하철 2호선]] [[삼성역 (서울)|삼성역]]에 부역명 '''무역센터'''로 들어가 있는 데다가, [[1979년]]에 개장한 코엑스보다 신라왕조 때 세워졌던 봉은사가 역사적으로도 오래되었던 점도 있기 때문에 봉은사역으로 지정하는 것이 좋다고 입장을 밝혔고, 주변 지역 주민들도 나쁘지 않다는 반응을 보였다.
== 역명 논란 ==
 
사실 2단계 구간이 대부분 그랬지만, 봉은사역 같은 경우 역명 확정을 하는 데에 진통이 심했다. 착공 당시 9호선 929번 정거장의 임시 역명은 '[[코엑스]]역'이었으나 봉은사 측에서는 서울특별시에 역명을 봉은사역으로 지정해 줄 것을 요청했다. 앞에 있던 [[삼성중앙역]]의 가칭이 봉은역이었다. 실질적으로 봉은사와 가까운 역이 929번 정거장이었다.
이에 따라 [[2014년]] 말 서울시 지명위원회에서는 "봉은사역"으로 확정했다. 서울 지하철 사상 사실상 최초로 사찰 역명이 들어간 역인 셈. <del>[[새절역]]도 있지만 그건 넘어가자</del> '''거기까지는 좋았다...'''
 
그런데, 확정된 이후 [[개신교]] 측에서 딴지를 걸게 된다. 역명을 [[코엑스]]역으로 바꿔야 한다는 개신교 단체들의 주장이 이어졌다. 이들의 주된 논지는 봉은사라는 사찰을 역명에 집어넣은 것이 종교편향적이라는 것이다. <del>그럼 [[회룡역]]과 [[망월사역]]은 어떻게 되는 거죠</del> 이에 대해 서울시는 이미 3차례 논의를 거쳐 확정된 역명을 바꿀 타당한 이유가 되지 않는다면서 거부한 상황.
 
문제는 과거 개신교계가 [[2001년]] '''[[이수역]]의 역명으로 희대 [[병크]]를 저지른 전력이 있기 때문에''' 이들의 주장 자체에 대해 [[철도 동호인]]들을 비롯해 많은 사람들이 개신교계의 [[이중잣대]]라고 비판하는 상황이며, 이런 개신교에 대한 반발심 때문인지 박원순 시장에 반대하는 일부 극우사이트에서까지도 이번건 만큼은 지지를 보내기도 한다. <del>말 그대로 반기독교 좌우합작운동 당장 고속철도 [[울산역]]의 [[통도사]] 병기를 기를 쓰고 반대한 집단이 어딘지 참고하자.</del> 더군다나 개신교계에서 주장하는 논지 중 하나가 "[[친일]]인사 중 봉은사 출신 인물이 있다"라고 하면서 타 종교를 깎아내리기에 이르는데, 개신교 계열 인물 중에도 친일인사는 얼마든지 있다. <del>[[자폭]]</del>
 
이렇게 종교간 갈등이 심화되게 되자, '''봉은사(코엑스)역''' 식으로 부역명을 넣자는 제안도 있다. 부지 자체도 코엑스가 제공한 부지도 꽤 있는지라...[[대화역|대화(킨텍스)역]]의 케이스를 예를 들어 그런 제안을 하는 사람들도 있는 편.


다만 전술했듯이 코엑스는 이미 [[삼성역 (서울)|삼성(무역센터)역]] 식으로 부역명을 쓰고 있는 데다가,<ref>코엑스의 이칭이 '''한국종합무역센터''', 즉 '''World Trade Center Seoul(WTC Seoul)'''이다. 구칭은 KWTC</ref> 봉은사는 강남에 [[1200년]] 가까이 존재한 절인지라 역명으로 사용하더라도 문제는 없으며,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정한 이름이니 바꿀 필요가 없다는 서울시의 입장.
이미 코엑스는 [[서울 지하철 2호선]] [[삼성역]]에 부역명 '''무역센터'''로 들어가 있는 데다가, [[1979년]]에 개장한 코엑스보다 신라왕조 때 세워졌던 봉은사가 역사적으로도 오래되었던 점도 있기 때문에 봉은사역으로 지정하는 것이 좋다고 입장을 밝혔고, 주변 지역 주민들도 호의적이었다. 이에 따라 [[2014년]] 말 서울시 지명위원회에서는 "봉은사역"으로 확정했다. 서울 지하철 사상 사실상 최초로 사찰 역명이 들어간 역인 셈.


그리고 결정적으로 말하면, '''코엑스는 사기업이기 때문에 서울 지하철 역명으로는 부적합하다'''는 점이다. 서울 지하철 역명제정 기준에는 사기업명의 인지도는 '''애초에 고려대상에 들어가 있지도 않으니''' [[대구은행역]],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 같은 다른 대도시 도시철도역의 사례와 비교할 필요는 없는 셈. 특히 코엑스역을 인정하게 될 경우, [[언주역]]은 '''차병원 사거리역'''으로, [[신논현역]]은 '''교보타워 사거리역'''으로 주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나쁜 선례가 될 것임은 자명한 사실.<ref>특히 신논현역의 경우, 과거 교보타워사거리라는 지명이 워낙 알려져 있었기 때문에, 1단계 기공 당시에도 개화-교보타워사거리라고 쓸 정도였다.</ref>
그런데, 확정된 이후 [[개신교]] 측에서 클레임을 걸었다. 봉은사라는 사찰을 역명에 집어넣은 것이 종교편향적이라는 주장을 하였다. 역명을 [[코엑스]]역으로 바꿔야 한다는 개신교 단체들의 주장이 이어졌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이미 3차례 논의를 거쳐 확정된 역명을 바꿀 타당한 이유가 되지 않는다면서 거부했다. 일각에선, '''봉은사(코엑스)역''' 식으로 부역명을 넣자는 제안도 있었다.


결정적으로 코엑스는 사기업이기 때문에 서울 지하철 역명으로는 부적합했다. 서울 지하철 역명제정 기준에는 사기업명의 인지도는 애초에 고려대상에 들어가 있지도 않았다. <ref>다만 지방 도시철도의 경우 [[대구은행역]],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 처럼 사기업 이름이 역명으로 들어간 사례가 있다. </ref> [[언주역]]은 '''차병원 사거리역'''으로, [[신논현역]]은 '''교보타워 사거리역'''으로 명명되지 않는 것과 동일한 맥락이다. 특히 신논현역의 경우, 과거 교보타워사거리라는 지명이 워낙 알려져 있었기 때문에, 1단계 기공 당시에도 개화-교보타워사거리라고 쓸 정도였다.
* 1순위: 정거장 주변의 옛지명 또는 법정 및 행정구역 명칭
* 1순위: 정거장 주변의 옛지명 또는 법정 및 행정구역 명칭
* '''2순위: 고적·사적 등 문화재 명칭'''
* '''2순위: 고적·사적 등 문화재 명칭'''
61번째 줄: 62번째 줄:
[[썰전]] 106회에서도 이 논란을 다루었다. [[강용석]]에 따르면, 봉은사역을 택한 이유는 봉은사가 앞으로도 존속할 시설이라는 이유라고. <del>[[덤으로 부역명 유상판매 정책]]도 깠다</del>
[[썰전]] 106회에서도 이 논란을 다루었다. [[강용석]]에 따르면, 봉은사역을 택한 이유는 봉은사가 앞으로도 존속할 시설이라는 이유라고. <del>[[덤으로 부역명 유상판매 정책]]도 깠다</del>


역이 개장한 후로도 이 논란은 사그라들지 않아서, 소상공인협회가 "코엑스역으로 바꿔달라"는 요구까지 하게 된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277&aid=0003466785&viewType=pc #] <del>볼수록 접입가경.</del> 이에 대한 시민들의 시각은 매우 비판적이다. <del>배플: '''"왜? [[잠실역]]도 [[롯데월드]]역으로 바꾸지?"'''</del>
역이 개장한 후로도 이 논란은 사그라들지 않아서, 소상공인협회가 "코엑스역으로 바꿔달라"는 요구까지 하게 된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277&aid=0003466785&viewType=pc #] <del>배플: '''"왜? [[잠실역]]도 [[롯데월드]]역으로 바꾸지?"'''</del>
다만 개통 한달 즈음 된 후부터는 어느 정도 사그라든 듯 하다.
 
철도 동호인들은 기독교계를 비판할 때 언급한다. 유사한 사례로는 [[이수역]] - [[총신대입구역]] 논란이 있다.
 
== 미래 ==
[[위례신사선]]이 이 역을 통과할 예정이다. 또한 [[GTX]] A선이 이 역과 [[삼성역]]을 통과할 예정인데, 봉은사역과 삼성역 사이에 GTX 역을 놓아 두 역 사이를 연결하겠다는 계획이 있다. <del>물론 [[막장환승]] 될지도...</del> 게다가 이 근처에 대규모 개발계획이 존재하는데, [[서울특별시]]의 삼성동 MICE 개발 계획과 더불어 [[현대자동차그룹]]에서 [[한국전력공사]] 부지 (코엑스 바로 맞은편)에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지상 115층, 높이 571m짜리 [[글로벌 비즈니스 센터]]를 건설할 예정인지라<ref>완공 시 [[롯데월드타워]](123층/556m)를 꺾고 [[마천루/대한민국|국내 최고층 건물]]이 될 예정이다.</ref> 향후 [[2020년]] 무렵에 이 지역 주변은 많이 바뀔지도...


다만 개통 한달 즈음 된 후부터는 어느 정도 사그라든 듯 하다.
== 경유 열차 ==
=== 수도권 전철 ===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계통|배경색={{한국 철도 노선색2|S9|9}}|글자색=white|계통=서울 지하철 9호선|링크=서울 지하철 9호선}}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9}}|글자색=white|계통=[[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
{{경유 계통|전방면=[[김포공항역|김포공항]] 방면|전역={{역번호/한국|927|S9|9|ls=-0.05}} [[삼성중앙역|삼성중앙]]|전거리=0.8 km
{{경유 계통|전방면=[[김포공항역|김포공항]] 방면|전역={{역번호/한국|927|수도권|9}} [[선정릉역|선정릉]]|전거리=1.6 km
|당역={{역번호/한국|929|S9|9|ls=-0.05}} '''김포공항'''|등급={{구조물 번호|급행|red|#ffffff}}
|당역={{역번호/한국|929|수도권|9}} '''봉은사'''|등급={{구조물 번호|급행|red|white}}
|후방면=[[종합운동장역 (서울)|종합운동장]] 방면|후역={{역번호/한국|930|S9|9|ls=-0.05}} [[종합운동장역 (서울)|종합운동장]]|후거리=1.4 km}}
|후합치기=2|후방면=[[중앙보훈병원역|중앙보훈병원]] 방면|후역={{역번호/한국|930|수도권|9}} [[종합운동장역 (서울)|종합운동장]]|후거리=1.4 km}}
{{경유 계통|전방면=[[개화역|개화]] 방면|전역={{역번호/한국|928|S9|9|ls=-0.05}} [[선정릉역|선정릉]]|전거리=0.8km
{{경유 계통/후생략|전방면=[[개화역|개화]] 방면|전역={{역번호/한국|928|수도권|9}} [[삼성중앙역|삼성중앙]]|전거리=0.8 km
|당역={{역번호/한국|929|S9|9|ls=-0.05}} '''김포공항'''|등급=일반
|당역표시=1|당역={{역번호/한국|929|수도권|9}} '''봉은사'''|등급=일반
|후방면=[[종합운동장역 (서울)|종합운동장]] 방면|후역={{역번호/한국|930|S9|9|ls=-0.05}} [[종합운동장역 (서울)|종합운동장]]|후거리=1.4 km}}
}}
{{경유 계통/닫기}}
{{경유 계통/닫기}}
{{각주}}
{{각주}}
[[분류:서울 지하철 9호선]]
 
[[분류:서울 강남구의 철도역]]
[[분류:서울 도시철도 9호선]]
[[분류:전철역]]
[[분류:서울특별시에 있는 철도역]]

2024년 1월 18일 (목) 22:38 기준 최신판

봉은사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지하601
번호  929 
노선 서울 지하철 9호선 30.3 km
관할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2015년 3월 28일
승강장 2면 2선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지하철역.

역명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역 근처에 봉은사가 있어 해당 사찰의 역명을 따왔다. 다만 이 과정에서 종교 갈등이 벌어졌었는데...자세한 건 후술.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2014년 12월 18일: 역명을 봉은사로 결정[1]
  • 2015년 3월 28일: 9호선 신논현~종합운동장 구간 개통과 함께 개업

시설[편집 | 원본 편집]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역 주변에 코엑스, 스타필드 코엑스몰봉은사가 있다. 그리고 영동대로 남쪽으로 2호선 삼성역도 있다.

역명 논란[편집 | 원본 편집]

사실 2단계 구간이 대부분 그랬지만, 봉은사역 같은 경우 역명 확정을 하는 데에 진통이 심했다. 착공 당시 9호선 929번 정거장의 임시 역명은 '코엑스역'이었으나 봉은사 측에서는 서울특별시에 역명을 봉은사역으로 지정해 줄 것을 요청했다. 앞에 있던 삼성중앙역의 가칭이 봉은역이었다. 실질적으로 봉은사와 가까운 역이 929번 정거장이었다.

이미 코엑스는 서울 지하철 2호선 삼성역에 부역명 무역센터로 들어가 있는 데다가, 1979년에 개장한 코엑스보다 신라왕조 때 세워졌던 봉은사가 역사적으로도 오래되었던 점도 있기 때문에 봉은사역으로 지정하는 것이 좋다고 입장을 밝혔고, 주변 지역 주민들도 호의적이었다. 이에 따라 2014년 말 서울시 지명위원회에서는 "봉은사역"으로 확정했다. 서울 지하철 사상 사실상 최초로 사찰 역명이 들어간 역인 셈.

그런데, 확정된 이후 개신교 측에서 클레임을 걸었다. 봉은사라는 사찰을 역명에 집어넣은 것이 종교편향적이라는 주장을 하였다. 역명을 코엑스역으로 바꿔야 한다는 개신교 단체들의 주장이 이어졌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이미 3차례 논의를 거쳐 확정된 역명을 바꿀 타당한 이유가 되지 않는다면서 거부했다. 일각에선, 봉은사(코엑스)역 식으로 부역명을 넣자는 제안도 있었다.

결정적으로 코엑스는 사기업이기 때문에 서울 지하철 역명으로는 부적합했다. 서울 지하철 역명제정 기준에는 사기업명의 인지도는 애초에 고려대상에 들어가 있지도 않았다. [2] 언주역차병원 사거리역으로, 신논현역교보타워 사거리역으로 명명되지 않는 것과 동일한 맥락이다. 특히 신논현역의 경우, 과거 교보타워사거리라는 지명이 워낙 알려져 있었기 때문에, 1단계 기공 당시에도 개화-교보타워사거리라고 쓸 정도였다.

  • 1순위: 정거장 주변의 옛지명 또는 법정 및 행정구역 명칭
  • 2순위: 고적·사적 등 문화재 명칭
  • 3순위: 국가 주요 공공기관 또는 주요 공공시설 명칭
  • 4순위: 기타 시민이 정거장 위치를 쉽게 알 수 있는 지역 명칭

즉, 봉은사는 2번, 코엑스는 4번이 되어 애당초 봉은사가 우선순위인 셈이다. 썰전 106회에서도 이 논란을 다루었다. 강용석에 따르면, 봉은사역을 택한 이유는 봉은사가 앞으로도 존속할 시설이라는 이유라고. 덤으로 부역명 유상판매 정책도 깠다

역이 개장한 후로도 이 논란은 사그라들지 않아서, 소상공인협회가 "코엑스역으로 바꿔달라"는 요구까지 하게 된다. # 배플: "왜? 잠실역롯데월드역으로 바꾸지?" 다만 개통 한달 즈음 된 후부터는 어느 정도 사그라든 듯 하다.

철도 동호인들은 기독교계를 비판할 때 언급한다. 유사한 사례로는 이수역 - 총신대입구역 논란이 있다.

미래[편집 | 원본 편집]

위례신사선이 이 역을 통과할 예정이다. 또한 GTX A선이 이 역과 삼성역을 통과할 예정인데, 봉은사역과 삼성역 사이에 GTX 역을 놓아 두 역 사이를 연결하겠다는 계획이 있다. 물론 막장환승 될지도... 게다가 이 근처에 대규모 개발계획이 존재하는데, 서울특별시의 삼성동 MICE 개발 계획과 더불어 현대자동차그룹에서 한국전력공사 부지 (코엑스 바로 맞은편)에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지상 115층, 높이 571m짜리 글로벌 비즈니스 센터를 건설할 예정인지라[3] 향후 2020년 무렵에 이 지역 주변은 많이 바뀔지도...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9호선
김포공항 방면
 927  선정릉
 929  봉은사
 급행 
중앙보훈병원 방면
 930  종합운동장
개화 방면
 928  삼성중앙
 929  봉은사
일반

각주

  1. 서울특별시고시 제2014-436호
  2. 다만 지방 도시철도의 경우 대구은행역,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 처럼 사기업 이름이 역명으로 들어간 사례가 있다.
  3. 완공 시 롯데월드타워(123층/556m)를 꺾고 국내 최고층 건물이 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