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바뀜
  • 임의 문서
  • 게시판
    위키방자유게시판이슈 트래커
  • 도구
    특수 문서 목록업로드
  • 도움말
    개요위키 문법TeX 문법이슈 트래커
  • 최근 바뀜
  • 최근 토론
  •  
  •  
  •  
  •  
  •  
  •  
  •  
  •  
  •  
  •  
더 보기
  • 신규 사용자분께서는 리브레 위키:환영합니다 필독해주세요.
  • 가입 후 지속적인 기여는 위키에 큰 도움이 됩니다.
  • 로그인이 잘 되지 않을 경우 여기에서 로그인해주세요.
편집토론기록
새로 고침주시여기를 가리키는 문서정보

고기

분류:
  • 육류

세종대왕님이 이 항목을 좋아합니다.
식재료중 하나로, 쉽게 말하면 동물의 몸이다. 비타민 B1과 단백질, 지방이 많고, 철분 등의 기타 성분이 풍부한 식재료. 포함되어 있는 단백질은 인체에서 합성할 수 없는 필수 아미노산을 가지고 있으며, 지질은 세포막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육식을 아무리 싫어하더라도 어느 정도는 섭취하는 편이 좋다.

목차

  • 1 설명
  • 2 각종 고기
  • 3 한국인과 고기 섭취
  • 4 어록
  • 5 관련 항목
  • 6 각주

1 설명[편집]

고기의 결핍을 다루는 단어가 있을 정도로 인류가 오래전부터 갈망해온 식재료로, 지금처럼 고기가 채소보다 저렴해진것은 극히 최근의 일이다. 가축을 공장처럼 찍어내다시피 하는 무지막지한 짓을 저지른 끝에서야 겨우 이 정도 비용에 고기를 먹을 수 있게 된 것.

단어 자체가 '사람' 또는 '생명체'를 해학적으로 일컫는 의도로 쓰이는 적도 있다. 고기방패란 단어라던지...

2 각종 고기[편집]

  • 닭고기
  • 돼지고기
  • 소고기
  • 양고기
  • 오리고기
  • 말고기
  • 개고기
  • 칠면조 고기
  • 인육
  • 콩고기
  • 배양육
  • 환단고기
  • 놓치기 아까운 고기
  • 귀신고기

3 한국인과 고기 섭취[편집]

한국인은 OECD 평균보다 소, 닭고기는 적게 소비하고, 돼지고기는 많이 소비하는 편이다. 1인당 육류 소비량은 OECD 평균에 못미치는 편이다. [1]

4 어록[편집]

“ 이 땅에 대해 몇마디 해야겠다. 내가 좋아하는 음식은 고기 뿐이다. “
— 이누이트 남자, Brody 1987:62[2]
“ 어제 행한 연회는 1년에 한 번만 실시하는 것이라, 연회가 파한 뒤에 신녕 궁주(愼寧宮主)에게 술 한 잔을 올리기 위하여 중궁(中宮)에 들어갔었는데, 마침 보니 큰 상에 놓인 고기가 바깥 사람들의 작은 상에 차린 것만도 못하니, 이것은 담당 관청[攸司]에서 반드시 내가 직접 보지 않을 줄로 알고 이렇게 한 것이다. 어찌하여 이렇게까지 조심하지 아니하는가. “
— 세종, 조선왕조실록[3]

5 관련 항목[편집]

  • 고기인간
  • 고기반찬
  • 카시와자키 세나
  • 인간[4]

왜 다 취소선이야

6 각주

  1. ↑ [1] 육류 소비 비교, OECD, (2015년 기준 비교)
  2. ↑ Robert L. Kelly 저 「수렵채집 사회」( 사회평론아카데미),성춘택 역 P 103
  3. ↑ 세종실록 31권, 세종 8년 1월 2일 정유 1번째기사
  4. ↑ 『그들은 고깃덩어리다(They’re Made Out of Meat)』
  • 이 문서는 2019년 9월 19일 (목) 11:1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 모든 텍스트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운영관련 문의 : ops@librewiki.net | 권리침해 문의 : support@librewiki.net
  • 개인정보 정책
  • 리브레 위키 소개
  • 면책 조항
  • 이용약관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 Powered by MediaWiki
  • Designed by Librewiki

로그인

리브레 위키에 가입하세요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다른 방법으로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