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량리역: 두 판 사이의 차이

229번째 줄: 229번째 줄:


{{경유 열차 목록/한국/열기|닫기=닫음}}
{{경유 열차 목록/한국/열기|닫기=닫음}}
{{경유 열차 목록/한국/운행|[[한국철도공사{{!}}KORAIL]]<br />여객본부|3}}
{{경유 열차 목록/한국/운행|[[한국철도공사{{!}}KORAIL]]<br />여객본부|2}}
{{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무궁화호]]|3}}
{{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무궁화호]]|2}}
{{경유 열차 목록/한국/1600|표시=표시|덕소=1|계통칸=3}}
{{경유 열차 목록/한국/1600|표시=표시|덕소=1|계통칸=2}}
{{경유 열차 목록/한국/1620}}
{{경유 열차 목록/한국/1620}}
{{경유 열차 목록/한국/운행|[[한국철도공사{{!}}KORAIL]]<br />광역본부|1}}
{{경유 열차 목록/한국/운행|[[한국철도공사{{!}}KORAIL]]<br />광역본부|1}}

2017년 1월 8일 (일) 22:58 판

관할 한국철도공사 (KORAIL)
서울메트로

淸凉里驛 / Cheongnyangni Station
서울 동북부의 관문

개요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왕산로 214(옛 전농동 597-7번지)와 왕산로 지하205(옛 전농동 620-69번지)에 위치한 철도역.

역명과는 달리 청량리동이 아닌 전농동에 위치해 있다.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

지하 청량리역에 한해서 서울시립대입구라는 병기역명이 있다. 즉, 1호선 역명의 정식 명칭은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역인 셈.

역 구조

청량리역 민자역사

한화그룹에서 지은 민자역사라 그런지 이 역에는 크고 아름다운 한화그룹 로고가 떡하니 박혀져 있다. 63빌딩의 한화 마크를 연상하면 쉬울 듯.

한국철도공사

[[파일:청량리역.jpg|336px|alt=]]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왕산로 214
노선

관할 한국철도공사 (KORAIL)
개업일 1911년 10월 15일
승강장 4면 8선

경원선의 중간역이자 중앙선의 시종착역으로, 중앙선의 무궁화호, 잉마을 ITX-새마을이나 태백선 무궁화호가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 경춘선2016년 9월 26일부터 편도 20회 운행하며, ITX-청춘 열차가 일부 정차한다.

파일:청량리역 배선도.png

↑ 역사 방향 (서쪽)
1 · 2 212 중앙본선 하행 ITX-청춘 평내호평 · 가평 · 춘천 방면
3 212 중앙본선 하행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급행 · 완행 덕소 · 양평 · 용문 방면
수도권 전철 경춘선 평내호평 · 가평 · 춘천 방면
4 205 경원본선 상행 ITX-청춘 왕십리 · 옥수 · 문산 방면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급행 · 완행 왕십리 · 용산 · 문산 방면
5 · 6 205 경원본선 하행 평화열차 의정부 · 연천 · 백마고지 방면
7 · 8 212 중앙본선 하행 일반열차 · 정선아리랑열차 원주 · 제천 · 안동 · 태백 · 정동진 · 부전 방면

서울메트로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왕산로 지하205
노선 서울 지하철 1호선 7.8 km
관할 서울메트로
개업일 1974년 8월 15일
승강장 1면 2선

일단 명목상 지하 청량리역은 종로선의 시종착역이며, 이에 따라 인상선이 존재하지만 선로가 회기역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순수한 시종착역은 아니다. 다만 신창역에서 출발한 1호선 열차는 거의 대부분 광운대역 아니면 이곳에서 시종착한다. 166km을 풀로 뛰면 퍼진다...[1] 청량리역 종착 열차의 회차는 회기역 방면에 있는 Y자형 유치선을 주로 이용하지만, 열차가 많이 늦어져서 시간표가 꼬일 경우(......) 제기역 방면에 있는 X자형 건넘선을 이용해 하행선으로 진입해서 종착한 후 바로 출발한다.

지상 코레일 구간과 지하 서울메트로 구간의 전류가 다르기 때문에 (지상:교류, 지하:직류), 이 역과 회기역 사이에는 절연구간이 존재한다.

경원본선 회기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border: 2px solid black;" | 광운대 · 의정부 · 소요산 방면 | 상행 승강장
하행 승강장 | 서울역 · 인천 ·신창 방면
서울 지하철 1호선 제기동 방면

환승 정보

수도권 전철 환승 정보
목적지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1호선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경의·중앙선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경춘선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소요산
방면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인천·신창
방면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문산
방면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용문
방면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청량리
방면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춘천
방면
출발지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1호선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소요산 방면 - 1-1 10-4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인천·신창 방면 - 10-4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경의·중앙선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문산 방면 1-1 - 모든 문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용문 방면 6-4 - 모든 문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경춘선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청량리 방면 1-1 모든 문 -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춘천 방면 1-1 모든 문 -

역사

일제강점기1911년 10월 15일 경원선용산역-의정부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개업한 역으로, 1938년 5월 1일에는 역명을 동경성역(東京城驛)으로 개칭했고, 다음해인 1939년에는 중앙선이 개통되면서 분기역이 되었다.

그러다가 일제강점기 막바지인 1942년 6월 1일 기존 동경성역에서 청량리역으로 역명을 환원시켰으며, 광복 이후에도 경원선과 중앙선의 분기역으로 중요한 역 중 하나였으나, 1950년 6·25 전쟁으로 역사가 소실되었고, 이후 1959년 역을 신축했다.

1974년 8월 15일 이 역 바로 앞에 서울 지하철 1호선 청량리역이 개업했고, 1978년에는 경원선의 용산-성북 운행계통이 운행을 개시했으나, 이 두 역 사이에는 환승통로가 없었다. 대신, 개통 초창기에는 에드몬식 승차권(수동 승차권)을 사용했기 때문에, 검표원에게 환승하겠다고 말하면 검표원이 별도의 표시를 하고, 이 표를 가지고 상대 역으로 가서 다시 검표를 받아 환승하면 되었다.[2] 문제는 1986년 마그네틱 승차권(전산식 승차권)으로 바꾸면서 이게 불가능하게 된 것이다(...)

"바로 앞에 회기역이 있는데 거기서 환승하면 되잖아요?"라고 물을 수도 있다. 물론 맞긴 하다...만 문제는 당시 1호선 열차 중 상당수가 청량리역 종착이었다는 점이다(...) 이뭐병

그러나 1999년부터 이 역에 민자역사를 건립하기로 하면서 기존 역은 부수고(...) 동시에 환승통로 공사를 시작하면서, 2010년 8월 20일 청량리역 민자역사가 완공됨과 동시에 환승통로가 완공되었다. 하지만 환승통로가 길다는 점이 함정

다만 공사가 진행중이던 2007년 8월 13일, 25m 높이의 크레인이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하여 이 사고로 2명이 사망했는데, 사망자 중 한 명은 가수 요조(본명 신수진)의 7살 어린 여동생이었다.

2010년 12월 경춘선에 복선전철이 다니게 됨에 따라 무궁화호 운행이 중지되었고, 이에 따라 청량리역에 있던 경춘선 승강장은 고상으로 개조했다. 2016년 9월 26일 수도권 전철 경춘선이 연장되어, 편도 20회 운행한다.

주변 정보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한화역사쇼핑몰(롯데백화점 청량리점, 롯데마트 청량리점, 롯데시네마 청량리), 롯데플라자 청량리점 등이 있다.

경유 노선

경유 노선 목록
colspan="4" class="tp_link" style="background: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한국철도공사 (KORAIL)
class="tp_link" style="width: 9em; background: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205 경원본선
(12.7 km)
용산 방면
왕십리 2.4 km
청량리 백마고지 방면
회기 1.4 km
class="tp_link" style="width: 12em; background: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212 중앙본선
(0.0 km)
(시 · 종착역) 청량리 경주 방면
회기 1.4 km

수도권 전철

colspan="3" class="tp_link" style="background: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 수도권 전철 1호선
소요산 방면
 123  회기
 124  청량리
급행 · 완행
인천 · 신창 방면
 125  제기동
colspan="3" class="tp_link" style="background: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문산 방면
 K116  왕십리
 K117  청량리
급행 · 완행
용문 방면
 K118  회기
colspan="3" class="tp_link" style="background: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 수도권 전철 경춘선
(시 · 종착역)  K117  청량리 춘천 방면
 K118  회기

경유 열차

  • 기준일자 2016년 12월 9일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열기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운행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1600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1620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운행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2000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운행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DMZ-Train 경원선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닫기

colspan="5" style="background:틀:철도 노선색;" | ITX-새마을
시종착역 중앙선 양 평
영주 방면
colspan="5" style="background:틀:철도 노선색;" | 무궁화호
시종착역 중앙선 덕 소
부 전 방면
시종착역 태백선 덕 소
정동진 방면

각주

  1. 동두천역이나 소요산역에서 내려오는 차들은 거의 인천행이다.
  2. 요즘의 소프트 환승과 비슷한 케이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