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소군정기: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태그: 조건 제한 도달
잔글편집 요약 없음
7번째 줄: 7번째 줄:
독립 이후 정치적 혼란과 무질서 속에 있던 한국은 1945년 2월 [[얄타 회담]]에서 비공식적으로 합의된 바에 따라 [[미국]]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소련]]의 영향권하에 들어간다. 한반도의 중앙으로 관통하는 [[북위 38도]]를 경계로 이남에는 [[재조선 미국 육군사령부 군정청|미군정]]이, 이북에는 [[소비에트 민정청|소련군정]]이 들어선다. 미소군정은 자체적으로 각각 [[자본주의]], [[공산주의]] 체제를 남북에 설립하였다.
독립 이후 정치적 혼란과 무질서 속에 있던 한국은 1945년 2월 [[얄타 회담]]에서 비공식적으로 합의된 바에 따라 [[미국]]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소련]]의 영향권하에 들어간다. 한반도의 중앙으로 관통하는 [[북위 38도]]를 경계로 이남에는 [[재조선 미국 육군사령부 군정청|미군정]]이, 이북에는 [[소비에트 민정청|소련군정]]이 들어선다. 미소군정은 자체적으로 각각 [[자본주의]], [[공산주의]] 체제를 남북에 설립하였다.


이 기간 동안 남한에서는 수많은 정치 단체들이 조직되어 이합집산하였고, [[제주 4·3 사건]] 등 좌익과 우익이 매우 심각하게 대립하였다. 38선 이북에서는 1946년 2월 8일 [[김일성]]을 위원장으로 하는 [[북조선인민위원회|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가 구성되어 사실상 정부로서 기능하였다. 1947년 [[국제연합]]이 제안한 한반도 총선 실시를 소련을 위시한 북한이 거부하면서 1948년 5월 10일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남한만의 총선]]을 거쳐 동년 5월 31일 [[대한민국 제헌 국회|제헌 국회]]가 구성되었으며 7월 17일에 [[대한민국 제헌 헌법|제헌 헌법]]을 공포하고 7월 20일 [[대한민국의 대통령|대통령]] [[이승만]]과 [[대한민국의 부통령|부통령]] [[이시영 (1868년)|이시영]]을 선출하여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하였다. 이어 북한에서는 [[김일성]]을 중심으로 9월 9일 [[북한]] 정권이 수립하여 비로소 미소군정기가 끝난다.
이 기간 동안 남한에서는 수많은 정치 단체들이 조직되어 이합집산하였고, [[제주 4·3 사건]] 등 좌익과 우익이 매우 심각하게 대립하였다. 38선 이북에서는 1946년 2월 8일 [[김일성]]을 위원장으로 하는 [[북조선인민위원회|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가 구성되어 사실상 정부로서 기능하였다. 1947년 [[국제연합]]이 제안한 한반도 총선 실시를 소련을 위시한 북한이 거부하면서 1948년 5월 10일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남한만의 총선]]을 거쳐 동년 5월 31일 [[대한민국 제헌 국회|제헌 국회]]가 구성되었으며 7월 17일에 [[대한민국 제헌 헌법|제헌 헌법]]을 공포하고 7월 20일 [[대한민국의 대통령|대통령]] [[이승만]]과 [[대한민국의 부통령|부통령]] [[이시영 (1869년)|이시영]]을 선출하여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하였다. 이어 북한에서는 [[김일성]]을 중심으로 9월 9일 [[북한]] 정권이 수립하여 비로소 미소군정기가 끝난다.


== 미군정 ==
== 미군정 ==

2021년 10월 7일 (목) 20:30 판

한국사의 시대 구분
선사시대
구석기 · 신석기 · 청동기
상고시대
고조선 ·
원삼국시대
부여 · 옥저 · 동예
마한 · 변한 · 진한
삼국시대
고구려 · 백제 · 신라 · 가야
남북국시대
발해 · 신라
후삼국시대
태봉 · 후백제 · 신라
고려 조선 대한제국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임시정부
미소군정기
미군정 · 소련군정
분단시대
대한민국 · 북한
미국과 소련의 한반도 점령과 통치

미소군정기(美蘇軍政期)는 1945년 8월 15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 제국이 연합국에 항복하면서 독립한 한반도미군소련군이 점령하여 통치한 시기를 일컫는다. 북위 38도를 경계로 이남은 미군이 1945년 9월 9일부터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기 전까지 통치하였으며 이북은 소련군이 1948년 9월 9일 북한 정권이 수립되기 전까지 통치하였다.

독립 이후 정치적 혼란과 무질서 속에 있던 한국은 1945년 2월 얄타 회담에서 비공식적으로 합의된 바에 따라 미국소련의 영향권하에 들어간다. 한반도의 중앙으로 관통하는 북위 38도를 경계로 이남에는 미군정이, 이북에는 소련군정이 들어선다. 미소군정은 자체적으로 각각 자본주의, 공산주의 체제를 남북에 설립하였다.

이 기간 동안 남한에서는 수많은 정치 단체들이 조직되어 이합집산하였고, 제주 4·3 사건 등 좌익과 우익이 매우 심각하게 대립하였다. 38선 이북에서는 1946년 2월 8일 김일성을 위원장으로 하는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가 구성되어 사실상 정부로서 기능하였다. 1947년 국제연합이 제안한 한반도 총선 실시를 소련을 위시한 북한이 거부하면서 1948년 5월 10일 남한만의 총선을 거쳐 동년 5월 31일 제헌 국회가 구성되었으며 7월 17일에 제헌 헌법을 공포하고 7월 20일 대통령 이승만부통령 이시영을 선출하여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하였다. 이어 북한에서는 김일성을 중심으로 9월 9일 북한 정권이 수립하여 비로소 미소군정기가 끝난다.

미군정

소련군정

각주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의 일부는 한국어 위키백과한국의 군정기 문서 30110031판를 원출처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