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대: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45번째 줄: 45번째 줄:


<ref>Ibid., 24</ref>
<ref>Ibid., 24</ref>
== 지역별 찍어먹는 양념들 ==


== 순대를 응용한 음식 ==
== 순대를 응용한 음식 ==

2016년 5월 15일 (일) 23:09 판

이 글은 3500번째 고지를 달성한 문서입니다. 현재 리브레 위키의 문서수는 59,300개입니다.
Emojione 1F389.svg
순대와 부속고기

돼지 창자찹쌀, 다진 채소, 당면을 돼지 로 버무린 속을 가득 채운 다음 쪄내는 음식이다. 한 마디로 한국식 소시지. 진짜로 서양에서도 순대를 Korean Sausage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으며, 순대도 당면이 아니라 고기 부스러기를 채우는 레시피가 있고 소세지도 토막을 큼지막하게 묶는 레시피가 있으니 어느 경계선에서인가는 순대인지 소세지인지 여부 자체가 만드는 사람의 네이밍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지점이 분명히 있다.

조선시대에는 순대의 종류를 육류 순대와 어류 순대로 나눌 수 있으며, 조리방법에 따라 개고기, 소고기, 의 내장, 돼지고기, 생선을 이용하였다고 한다.[1]

분식집 음식, 싸구려 음식으로 흔히 여겨진다. 떡볶이, 어묵과 함께 삼위일체를 이루지만 어묵 대신에 김밥이 들어가는 '김떡순'도 종각 일대 노점에서 꽤나 인기 있다.

순대를 주문하면 보통은 , 허파, 염통 등의 내장을 조금 썰어서 준다. 사람에 따라서는 이런 내장의 맛이나 누린내를 싫어해서 순대만 달라고 주문하기도 한다.

외국인들이 보기에는 괴상한 음식으로 여겨질 수 있고, 특히 를 먹는 것에 거부감이 들 수도 있지만 서양에서도 블러드 소시지(blood sausage)라는 이름으로 피를 이용한 소시지 요리들이 많이 있다. 대표적인 것이 스페인포르투갈의 Morcilla, 독일의 Blutwurst, 폴란드의 Kaszabka,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Biroldo, 멕시코콜롬비아의 Rellana, 영국에서 아침식사로 많이 먹는 블랙 푸딩스코틀랜드 요리의 일종인 해기스가 있다.[2] 경우에 따라 이게 순대보다 훨씬 아스트랄 할 수 있다. 사실 소시지라는 물건은 지금처럼 살코기로 만드는게 아니라 원래 먹고 남은 잡육으로 만드는 물건이였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오히려 순대야말로 전통적인 소시지에 더 가깝고 외국인들이 즐겨먹는 살코기로 만든 현대적인 소시지는 당시 기준으로 엄청난 고급형이라고 볼 수 있다.

순대의 종류

지명이 붙은 순대

돼지 소창에 각종 채소를 선지로 버무려 속을 채운 순대. 찹쌀이나 당면과 같은 재료가 들어가지 않아 (들어가더라도 매우 적은 양이다.) 돼지 누린내가 적고 깔끔하며 비교적 아삭한 식감이 특징이다. 병천 아우내 장터 지역에서 시장순대의 형태로 만들어지다 인근에 도축장이 들어서면서 인기가 없는 부산물인 소창을 가져와 흔한 채소를 넣고 쪄낸 것이 기원이다.
  • 백암 순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돼지 소창을 사용하였고 순대소를 갈아 부드러운 맛이 특징이다.
찹쌀 대신 고기를 갈아 넣은 순대..
당면이 많이 들어가 걸지고 담백한 맛이 특징이다.
대창에 소를 채운 큼직한 순대로 구수한 맛과 쫄깃한 식감이 특징이다.
야채와 육류가 많이 들어간 것이 특징이다.
보리나 메밀, 부추를 넣어 만든 순대.
  • 연변 순대
선지에 버무린 찹쌀만을 사용한 순대.
  • 신의주 순대(?)
정작 북한 사람들도 잘 모르는 정체불명의 지명을 가진 순대.

재료에 따른 구분

  • 당면 순대 (시장순대)
선지에 버무린 당면으로 가득채운 순대. 가장 늦게 등장한 주제에 가장 흔하게 먹고 팔리는데 대량 납품이나 분식집에서 찹쌀순대라 팔리는 것 거의 대부분이 실은 당면순대이다.
생태내장을 빼고 말려서 그 속에 소를 넣는 순대. 함경도 해안지방을 기원으로 하는 토속음식이다.
  • 오징어순대
오징어 몸통에 오징어 다리 다진 것과 야채 다진 것을 넣은 순대.
  • 어교 순대
민어 부레에 숙주 미나리쇠고기를 다져 두부와 함께 민어속에 넣고 찐 음식

[3]

지역별 찍어먹는 양념들

순대를 응용한 음식

각주

  1. 오순덕, 「조선시대 순대의 종류 및 조리방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제27권 제4호, 2012, pp. 341-344
  2. 오준현·이은정·김경희·육홍선, 「한식의 세계화-순대의 맛과 기능성」, 『식품산업과 영양』, vol. 17 no. 2, 2012, p.24
  3. Ibid.,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