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Sternradio: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소개: 올만에 와서 편집한다는 것이... ㅠㅠ)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7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일본 홋카이도로 교환학생 와 있는 대학생입니다.  
{{인용문|[[통계|Statistics]] are simply descriptions in numerical form.|[[케네스 월츠|Kenneth N. Waltz]]<ref>Waltz, K. N. (1979).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Reading, MA: Addison-Wesley.</ref>{{rp|3}}}}
관심분야: 바이에른 뮌헨, 분데스리가, , 국제정치, 언어학, 일본, 홋카이도 등
{{인용문|[[권력|Power]] for its own sake is hollow.|J. Samuel Barkin<ref>Barkin, J. S. (2003). Realist constructivism. International Studies Review, 5(3), 325-342.</ref>{{rp|333}}}}
== 소개 ==
정치외교학을 전공하는 [[대학원생]]입니다. 네, 망했습니다. 이런저런 일로 바쁘고 아는 것도 다 떨어져서 요즘엔 눈팅만 하고 있습니다. 공부를 좀 더 하고, 여유가 생기면 다시 위키 작성을 시작해볼까 합니다.


Messgram, [[Tonight Alive]], Thrice 같은 밴드들 짱조아합니다. 여러분도 들으세요. 여러 번 들으세요. 요즘엔 Skarlett Riot, The Dirty Youth, Icon for Hire도 격하게 좋아합니다. 아, 글리치 합(Glitch Hop)도 좋더군요.


= [[인용]] 초안 =
=== 아이디 ===
{{학문 관련 정보}}
{{참조|사:sternradio/아이디}}
'''인용(引用, Citation)'''은 다른 사람의 말이나 글을 끌어다 쓰는 것을 가리킨다.


일상생활에서는 굳이 출처를 밝히지 않는 경우가 많다. 반면 학계에서는 '인용'에 관한 내용만으로도 워크숍을 진행할 수 있을 정도로 중요하고 엄격한 것이 인용이다. 참고로 영어에서는 citation과 quotation을 구분한다. Citation은 '아이디어'를 빌려오는 것을 말하고, quotation은 한 글자 한 글자 가져오는 것을 말한다.<ref> [https://www.boundless.com/writing/textbooks/boundless-writing-textbook/academic-writing-3/quoting-19/using-quotations-versus-citations-93-1348/ 참고1] [https://www.englishforums.com/English/CitationVsQuotation/xwkqj/post.htm 참고 2] </ref>
=== 서명 ===
<span style="text-shadow: 0px 0px 6px; color:#AA4488">'''[[사:sternradio|<span style="color: #ff0040; ">sternradio</span>]]'''<small> ([[사토:sternradio|토론]] | [[특수:기여/sternradio|기여]])</small></span>


== 인용 방식 ==
== 관심분야==  
[[바이에른 뮌헨]], [[분데스리가]], [[락]], [[국제정치학]], [[언어학]], [[일본]], [[홋카이도]] 등.


인용 방식은 크게 두 가지 기준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문법적인 구분으로, [[외국어]]를 배울 때 주로 접할 구분이다. 둘째는 표기방법별 구분으로, 주로 인용의 출처를 어떻게 표기하는가에 따라 종류가 나뉜다. 대게 학계에서 쓰는 방법이다.
"국제정치학" 구글링 1페이지에 뜰 때까지 정진하겠습니다....라고 적어뒀는데 어느샌가 달성! 이젠 1페이지 첫번째 자리를 탈환해봅시다....도 어느샌가 달성! 이젠 이 자리를 오래도록 유지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문법적 구분 ===
== 기억에 남는 기여 ==
==== 직접 인용 ====
* [[토마스 뮐러]]
큰 따옴표 안에 인용할 문구를 넣는 것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인용(引用)은 하나의 저작물을 원저자를 밝히고 널리 알려진 형식을 사용하여 다른 저작물에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ref>[http://ko.wikipedia.org/wiki/%EC%9D%B8%EC%9A%A9 출처]. 액세스 시점: 2015년 4월 21일</ref>
* [[FC 바이에른 뮌헨]] 및 하위문서, 소속 선수 문서들
==== 간접 인용 ====
* [[국제정치학]]
다음과 같이, 큰 따옴표를 사용하지 않고 인용을 하는 것이다. 원저자를 명시하면서, 널리 알려진 수단으로 저작물을 다른 저작물에 사용하는 행위를 인용이라고 한다.<ref>[http://ko.wikipedia.org/wiki/%EC%9D%B8%EC%9A%A9 Ibid.]</ref> 간접인용을 할 때는 원문의 표현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는 편이 좋다. 원문의 표현을 그대로 가져다 쓰는 것은 직접 인용과 다를 바가 없고, 그 상황에서 큰 따옴표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엔 [[저작권|심히 골룸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 [[현실주의 (국제정치학)]]
** [[자유주의 (국제정치학)]]
** [[구성주의 (국제정치학)]]
** [[국제 레짐]]
** [[동맹]]
** [[세력균형]]
**[[패권]]
** [[틀:국제정치학 둘러보기]]
* [[국제법]]
**[[조약]]
**[[하늘의 자유]]
* [[국가영역]]
* [[민족주의]]
* [[오리엔탈리즘]]
* [[게임이론]]
* [[한류]]
* [[인용]]
* [[웹툰]]
* [[언어습득론]]
** [[사용자:sternradio/언어 습득|언어습득론 초안]]
* [[러시아식 유머]]
* [[국뽕]]
* [[베이스 기타]]
* [[커피전문점]]
* [[사이폰 커피]]
* [[쉬운 영어]]
* [[시리즈:사막에서 바늘도 찾는 정보검색법]]
* [[리브레 씨, 농담도 잘하시네!]]


=== 표기방법별 구분 ===
== 번역한 문서 ==
보통 [[대학교]]에 들어가 [[레포트]]를 쓰게 되면서 각잡힌 인용방법을 처음 익히게 된다. 인용 방식에도 여러가지가 있다는 걸 알고나서 [[멘붕]]한 사람도 있을지 모르겠다. [[MS 워드]]에서도 인용 기능을 지원하는데, 여기에 기본 등록된 인용 방식들은 다음과 같다.
* [[핑거 스냅]]
* [[국제정치의 사회적 이론]] - 번역이랑 인용으로 어떻게 작성은 해놨는데 정작 제가 안 읽어봤다는게 좀 많이 찔리네요... 한국 돌아가면 꼭 읽어봐야겠습니다.  
* [[알렉산더 웬트]]
* [[피터 카첸슈타인]]
* [[정치지리학]]
* [[핼퍼드 매킨더]]
* [[지정학]]
* [[케네스 월츠]]


* APA
== 하위문서 ==
* Chicago
* [[사용자:Sternradio/힘의 균형|세력균형]] 초안
* GB7714
* [[사용자:sternradio/인용|인용]] 초안
* GOST - 이름정렬
* [[사용자:sternradio/언어 습득|언어습득론 초안]]
* GOST - 제목정렬
* [[사용자:sternradio/Finger snapping|핑거 스냅 초안]]
* Harvard - Anglia
* [[사용자:sternradio/삽질|연습장]]
* IEEE
* [[사:sternradio/알렉산더 웬트|알렉산더 웬트]] - [[알렉산더 웬트]], [[국제정치의 사회적 이론]] 번역 작업 문서
* ISO 690 - 숫자강조
* [[사:sternradio/정치지리학|정치지리학]] - 번역 완료후 [[정치지리학]]으로 옮김
* ISO 690 - 첫 번째 요소 및 날짜
* [[사:sternradio/지정학|지정학]] - 우선 제가 맡았던 부분(=러시아, 프랑스 지정학 빼고 전부!)에서 곁가지는 쳐내고 번역을 완료해서 현재는 [[지정학]]이 되었습니다!
* MLA
* [[사:sternradio/동맹|동맹]] <s>초안</s> 초판 작성 후 이동 완료
* SIST02
* [[사:sternradio/국가영역|국가영역]] 사용자문서 하위문서에서 작성 후 [[국가영역]]으로 이동
* Turabian
* [[사:sternradio/번역장|번역장]] - 문단 단위(문서 미만) 번역 작업장
{{ㅊ|뭐 이리 많아}}
* [[사:sternradio/imagined geographies]] - 일단 대책없이 포크해봄


==== 괄호 인용 ====
== 야망 ==
[[인문학|인문]][[사회과학]]계열에서는<ref>기타 분야에서는 어떻게 하는지 아는 분께서 [[추가바람]]</ref> 인용을 할 때 괄호인용을 사용하는 것이 주류다.  
언젠가 작성해볼 생각인 것들
이는 인용한 내용 ''''''에 (원저자, 연도)를 사용하여 출처를 간략히 밝혀주고, 문헌 마지막의 참고문헌([[영어]]로는 References, Bibliography, 혹은 Works Cited라고 한다) 부분에
*[[영해]], [[영공]], [[영토]], [[배타적경제수역]], [[접속수역]] - 살을 붙여서 [[국가영역]]에서 분리독립
*[[외교]] - <s>[[사:sternradio/외교]]에서 번역 노가다를 해봅시다 </s> 퀄리티가 영 못미더워서 언젠가 직접 작성하는게 낫겠습니다.
*[[국제기구]] - 아무래도 다음 학기에 국제기구론을 들어야할까.  
*<s>[[케네스 월츠]](Kenneth Waltz) - 영위백 번역하자. --[[사:sternradio/케네스 월츠|여기]]서 작업중.</s> {{완료}}
*[[베네딕트 앤더슨]](Benedict Anderson) - 영위백 번역하자. (2)
*[[지역통합]] - 현실적으로 유럽통합이론과 거의 같을 텐데, 어떡할까? 동아시아 지역통합 얘기를 다룬 논문/책이 많긴 한데... 동아시아공동체 수업의 구성을 따라가도 괜찮을 듯.
**[[유럽통합]]
*[[경제통합]] - 자유무역협정, 관세동맹, 단일시장 이렇게 나아가는 그 경제통합이론 말입니다. 수업자료랑 교과서 한두 권이면 몇천 바이트는 나오겠네요.
*[[국제정치경제학]](IPE) - 수업 자료를 바탕으로 간략하게 가도 일단은 충분할 듯. 여력이 된다면 『국제관계론강의 2』를 장만해서 참고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아니면 그냥 원문 보든지. <s>귀찮다.</s>
*한일관계사 혹은 동아시아 국제관계사 - 관련 수업만 세 개를 들었으니 수업 필기를 참고하면 자료는 충분할 듯. 문제는 신뢰도와 나의 비전문성. 구성은 연대순으로 연표 짜듯이 쓰면 될 듯. 한 항목에 한 사건/시대 같은 느낌으로. 자세한 건 [[:틀:참조]]를 써서 떠넘기자.
* [[국가체제]] - 단극체제(?), 단극적 다극체제, 양극체제, 다극체제(이상 Kenneth Waltz) 국제적 국가체제, 종주적 국가체제 / 1차적 국가체제, 2차적 국가체제(이상 Martin Wight), 홉스적/로크적/칸트적 국가체제(이상 Alexander Wendt) 등에 대한 소개, 설명을 예시와 함께 정리.
*: [[사:sternradio/국제체제]]에서 초안 작업중.
* [[:틀:국제정치학]] 새 문헌
** The "X" Article - [https://en.wikisource.org/wiki/The_Long_Telegram The Long Telegram]
** "철의 장막" 연설 - 어 근데 '문헌'? '개념'("철의 장막")으로 가야 할까?
* 좋아하는 밴드들
** [[Skarlett Riot]]
** [[Icon for Hire]]
** [[The Dirty Youth]]
** [[The Rasmus]]
** [[Thrice]]
** [[Panik]](Nevada Tan)
** [[Wir Sind Helden]]
** 등등 내가 좋아하면서 한국에서 너무 인지도가 높지 않아 한국어로 된 정보가 적은, 즉 희소성이 높을 밴드들로.


==== 각주 인용 ====


=== 리브레위키에서의 인용 ===
등등


=== 인용시 주의사항 ===
=== 보완 ===
==== 재인용 ====
* [[현실주의 (국제정치학)]]
재인용은 가급적이면 권장되지 않는다. 다만 외국어 능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반드시 원문을 이용해야 한다든지 등의 이유로 재인용이 불가피할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고려대학교]]에서는 재인용에 관해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논저자명, 논저명, 총서나 게재지명, 권수 및 호수, 발행 연월일, 인용하거나 참고한 쪽수 등을 순서대로 기입하고 재인용임을 밝힌다."<ref>[http://www.musictheory21.com/style-manual/pdf/ch4-b.pdf], 엑세스 날짜: 2015년 4월 21일</ref>
: '힘의 측정' 관련 내용 - 현실주의의 핵심 키워드는 힘(power)인 만큼 이를 어떻게 측정하는지(GDP, 인구, 1인당 GDP 등),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관한 논의도 당연히 들어가야. 참고: Goldstein (2002) pp. 86-91.  
: 역사 - Jackson & Sorensen (2010) chapter 3을 참고로.  
* [[자유주의 (국제정치학)]]
: 구성주의나 현실주의에 비해 너무 부실함. Jackson & Soerensen (2010) chapter 4와 김우상 외, 『국제관계론 강의1』 참고.
* [[국제정치학]]
: 소개/개괄 - Jackson & Sorensen (2010) chapter 2 참고. 현실주의, 자유주의, 국제사회(The English School), 국제정치경제학을 중심으로 역사를 간략히 다루자. 언제 어떤 배경에서 무슨 전통이 생겨났는지 간략하게 언급하는 것으로 충분할 듯. + 이미 있는 대논쟁 파트와의 관계도 고려해야. Goldstein (2002) pp. 19-27도 참고하자. 행위자(국가행위자/비국가행위자), 분석수준(세계/국가간/국내/개인)도 다룰 수 있으면 좋을 것이다.
* [[지정학]]
: 일본에서 사온 지정학(정치지리학) 책 내용을 여기저기 좀 끼워넣고, 방학에 학교 도서관에서 책 빌려다 녹여내고... 그정도면 대충 될 듯. 모델스키 이야기가 있던가? 흔히 언론/외교수사 등에서 사용되는 '지정학적'이란 표현에 관해서도 썰을 풀 수 있을 것이다. [http://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6/30/2009063001591.html 참고("'지정학적'이란 말은 없다")]
::{{완료}} 의외로 일본 지정학 내용을 추가했다.
* [[번역]] - 영어통번역+개인 경험을 살려서 이론적 부분이나 이런저런 팁들(현재완료의 번역 등)을 적어야겠다. <s>하지만 어느 세월에... ㅠㅠ</s>


== 인용의 예 =="
== 잡소리 ==
[[파일:Sephiroth sd namuwiki.png|thumb|5px|center]]


=== 예술에서의 인용 ===
=== 리브레 위키에 스파이를 심는 방법 ===
"사용자:{{사용자|본인 닉네임}}/common.js"에  <code>importScript("사용자:Sternradio/Sephirot.js");</code>를 붙여넣고 캐시를 갱신합니다.


== 자주 쓰이는 인용문 ==
[[file:Sephi2.png|thumb|300px|center|    "네네, 제가 바로 그 [[세피로트|스파이]]입니다."]]


== 각주 ==
=== 글을 덜 나쁘게 쓰는 10가지 방법 ===
<references/>
참 좋은 말씀이 있어 전해드리려고 적습니다.
 
[http://chronicle.com/article/10-Tips-on-How-to-Write-Less/124268 원문]
 
[http://ppss.kr/archives/14364 한국어 번역본(ㅍㅍㅅㅅ)]
 
 
{{각주}}

2016년 8월 4일 (목) 11:53 기준 최신판

Statistics are simply descriptions in numerical form.
Kenneth N. Waltz[1]:3
Power for its own sake is hollow.
— J. Samuel Barkin[2]:333

소개[편집 | 원본 편집]

정치외교학을 전공하는 대학원생입니다. 네, 망했습니다. 이런저런 일로 바쁘고 아는 것도 다 떨어져서 요즘엔 눈팅만 하고 있습니다. 공부를 좀 더 하고, 여유가 생기면 다시 위키 작성을 시작해볼까 합니다.

Messgram, Tonight Alive, Thrice 같은 밴드들 짱조아합니다. 여러분도 들으세요. 여러 번 들으세요. 요즘엔 Skarlett Riot, The Dirty Youth, Icon for Hire도 격하게 좋아합니다. 아, 글리치 합(Glitch Hop)도 좋더군요.

아이디[편집 | 원본 편집]

서명[편집 | 원본 편집]

sternradio (토론 | 기여)

관심분야[편집 | 원본 편집]

바이에른 뮌헨, 분데스리가, , 국제정치학, 언어학, 일본, 홋카이도 등.

"국제정치학" 구글링 1페이지에 뜰 때까지 정진하겠습니다....라고 적어뒀는데 어느샌가 달성! 이젠 1페이지 첫번째 자리를 탈환해봅시다....도 어느샌가 달성! 이젠 이 자리를 오래도록 유지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억에 남는 기여[편집 | 원본 편집]

번역한 문서[편집 | 원본 편집]

하위문서[편집 | 원본 편집]

야망[편집 | 원본 편집]

언젠가 작성해볼 생각인 것들

  • 영해, 영공, 영토, 배타적경제수역, 접속수역 - 살을 붙여서 국가영역에서 분리독립
  • 외교 - 사:sternradio/외교에서 번역 노가다를 해봅시다 퀄리티가 영 못미더워서 언젠가 직접 작성하는게 낫겠습니다.
  • 국제기구 - 아무래도 다음 학기에 국제기구론을 들어야할까.
  • 케네스 월츠(Kenneth Waltz) - 영위백 번역하자. --여기서 작업중. Yes check.svg 완료
  • 베네딕트 앤더슨(Benedict Anderson) - 영위백 번역하자. (2)
  • 지역통합 - 현실적으로 유럽통합이론과 거의 같을 텐데, 어떡할까? 동아시아 지역통합 얘기를 다룬 논문/책이 많긴 한데... 동아시아공동체 수업의 구성을 따라가도 괜찮을 듯.
  • 경제통합 - 자유무역협정, 관세동맹, 단일시장 이렇게 나아가는 그 경제통합이론 말입니다. 수업자료랑 교과서 한두 권이면 몇천 바이트는 나오겠네요.
  • 국제정치경제학(IPE) - 수업 자료를 바탕으로 간략하게 가도 일단은 충분할 듯. 여력이 된다면 『국제관계론강의 2』를 장만해서 참고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아니면 그냥 원문 보든지. 귀찮다.
  • 한일관계사 혹은 동아시아 국제관계사 - 관련 수업만 세 개를 들었으니 수업 필기를 참고하면 자료는 충분할 듯. 문제는 신뢰도와 나의 비전문성. 구성은 연대순으로 연표 짜듯이 쓰면 될 듯. 한 항목에 한 사건/시대 같은 느낌으로. 자세한 건 틀:참조를 써서 떠넘기자.
  • 국가체제 - 단극체제(?), 단극적 다극체제, 양극체제, 다극체제(이상 Kenneth Waltz) 국제적 국가체제, 종주적 국가체제 / 1차적 국가체제, 2차적 국가체제(이상 Martin Wight), 홉스적/로크적/칸트적 국가체제(이상 Alexander Wendt) 등에 대한 소개, 설명을 예시와 함께 정리.
    사:sternradio/국제체제에서 초안 작업중.
  • 틀:국제정치학 새 문헌
    • The "X" Article - The Long Telegram
    • "철의 장막" 연설 - 어 근데 '문헌'? '개념'("철의 장막")으로 가야 할까?
  • 좋아하는 밴드들


등등

보완[편집 | 원본 편집]

'힘의 측정' 관련 내용 - 현실주의의 핵심 키워드는 힘(power)인 만큼 이를 어떻게 측정하는지(GDP, 인구, 1인당 GDP 등),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관한 논의도 당연히 들어가야. 참고: Goldstein (2002) pp. 86-91.
역사 - Jackson & Sorensen (2010) chapter 3을 참고로.
구성주의나 현실주의에 비해 너무 부실함. Jackson & Soerensen (2010) chapter 4와 김우상 외, 『국제관계론 강의1』 참고.
소개/개괄 - Jackson & Sorensen (2010) chapter 2 참고. 현실주의, 자유주의, 국제사회(The English School), 국제정치경제학을 중심으로 역사를 간략히 다루자. 언제 어떤 배경에서 무슨 전통이 생겨났는지 간략하게 언급하는 것으로 충분할 듯. + 이미 있는 대논쟁 파트와의 관계도 고려해야. Goldstein (2002) pp. 19-27도 참고하자. 행위자(국가행위자/비국가행위자), 분석수준(세계/국가간/국내/개인)도 다룰 수 있으면 좋을 것이다.
일본에서 사온 지정학(정치지리학) 책 내용을 여기저기 좀 끼워넣고, 방학에 학교 도서관에서 책 빌려다 녹여내고... 그정도면 대충 될 듯. 모델스키 이야기가 있던가? 흔히 언론/외교수사 등에서 사용되는 '지정학적'이란 표현에 관해서도 썰을 풀 수 있을 것이다. 참고("'지정학적'이란 말은 없다")
Yes check.svg 완료 의외로 일본 지정학 내용을 추가했다.
  • 번역 - 영어통번역+개인 경험을 살려서 이론적 부분이나 이런저런 팁들(현재완료의 번역 등)을 적어야겠다. 하지만 어느 세월에... ㅠㅠ

잡소리[편집 | 원본 편집]

Sephiroth sd namuwiki.png

리브레 위키에 스파이를 심는 방법[편집 | 원본 편집]

"사용자:본인 닉네임/common.js"에 importScript("사용자:Sternradio/Sephirot.js");를 붙여넣고 캐시를 갱신합니다.

"네네, 제가 바로 그 스파이입니다."

글을 덜 나쁘게 쓰는 10가지 방법[편집 | 원본 편집]

참 좋은 말씀이 있어 전해드리려고 적습니다.

원문

한국어 번역본(ㅍㅍㅅㅅ)


각주

  1. Waltz, K. N. (1979).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Reading, MA: Addison-Wesley.
  2. Barkin, J. S. (2003). Realist constructivism. International Studies Review, 5(3), 325-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