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해군 잠수함 사령부: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잠수함 사령부'''(潛水艦司令部, R.O.K. Navy Submarine Force Command)는 [[해군]]이 보유한 [[잠수함]]을 지휘하는 해군 작전 사령부 휘하의 함대급 [[부대]]이다. 각 해역 함대의 잠수함 전력을 통합해 하나의 지휘권으로 묶어 잠수함 운용능력을 높히고 잠함 전력을 집중시킬수 있게 되었다. 사령부는 진해에 위치하고 있으며 소속 잠수함들은 [[진해]]와 [[제주]]에 [[주둔지]]를 두고 있다. 사령관은 [[소장 (계급)|소장]]급 장성이 보임한다.
'''잠수함 사령부'''(潛水艦司令部, R.O.K. Navy Submarine Force Command)는 [[해군]]이 보유한 [[잠수함]]을 지휘하는 해군 작전 사령부 휘하의 함대급 [[부대]]이다. 각 해역 함대의 잠수함 전력을 통합해 하나의 지휘권으로 묶어 잠수함 운용능력을 높히고 잠수함 전력을 집중시킬수 있게 되었다. 사령부는 진해에 위치하고 있으며 소속 잠수함들은 [[진해]]와 [[제주]]에 [[주둔지]]를 두고 있다. 사령관은 [[소장 (계급)|소장]]급 장성이 보임한다.


==역사==
==역사==
5번째 줄: 5번째 줄:


==소속 전대==
==소속 전대==
잠수함 사령부의 모태가 작전사 소속의 9전단이었던지라 소속 전대의 앞 머릿글자는 모두 9로 시작한다.
잠수함 사령부의 모태가 [[해군작전사령부]] 소속 제9전단이었던지라 소속 전대의 앞 머릿글자는 모두 9로 시작한다.
*91잠수함전대
*91잠수함전대
*92잠수함전대
*92잠수함전대
13번째 줄: 13번째 줄:
*97잠수함전대
*97잠수함전대
*909 훈련전대
*909 훈련전대
아직 잠수함사령부에는 다른 함대사령부들과 달리 전단 편성이 등장하지 않았다. 이유는 잠수함 사령부 이하 전대장 등은 전투 임무보다는 소속된 잠수함 행정 관리가 더 우선적이다. 또한 잠수함은 울프팩 전술 등을 제외하면 대부분 단독 작전이 많아서 잠수함전대장 이상이 현장에 참여할 이유가 적다.


==보유 잠수함==
==보유 잠수함==
33번째 줄: 35번째 줄:
*윤봉길함
*윤봉길함
*유관순함
*유관순함
*홍범도함
*이범석함
*신돌석함
=== [[도산안창호급 잠수함]] ===
*도산안창호함
2번함 안무함은 2022년에 인수되어 해군에 취역한다. 3번함 신채호함은 작년에 진수되어 2024년에 해군에 인수되어 취역할 예정이다.
KSS-Ⅲ Batch-Ⅱ는 1번함과 2번함이 착공에 들어갔다.


2017년 7월 이후 홍범도함을, 2018년 이범석함을 추가로 인수할 예정이다.
{{주석}}
{{주석}}
{{대한민국 국군의 편제단위}}
{{대한민국 국군의 편제단위}}
[[분류:대한민국 해군]]
[[분류:대한민국 해군]]

2022년 5월 25일 (수) 21:49 기준 최신판

잠수함 사령부(潛水艦司令部, R.O.K. Navy Submarine Force Command)는 해군이 보유한 잠수함을 지휘하는 해군 작전 사령부 휘하의 함대급 부대이다. 각 해역 함대의 잠수함 전력을 통합해 하나의 지휘권으로 묶어 잠수함 운용능력을 높히고 잠수함 전력을 집중시킬수 있게 되었다. 사령부는 진해에 위치하고 있으며 소속 잠수함들은 진해제주주둔지를 두고 있다. 사령관은 소장급 장성이 보임한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처음 시작은 1990년대에 인수한 돌고래급 잠수정들로 구성된 57잠수함전대였으며 이를 모체로 1995년에 작전사령부 예하 전단으로 제9잠수함전단을 창설하게 된다. 이후 장보고급 잠수함과 손원일급 잠수함을 인수하면서 덩치를 불리다가 2015년 비대칭전력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면서 잠수함사령부로 그 규모와 직위를 격상하게 된다.

소속 전대[편집 | 원본 편집]

잠수함 사령부의 모태가 해군작전사령부 소속 제9전단이었던지라 소속 전대의 앞 머릿글자는 모두 9로 시작한다.

  • 91잠수함전대
  • 92잠수함전대
  • 93잠수함전대
  • 95잠수함전대
  • 96잠수함전대
  • 97잠수함전대
  • 909 훈련전대

아직 잠수함사령부에는 다른 함대사령부들과 달리 전단 편성이 등장하지 않았다. 이유는 잠수함 사령부 이하 전대장 등은 전투 임무보다는 소속된 잠수함 행정 관리가 더 우선적이다. 또한 잠수함은 울프팩 전술 등을 제외하면 대부분 단독 작전이 많아서 잠수함전대장 이상이 현장에 참여할 이유가 적다.

보유 잠수함[편집 | 원본 편집]

장보고급 잠수함[편집 | 원본 편집]

  • 장보고함
  • 이천함
  • 최무선함
  • 박위함
  • 이종무함
  • 정운함
  • 이순신함[1]
  • 나대용함
  • 이억기함

손원일급 잠수함[편집 | 원본 편집]

  • 손원일함
  • 정지함
  • 안중근함
  • 김좌진함
  • 윤봉길함
  • 유관순함
  • 홍범도함
  • 이범석함
  • 신돌석함

도산안창호급 잠수함[편집 | 원본 편집]

  • 도산안창호함

2번함 안무함은 2022년에 인수되어 해군에 취역한다. 3번함 신채호함은 작년에 진수되어 2024년에 해군에 인수되어 취역할 예정이다.

KSS-Ⅲ Batch-Ⅱ는 1번함과 2번함이 착공에 들어갔다.

각주

  1. 충무공 이순신과는 동명이인인 무의공 이순신함이다
대한민국 국군의 편제단위
육군
해병대
국직부대
분대
(분대장)

(반장)
소대
(소대장)
중대
(중대장)
지역대/
(대장)
대대
(대대장)
연대
(연대장)

(단장)
여단
(여단장)
사단
(사단장)
군단
(군단장)
기능사령부
(사령관)
작전사령부
(사령관)
포병 포반
(포반장)
전포대
(전포대장)
포대
(포대장)
사격대
(사격대장)
대대
(대대장)
포병단
(단장)
해군 중대
(중대장)
편대
(편대장)
대대
(대대장)
전대
(전대장)
전단
(전단장)
기지/방어사령부
(사령관)
함대/잠수함
(사령관)
해군작전사령부
(해군작전사령관)
공군 /
(반장/대장)
중대/편대
(중대장/편대장)
포대/대대
(포대장/대대장)
전대
(전대장)
비행단
(단장)
여단
(여단장)
기능사령부
(사령관)
공군작전사령부
(공군작전사령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