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공 (성씨):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복성 추가함)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5번째 줄: 5번째 줄:


== 한국의 사공씨 ==
== 한국의 사공씨 ==
'''사공'''(司空)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4,307명으로 조사되었다. 본관은 [[효령 사공씨|효령]](군위) 단본이다.
'''사공'''(司空)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4,307명으로 조사되었다. 본관은 [[효령 사공씨|효령]](군위) 단본이다.


'''[[효령 사공씨]]'''(司空氏)의 시조는 [[당나라]] [[희종]](僖宗) 때 예부시랑(禮部侍郞)을 지낸 '''[[사공도]]'''(司空圖)이다. 사공도는 897년([[신라]] [[효공왕]] 1년)에 [[황소의 난]]을 피하여 일가족과 동료 7학사를 데리고 [[신라]]로 동래(東來)하여 당문화(唐文化) 보급에 앞장섰다. 난이 평정되자 사공도는 당으로 돌아갔고 남은 가족들의 후예가 사공씨의 계통을 이어받았다고 한다.  
'''[[효령 사공씨]]'''(司空氏)의 시조는 [[당나라]] [[희종]](僖宗) 때 예부시랑(禮部侍郞)을 지낸 '''[[사공도]]'''(司空圖)이다. 사공도는 897년([[신라]] [[효공왕]] 1년)에 [[황소의 난]]을 피하여 일가족과 동료 7학사를 데리고 [[신라]]로 동래(東來)하여 당문화(唐文化) 보급에 앞장섰다. 난이 평정되자 사공도는 당으로 돌아갔고 남은 가족들의 후예가 사공씨의 계통을 이어받았다고 한다.


그 후의 계대(系代)가 불분명하여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봉익대부(奉翊大夫)로 판의시사(判儀시事)를 지내고 나라에 공(功)을 세워 효령군(孝令君)에 봉해진 사공중상(司空仲常)을 1세조로 한다.  
그 후의 계대(系代)가 불분명하여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봉익대부(奉翊大夫)로 판의시사(判儀시事)를 지내고 나라에 공(功)을 세워 효령군(孝令君)에 봉해진 사공중상(司空仲常)을 1세조로 한다.


사공중상의 아들 [[사공실]](司空實)이 1353년(공민왕 2) 문과에 급제하여 광흥창사(廣興倉使)와 대호군(大護軍)을 지내고 한림박사(翰林博士)로 문장(文章)과 덕행(德行)을 떨쳐 「동방명현록(東方名賢錄)」에 수록되었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EXM_KM_5COc_1353_000927|사공실}}</ref>
사공중상의 아들 [[사공실]](司空實)이 1353년(공민왕 2) 문과에 급제하여 광흥창사(廣興倉使)와 대호군(大護軍)을 지내고 한림박사(翰林博士)로 문장(文章)과 덕행(德行)을 떨쳐 「동방명현록(東方名賢錄)」에 수록되었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EXM_KM_5COc_1353_000927|사공실}}</ref>
19번째 줄: 19번째 줄:


{{각주}}
{{각주}}
{{한국의 성씨}}
{{한국인의 성씨}}
{{퍼온문서|사공 (성씨)|15288116}}
{{퍼온문서|사공 (성씨)|15288116}}
[[분류:중국의 성씨]]
[[분류:중국의 성씨]]
[[분류:한국인의 성씨]]
[[분류:한국인의 성씨]]
[[분류:복성]]

2022년 1월 16일 (일) 12:23 기준 최신판

사공(司空)씨는 중국한국의 성씨이다.

기원[편집 | 원본 편집]

사공(司空)씨는 중국(中國) 돈구(頓丘 : 직예성 대명도 청풍현)에서 계출(系出)된 성씨이다. 중국 주나라의 제후국 진(晉)나라 때 가신(賈辛)이란 사람이 사공(司空)의 벼슬을 지내고 왕으로부터 벼슬 이름을 성(姓)으로 하사(下賜)받은 것이 시초라 전한다.

한국의 사공씨[편집 | 원본 편집]

사공(司空)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4,307명으로 조사되었다. 본관은 효령(군위) 단본이다.

효령 사공씨(司空氏)의 시조는 당나라 희종(僖宗) 때 예부시랑(禮部侍郞)을 지낸 사공도(司空圖)이다. 사공도는 897년(신라 효공왕 1년)에 황소의 난을 피하여 일가족과 동료 7학사를 데리고 신라로 동래(東來)하여 당문화(唐文化) 보급에 앞장섰다. 난이 평정되자 사공도는 당으로 돌아갔고 남은 가족들의 후예가 사공씨의 계통을 이어받았다고 한다.

그 후의 계대(系代)가 불분명하여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봉익대부(奉翊大夫)로 판의시사(判儀시事)를 지내고 나라에 공(功)을 세워 효령군(孝令君)에 봉해진 사공중상(司空仲常)을 1세조로 한다.

사공중상의 아들 사공실(司空實)이 1353년(공민왕 2) 문과에 급제하여 광흥창사(廣興倉使)와 대호군(大護軍)을 지내고 한림박사(翰林博士)로 문장(文章)과 덕행(德行)을 떨쳐 「동방명현록(東方名賢錄)」에 수록되었다.[1]

사공실(司空實)의 아들 사공민(司空敏)은 고려 우왕의 장인인 최영(崔瑩) 장군의 사위다. 사공민(司空敏)은 공민왕과 창왕 대에 걸쳐 사복시정(司僕寺正)과 삼사 부윤(三司府尹)을 지내고 숭록대부(崇祿大夫)로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르렀으나 고려의 국운(國運)이 기울자 벼슬을 버리고 향리(鄕里)로 돌아가 절의(節義)를 지켰다.[2] 사공민(司空敏)의 사위는 남양 홍씨 창사공(倉使公) 홍계강(洪季康)이다.

인물[편집 | 원본 편집]

  • 사공일(司空壹) : 제33대 재무부 장관, 제27대 한국무역협회 회장

각주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사공 (성씨) 문서 15288116판에서 분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