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역 (삼척):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한국 철도 노선색2|KR}}" 문자열을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문자열로)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분류:.*에 있는 철도시설 +분류:강원특별자치도에 있는 철도시설))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5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영동선]]
{{새 철도역 정보
[[분류:삼척시의 철도역]]
|이름    = 신기
[[분류:동해관리역]]
|원어이름 =
<gallery mode="packed" heights=300px>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File:신기역.JPG
|글자색  = white
</gallery>
|그림    = 신기역.JPG
|그림설명 =
|그림alt  =
|주소    =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 신기역길 89<br />(신기리)
|번호    =
|노선    = [[영동선]] <small>126.6 km</small>
|관할    = [[한국철도공사]] 강원본부
|개업일  = [[1940년]] [[7월 31일]]
|폐지일  =
|코드    = 263
|승강장  =
|관련역  =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개요==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에 위치한 [[영동선]]의 역으로 등급은 3급의 [[보통역]]에 해당한다.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에 위치한 [[영동선]]의 역으로 등급은 3급의 [[보통역]]에 해당한다.


15번째 줄: 29번째 줄:
*이 역 부근에는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가 위치해 있다. 동양최대의 석회동굴로 유명한 [[환선굴]]과 모노레일로 올라갈 수 있는 [[대금굴]]이 있어서 관광객들이 간혹 이 역에서 승하차를 하고는 한다. 다만 문제는 환선굴과 삼척시내를 연결하는 버스의 시간표가 이 열차 시간표하고는 영 배차간격이 맞지 않아서 직접적인 환승을 하기에는 상당히 까다로운 편에 속한다.
*이 역 부근에는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가 위치해 있다. 동양최대의 석회동굴로 유명한 [[환선굴]]과 모노레일로 올라갈 수 있는 [[대금굴]]이 있어서 관광객들이 간혹 이 역에서 승하차를 하고는 한다. 다만 문제는 환선굴과 삼척시내를 연결하는 버스의 시간표가 이 열차 시간표하고는 영 배차간격이 맞지 않아서 직접적인 환승을 하기에는 상당히 까다로운 편에 속한다.
*신기역 바로 북쪽에는 왠 선로 하나가 환선굴 방향으로 뻗어들어가는게 있다. 물론 환선굴까지 가는 선로는 아니고 과거 홍성산업이라는 석회석 채굴업체로 들어가던 인입선인데 문제는 외환위기 당시 이 회사가 부도가 나면서 이 선로들도 그대로 흉물로 방치되고 그냥 버리지게 된 시설이다. 입환 및 유치시설이 꽤 큰 상태인데 사용하지 못하고 그냥 그대로 녹슬어가고 있는 상황(차라리 철거를 하든가....)
*신기역 바로 북쪽에는 왠 선로 하나가 환선굴 방향으로 뻗어들어가는게 있다. 물론 환선굴까지 가는 선로는 아니고 과거 홍성산업이라는 석회석 채굴업체로 들어가던 인입선인데 문제는 외환위기 당시 이 회사가 부도가 나면서 이 선로들도 그대로 흉물로 방치되고 그냥 버리지게 된 시설이다. 입환 및 유치시설이 꽤 큰 상태인데 사용하지 못하고 그냥 그대로 녹슬어가고 있는 상황(차라리 철거를 하든가....)
== 승강장 정보 ==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영동선]] [[동해역|동해]]|오른쪽 선로 정보=[[영동선]] [[도계역|도계]]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승강장 번호=|승강장 정보='''무궁화호 · 누리로''' 방면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영동선]] [[동해역|동해]]|오른쪽 선로 정보=[[영동선]] [[도계역|도계]] →
}}
{{철도승강장/선로|
}}
{{철도승강장/선로|
}}
{{철도승강장/선로|
}}
{{철도승강장/선로|
}}
}}


== 경유 노선 ==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닫기=닫음|style=width: 42em;}}
{{경유 노선/열기}}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노선폭=8em|노선명=영동선|노선링크=영동선|노선거리=126.6 km
|노선명=313 [[영동선]]|노선거리=126.6 km
|전역폭=10em|전방면=[[영주역|영주]] 방면|전역=[[마차리역|마차리]]|전거리=5.4 km
|전방면=[[영주역|영주]] 방면|전역=[[마차리역|마차리]]|전거리=5.4 km
|당역폭=8em|당역='''신기'''
|당역='''신기'''
|후역폭=10em|후방면=[[청량신호소|청량]] 방면|후역=[[상정역|상정]]|후거리=5.2 km}}
|후방면=[[청량신호소|청량]] 방면|후역=[[상정신호장|상정]]|후거리=5.2 km}}
{{경유 노선/닫기}}
{{경유 노선/닫기}}


== 경유 열차 ==
== 경유 열차 ==
{{경유 열차 목록/한국/열기|닫기=닫음}}
{{경유 열차 목록
{{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무궁화호]]|3}}
|전체목록 =  
{{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강릉-부전|표시=표시|계통칸=2}}
{{경유 열차 목록/종류
{{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강릉-동대구}}
|열차종류 = [[무궁화호]]
{{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청량리-강릉|표시=표시}}
|세로수  = 2
{{경유 열차 목록/한국/닫기}}
|노선    =
  {{경유 열차 목록/무궁화호 태백선}}
  {{경유 열차 목록/무궁화호 영동동해선}}
}}
{{경유 열차 목록/종류
|열차종류 = [[동해산타열차]]
|세로수  = 1
|가로수  = 2
|노선    =  
  {{경유 열차 목록/동해산타열차}}
}}
}}


{{주석}}
{{주석}}
[[분류:영동선]]
[[분류:강원특별자치도에 있는 철도시설]]
{{리브레 맵스 마커|37.345993350946294|129.0849244594574|12|신기역 (삼척)}}

2023년 9월 19일 (화) 11:21 기준 최신판

신기
주소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 신기역길 89
(신기리)
노선 영동선 126.6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강원본부
개업일 1940년 7월 31일
코드 263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에 위치한 영동선의 역으로 등급은 3급의 보통역에 해당한다.

정차열차[편집 | 원본 편집]

무궁화호열차가 하루 8왕복(상/하행 각각 4회) 정차한다.

기타[편집 | 원본 편집]

  • 이 역 부근에는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가 위치해 있다. 동양최대의 석회동굴로 유명한 환선굴과 모노레일로 올라갈 수 있는 대금굴이 있어서 관광객들이 간혹 이 역에서 승하차를 하고는 한다. 다만 문제는 환선굴과 삼척시내를 연결하는 버스의 시간표가 이 열차 시간표하고는 영 배차간격이 맞지 않아서 직접적인 환승을 하기에는 상당히 까다로운 편에 속한다.
  • 신기역 바로 북쪽에는 왠 선로 하나가 환선굴 방향으로 뻗어들어가는게 있다. 물론 환선굴까지 가는 선로는 아니고 과거 홍성산업이라는 석회석 채굴업체로 들어가던 인입선인데 문제는 외환위기 당시 이 회사가 부도가 나면서 이 선로들도 그대로 흉물로 방치되고 그냥 버리지게 된 시설이다. 입환 및 유치시설이 꽤 큰 상태인데 사용하지 못하고 그냥 그대로 녹슬어가고 있는 상황(차라리 철거를 하든가....)

승강장 정보[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영주 방면
마차리 5.4 km
신기 청량 방면
상정 5.2 km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역을 경유하는 여객열차 목록
종류 노선 정차역 (구간운행 포함)
무궁화호 태백선 청량리 - 덕소 - 양평 - 용문 - 지평 - 석불 - 일신 - 매곡 - 양동 - 삼산 - 서원주 - 원주 - 봉양 - 제천 - 쌍룡 - 영월 - 예미 - 민둥산 - 사북 - 고한 - 태백 - 동백산 - 도계 - 신기 - 동해
영동동해선 동해 - 신기 - 도계 - 동백산 - 철암 - 석포 - 승부 - 양원 - 분천 - 현동 - 임기 - 춘양 - 봉화 - 영주 - 안동 - 의성 - 영천 - 경주 - 북울산 - 태화강 - 기장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동해산타열차 강릉 - 정동진 - 묵호 - 동해 - 신기 - 도계 - 동백산 - 철암 - 석포 - 승부 - 양원 - 비동 - 분천
정확한 정차역은 열차 운영사의 안내를 참고하세요.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