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작: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15명의 중간 판 3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한자 문화권의 4신 중 하나 ==
{{다른 뜻|주작 (인터넷 유행어)||유행어}}
남방(남쪽)을 수호하는 신으로, 불을 관장하는 원소신이기도 했다.
'''주작'''(朱雀)은 [[한자 문화권]]의 [[사신 (신화)|사신]](四神) 중 하나인 상상의 동물이다.


== 단어 ==
모습은 두 날개를 활짝 펼친 붉은 [[봉황]]이다. 때문에 봉황과 동일시 되는 경우가 많다. 주작은 남쪽([[南]])을 수호하며 [[음양오행설|오행]] 중에서는 [[불]]([[火]])의 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불을 관장하는 원소신이기도 했다. 계절 중에서는 [[여름]]을 관장한다. [[한국]]에서는 다른 사신들과 더불어 [[고구려]]와 [[고려]]의 고분 벽화에 그려졌다. 또한 [[경복궁]]의 남쪽 문인 [[광화문]]의 천장에도 그려져 있다. 주작이 남쪽을 수호한다고 여겨져 궁궐 남쪽 정문 앞의 대로를 주작대로로 이름짓기도 한다. [[발해]] 수도인 [[상경용천부]], [[조선]]의 [[광화문]] 앞의 대로 중국 역대 왕조의 궁 앞에도 주작대로가 있다.
*주작(做作) : 없는 사실을 꾸미어 만듬. [https://books.google.co.kr/books?id=o5sbBgAAQBAJ&pg=PT19&lpg=PT19&dq=%EC%A3%BC%EC%9E%91%28%E5%81%9A%E4%BD%9C%29%EC%9D%B4%EC%A7%80%EB%A7%8C&source=bl&ots=rycLLGf_oa&sig=VdDo8ZnzLBSktqy6TrzcDXZWzBc&hl=ko&sa=X&ei=F_E-Vf33OYbpmQX-noGoBg&ved=0CBoQ6AEwAA 2014년 출판물에 주작이란 단어가 사용된 장면] 이 의미가 있기 때문인지, 인터넷상에서는 "[[유언비어]]를 지어내는 것" 역시도 주작이란 말로 불린다.
 
*주작(조작의 변형) : 승부조작 사건 이후 스타크래프트 개인방송을 하는 [[마재윤]]을 비꼬는 단어. 마재운의 타프리카 방에서 필터링을 피하기 위하여 조작을 주작으로 고쳐쓰고, 이후 조작이란 말이 나올 수 있는 모든 상황에서 조작을 주작으로 고치는 것이 유행이 되다가, 위에 실린 '''표준어'''가 발굴된다.
[[서양]]에는 비슷한 상상의 동물로 [[불사조]]가 있다.
 
== 고분벽화 ==
집안과 평양의 무덤에서 주작의 그림을 찾아볼 수 있다. 주작의 방향이나 형태는 그림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다. 때로는 암·수 주작이 그려지기도 한다.
* [[지안|집안]]: 춤무덤(무용총), 산성하983호분, 삼실총, 장천1호분, 통구사신총, 오회분5호묘, 오회분4호묘
* [[평양]]: 약수리벽화분, 감신총, 대안리1호분, 쌍영총, 노산동1호분, 성총, 수렵총, 고산리1호분, 보산리벽화분, 덕화리1호분, 운룡리벽화분, 개마총, 호남리사신총, 진파리4호분, 진파리1호분, 강서대묘, 강서중묘
 
== 별자리 ==
주작은 다음과 같은 남방의 7개 별자리군을 대표한다. 7개의 대표 별자리들은 전체가 주작의 모양을 이룬다.
* [[정수 (별자리)|정수]]: 머리
* [[귀수 (별자리)|귀수]]: 눈
* [[류수 (별자리)|류수]]: 부리
* [[성수 (별자리)|성수]]: 목
* [[장수 (별자리)|장수]]: 모이주머니
* [[익수 (별자리)|익수]]: 깃털
* [[진수 (별자리)|진수]]: 꼬리
 
== 대중문화 속의 주작 ==
다른 사신과 함께 한국·중국·일본의 각종 작품에서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
* 만화 《[[환상게임]]》에 등장한다.
 
{{주석}}
{{중국 신화}}
[[분류:전설의 생물]]
[[분류:중국 신화]]
{{퍼온문서|주작||일부}}

2022년 2월 16일 (수) 22:21 기준 최신판

주작(朱雀)은 한자 문화권사신(四神) 중 하나인 상상의 동물이다.

모습은 두 날개를 활짝 펼친 붉은 봉황이다. 때문에 봉황과 동일시 되는 경우가 많다. 주작은 남쪽()을 수호하며 오행 중에서는 ()의 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불을 관장하는 원소신이기도 했다. 계절 중에서는 여름을 관장한다. 한국에서는 다른 사신들과 더불어 고구려고려의 고분 벽화에 그려졌다. 또한 경복궁의 남쪽 문인 광화문의 천장에도 그려져 있다. 주작이 남쪽을 수호한다고 여겨져 궁궐 남쪽 정문 앞의 대로를 주작대로로 이름짓기도 한다. 발해 수도인 상경용천부, 조선광화문 앞의 대로 중국 역대 왕조의 궁 앞에도 주작대로가 있다.

서양에는 비슷한 상상의 동물로 불사조가 있다.

고분벽화[편집 | 원본 편집]

집안과 평양의 무덤에서 주작의 그림을 찾아볼 수 있다. 주작의 방향이나 형태는 그림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다. 때로는 암·수 주작이 그려지기도 한다.

  • 집안: 춤무덤(무용총), 산성하983호분, 삼실총, 장천1호분, 통구사신총, 오회분5호묘, 오회분4호묘
  • 평양: 약수리벽화분, 감신총, 대안리1호분, 쌍영총, 노산동1호분, 성총, 수렵총, 고산리1호분, 보산리벽화분, 덕화리1호분, 운룡리벽화분, 개마총, 호남리사신총, 진파리4호분, 진파리1호분, 강서대묘, 강서중묘

별자리[편집 | 원본 편집]

주작은 다음과 같은 남방의 7개 별자리군을 대표한다. 7개의 대표 별자리들은 전체가 주작의 모양을 이룬다.

대중문화 속의 주작[편집 | 원본 편집]

다른 사신과 함께 한국·중국·일본의 각종 작품에서 심심찮게 등장하고 있다.

각주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의 일부는 한국어 위키백과주작 문서를 원출처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