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산디지털단지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0명의 중간 판 16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big> 加山디지털團地驛 / Gasan Digital Complex Station / 加山数码园区 / カサン·デジタルダンジ</big>
{{새 철도역 정보
{{정보상자
|이름     = 가산디지털단지
|이름=철도역 정보
|원어이름 =  
|전체모양 = width:285px;
|배경색  = gray
|주제모양 = background:{{철도 노선색|KR}}; color:white;
|글자색  = white
|항목모양= background:{{철도 노선색|KR}}; color:white;
|그림    =
|항목1=운영주체
|그림설명 =
|내용1=[[코레일]] 수도권서부본부</td></tr>
|그림alt  =  
<tr><td colspan="2" style="margin: 0; padding:0;">
|주소    = [[서울특별시]] [[금천구]], [[영등포구]]
{{정보상자
|번호    =  
|정보상자아님=
|노선    = [[경부선]] <small>14.1 km</small><br />[[서울 지하철 7호선]] <small>41.0 km</small>
|전체속성 = collapsible collapsed
|관할    = [[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subbox = yes
|개업일  =  
|작은제목= 세부 정보
|폐지일  =  
|작은제목모양 = background:{{철도 노선색|KR}}; color:white;
|코드    =  
|주제모양 = background:{{철도 노선색|KR}}; color:white;
|승강장  =  
|항목모양 = background:{{철도 노선색|KR}}; color:white;; text-align:left;
|관련역  =  
|항목3=개업일
|참고    =  
|내용3= 1974년 8월 15일
|비고    =  
|항목4=등급
|하위 틀  =  
|내용4= 배치간이역 (구로역 관리)
}}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에 있는 역.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경부선]] 계통이 본격적으로 경부선으로 들어갔다는 느낌이 물씬 나는 역으로, 원 역명은 '''가리봉역'''이다. 가리봉역 시절에는 구로와 금천 일대의 공단 지역에 위치하고 있던 역이었으나, 서울 시내의 공단부지 재개발을 통해 현재는 IT 산업단지와 패션 아울렛 등이 놓여있어 역 주변은 상당히 현대적인 분위기를 풍긴다. 7호선 역의 병기역명은 '''마리오아울렛'''이다.
== 역사 ==
* 1992년 11월 6일: 7호선 역명을 '''가리봉'''으로 결정<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2110700239121010&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2-11-07&officeId=00023&pageNo=21&printNo=22162&publishType=00010 지하철(6-7호선)驛名(역명) 확정], 조선일보</ref>
* 2000년 2월 29일: 7호선 [[신풍역|신풍]]~[[온수역|온수(성공회대입구)]] 구간 개통
* 2003년 3월 25일: 7호선 역명을 '''가산(가리봉)'''으로 변경<ref>[https://www.munhwa.com/news/view.html?no=2003032601032926333002 가리봉,‘가산역’개명 지하철 7호선 내달부터], 문화일보</ref> (실제 변경되지는 않은 것으로 추정됨)
* 2005년 3월 29일: 역명을 '''가산디지털단지'''로 변경<ref>[https://www.hani.co.kr/arti/area/area_general/22909.html 청계천 시작지점 ‘청계광장’ 이라 불러주세요], 한겨레</ref>
== 시설 ==
=== 1호선 ===
{{새 철도역 정보
|이름    = 가산디지털단지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글자색  = white
|그림    = gasandigital1.jpg
|그림설명 =
|그림alt  =
|주소    =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309
|번호    = {{역번호/한국|P142|수도권|1|ls=-0.05}}
|노선    = [[경부선]] <small>14.1 km</small>
|관할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개업일  = [[1974년]] [[8월 15일]]
|폐지일  =
|코드    = '''AFC''': 1702<br />일반철도 : 825
|승강장  = 2면 2선
|관련역  =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수도권 전철 1호선|수도권 전철]]의 개통과 함께 생긴 역으로, '''가리봉역'''으로 개업했다. 현재의 구조는 2면 2선에 가운데 2선의 본선 통과선이 있는 형태로,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잘 생각해보면, 최초 개통 당시부터 1980년 복복선화 완공까지 경부선 계통은 복선을 사용하고 있었단 점과 걸리는데, 중간에 선로전환 등의 과정을 거치며 현재의 구조로 변경된 것이다. 다른 역들의 경우 원래 구조를 유지하면서 대부분 외선 신설에 그쳤으나, 가리봉역이 이렇게 된 이유는 잘 알려져있지 않다. 구로역 구내가 끝난 지점에서 멀지 않은 지점이라 이렇게 바뀌었을 가능성도 있으나, 언론 보도 등에서는 난공사였다는 이야기 등만 나와있는 수준.
승강장은 방향별 복복선의 외선 상대식 역으로, 중간쯤에 선상역사가 있고, 남쪽 끝단에 7호선과의 환승 통로가 있는 형태다. 환승객과 함께 7호선 역사의 이용객이 꽤 되고, 신도림, 구로 모두 승강장 끝단의 여객 수요 부담이 많이 걸리는지라 경부선 하행 열차가 이 역을 통과할 때 쯤이면 으레 천안 방면 끝쪽 칸은 매우 혼잡하게 되곤 한다.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승강장 번호=1번|승강장 정보='''1호선''' [[구로역|구로]] · [[청량리역|청량리]] · [[광운대역|광운대]] 방면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경부선]] [[구로역|구로]]
| colspan="5" | '''[[경부선]]'''
}}
{{철도승강장/선로|
}}
{{철도승강장/선로|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경부선]] [[독산역|독산]]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승강장 번호=2번|승강장 정보='''1호선''' [[수원역|수원]] · [[천안역|천안]] · [[신창역|신창]] 방면
}}
}}
 
{{-}}
 
=== 7호선 ===
{{새 철도역 정보
|이름    = 가산디지털단지(마리오아울렛)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
|글자색  = white
|그림    = gasandigital7.jpg
|그림설명 =
|그림alt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로 327
|번호    = {{역번호/한국|746|수도권|7}}
|노선    = [[서울 지하철 7호선]] <small>41.0 km</small>
|관할    =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 [[2000년]] [[2월 29일]]
|폐지일  =
|코드    = '''AFC''': 2748
|승강장  = 2면 2선
|관련역  =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으로, 개통 당시 7호선 승강장 외벽은 플라스틱 재질의 인공암반으로 마감이 되어 있었는데, [[대구 지하철 참사]]를 계기로 불시의 방화 시도로 인한 화재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지적되어 현재의 디자인으로 바뀌었다. [[철산역]]에서 일어난 방화 사건을 생각해봐도 시기상 철거 요건이 딱 맞아 떨어진 셈. 다만 서울시 디자인 가이드라인이 나오기 이전의 일이다보니 비슷하게 개선된 디자인임에도 불구하고, 서울서체의 사용이 거의 보이지 않는 편.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7}} |승강장 번호=상행|승강장 정보='''7호선'''  [[고속터미널역|고속터미널]] · [[노원역|노원]] · [[장암역|장암]] 방면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서울 지하철 7호선]] [[남구로역|남구로]]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서울 지하철 7호선 [[철산역|철산]]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7}} |승강장 번호=하행|승강장 정보='''7호선''' [[광명사거리역|광명사거리]] · [[온수역|온수]] · [[석남역|석남]] 방면
}}
}}
{{-}}
 
=== 환승 정보 ===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
! colspan="7" | 수도권 전철 환승 정보<ref>엘리베이터를 이용할 경우에는 괄호로 표기. 비운임구역을 경유해야 하는 경로는 ''이탤릭''으로 표기.</ref>
|-
! colspan="3" rowspan="3" |
! colspan="4" | 목적지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호선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7}}; color: white;" | 7호선
|-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광운대<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신창<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7}}; color: white;" | 장암<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7}}; color: white;" | 석남<br />방면
|-
|-
| style="width: 170px;" |<small>[[서울역|서울]] 방면</small><br/>'''[[구로역|구 로]]'''
! rowspan="4" | 출발지
| style="width: 30px;" | <small>2.4<br/>km</small><br/><big>'''↔'''</big>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호선
| style="width: 160px;" | <big>'''가산디지털단지'''</big>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광운대 방면
| style="width: 30px;"| <small>2.0<br/>km</small><br/><big>'''↔'''</big>
| -
| style="width: 170px;" | <small>[[부산역|부산]] 방면</small><br/>'''[[독산역|독 산]]'''
| 10-3<br />(7-1)
| colspan="2" | 10-3<br />''(7-1)''
|-
|-
| colspan="5"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1}}; color: white;" | '''[[서울 지하철 1호선|<span style="color: white;">서울 지하철 1호선</span>]]'''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신창 방면
| 1-2<br />(4-4)
| -
| colspan="2" | 1-2<br />''(4-4)''
|-
|-
| style="width: 170px;" |<small>[[광운대역|광운대]] 방면</small><br/>'''[[구로역|구 로]]'''<br/><small>141</small>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7}}; color: white;" | 7호선
| style="width: 30px;" | <small>2.4<br/>km</small><br/><big>'''↔'''</big>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7}}; color: white;" | 장암 방면
| style="width: 160px;" | <big>'''가산디지털단지'''</big><br/><small>P142</small>
| colspan="2" |4-3<br />''(5-4)''
| style="width: 30px;"| <small>2.0<br/>km</small><br/><big>'''↔'''</big>
| -
| style="width: 170px;" | <small>[[광명역|광명]] · [[서동탄역|서동탄]] · [[신창역|신창]] 방면</small><br/>'''[[독산역|독 산]]'''<br/><small>P143</small>
| 4-3<br />(5-4)
|}
|-
<br/>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7}}; color: white;" | 석남 방면
<br/>
| colspan="2" | 5-2<br />''(4-1)''
{{정보상자
|5-2<br />(4-1)
|이름=철도역 정보
| -
|전체모양 = width:285px;
|주제모양 = background:{{철도 노선색|SR}}; color:white;
|항목모양= background:{{철도 노선색|SR}}; color:white;
|항목1=운영주체
|내용1=[[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td></tr>
<tr><td colspan="2" style="margin: 0; padding:0;">
{{정보상자
|정보상자아님=예
|전체속성 = collapsible collapsed
|subbox = yes
|작은제목= 세부 정보
|작은제목모양 = background:{{철도 노선색|SR}}; color:white;
|주제모양 =  background:{{철도 노선색|SR}}; color:white;
|항목모양 = background:{{철도 노선색|SR}}; color:white;; text-align:left;
|항목3=개업일
|내용3= 2000년 2월 29일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olspan="5"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7}}; color: white;" | '''[[서울 지하철 7호선|<span style="color: white;">서울 지하철 7호선</span>]]'''
|-
|-
| style="width: 170px;" |<small>[[장암역|장암]] 방면</small><br/>'''[[남구로역|남구로]]'''<br/><small>745</small>
| style="width: 30px;" | <small>0.8<br/>km</small><br/><big>'''↔'''</big>
| style="width: 160px;" | <big>'''가산디지털단지'''</big><br/><small>746</small>
| style="width: 30px;"| <small>0.8<br/>km</small><br/><big>'''↔'''</big>
| style="width: 170px;" | <small>[[부평구청역|부평구청]] 방면</small><br/>'''[[철산역|철 산]]'''<br/><small>747</small>
|}
|}
엘리베이터로 환승할 때는 게이트 밖으로 나가서 6번 출구 엘리베이터와 7번 출구 엘리베이터 사이를 역 밖으로 이동해야 한다. 환승 계단에 휠체어리프트가 있으나 웬만하면 사용하지 않고 전술한 방법으로 유도하고 있다.


== 개요 ==
== 주변 정보 ==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309(舊 [[가산동]] 464-2번지)에 위치한 [[도시철도역]]으로, 지상(선상역)역인 1호선과 지하역인 7호선의 환승역이다.
주변은 원래 구로공단의 일부였으나, 경공업 위주의 공단이 노후화되면서 재개발되었고, 현재는 서울디지털산업단지로 재개발되었다. 때문에 낡은 공단의 잔재들이 일부 남아있기는 하나, 외관에 유리를 사용한 고층 업무용 건물들이 많이 들어섰으며, 또 과거 의류 제조업 등의 경공업이 발전했던 배경이 있어서인지 의류 관련 아울렛들이 성업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은 [[2000년대]] 후반 들어서나 이루어진 것으로, 2000년대 전반까지만 하더라도 전형적인 쇠퇴하는 공업단지에 있던 역이었다. 역 이용객 지표로도 2000년대 전반에는 2만명 정도였던 규모에 비해, 2015년에 이르러서는 약 5~6만명 이상이 역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마리오 아울렛,W몰,현대 시티 아울렛 가산점(가산동 하이힐 아울렛))


=== 급행 정보 ===
그외 역 근방에 [[맥도날드]] 지점 3곳에 [[버거킹]] 지점 2곳에 [[롯데리아]] 지점 2곳이라는 [[햄버거]] 덕후들에게는 골라먹는 재미를 선사하는 곳이다.
{{인접정차역/열기}}
덤으로 역 근방에 [[지투존]] 가산점 [[오락실]]과 [[아케이드 코리아]] 가산점 [[오락실]]과 [[노브랜드]] 가산점등이 존재해서 서브컬쳐 덕후들이나 게이머들에게도
{{인접정차역
준성지와 같은 곳이다. 그외 [[롯데시네마]] 가산점이 역근방에 위치하며 과거에 [[아케이드 코리아]] 가산점 [[오락실]] 자리에 [[토이랜드]] 가산점 [[오락실]]이 존재하였으나 폐업하였다.
|노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종별 = <big>'''천안급행 A'''</big>
|전역 = '''[[구로역|구 로]]''' (141)
|후역 = '''[[안양역|안 양]]''' (P147)
|전방면 = [[용산역|용산]] 방면
|후방면 = [[천안역|천안]] 방면
|전색 = {{철도 노선색|S|1}}
|후색 = {{철도 노선색|S|1}}
}}
{{인접정차역/닫기
|설명 =
}}


== 역사 ==
그외 [[한남운수]] 가산동 영업소가 역근방에 위치한다.
[[1974년]] [[6월 30일]] : 역사 준공<br/>
[[1974년]] [[8월 15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과 함께 가리봉역(加里峰驛)으로 영업 개시<br/>
[[2000년]] [[2월 29일]] : 서울 지하철 7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됨<br/>
[[2005년]] [[7월 1일]] : 가산디지털단지역(加山디지털團地驛)으로 역명 변경<br/>
[[2010년]] : 한국철도공사 가산디지털단지역 스크린도어 설치


== 특징 ==
=== 버스 ===
[[2015년]] 기준 서울 도시철도 7호선 역들 중 가장 많은 승객 수요를 자랑하는 역으로<ref>[http://smrt.co.kr/program/income/General_income_station.jsp?menuID=001007003008001|출처 : 서울도시철도공사 수송수입 현황 자료]</ref>, 가산디지털단지 인근에 있는 기업체 직원들이 출퇴근시 많이 이용하는 역이라 그렇다. 또한 수원이나 천안 등지에서 오는 승객들이 7호선을 타기 위해 자주 환승하는 역이기도 하다.
{{빈 문단}}


개통 당시 7호선 승강장은 인공암반으로 마감이 되어 있었는데, [[대구 지하철 참사]]를 계기로 불시의 방화 시도로 인한 화재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지적되어 현재의 디자인으로 바뀌었다. 다만, 역명판은 서울서체를 적용하지 않고 그대로 놔 두었다.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노선명=302 [[경부선]]|노선거리=14.1 km
|전방면=[[서울역|서울]] 방면|전역=[[구로역|구로]]|전거리=2.4 km
|당역='''가산디지털단지'''
|후방면=[[부산역|부산]] 방면|후역=[[독산역|독산]]<ref>이 역과 [[독산역]] 사이에 [[박람회역]]이 있었으나 [[1968년]] [[10월 20일]] 폐역되었다.</ref>|후거리=2.0 km}}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노선명=30202 [[구로삼각선]]|노선거리=0.0 km
|전방면=|전역=(경부선 기점 10.6 km)
|당역='''구로삼각선분기<br />(경부선)<br />'''<ref>가산디지털단지역 기점 1.1 km</ref>
|후역=[[구일역|구로삼각선분기<br />(경인선)]]<ref>구일역 기점 -0.2 km</ref>}}
{{경유 노선/닫기}}


역 인근에 현대 아울렛 가산점, 수출의 다리 등이 있다.
== 경유 열차 ==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글자색=white|계통=[[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경유 계통|전합치기=3|전방면=[[청량리역|{{색|red|청량리}}]] 방면<br />[[광운대역|광운대]] 방면|전역={{역번호/한국|141|수도권|1}} [[구로역|구로]]|전거리=2.4 km
|합치기=2|당역={{역번호/한국|P142|수도권|1|ls=-0.05}} '''가산디지털단지'''|등급={{색|red|천안·신창급행}}
|후방면=[[신창역|신창]] 방면|후역={{역번호/한국|P147|수도권|1|ls=-0.05}} [[안양역|안양]]|후거리=9.8 km}}
{{경유 계통/전생략|후방면=[[신창역|{{색|red|신창}}]] 방면|후역={{역번호/한국|P144|수도권|1}} [[금천구청역|금천구청]]<br />(출퇴근)|후거리=6.6 km}}
{{경유 계통/전생략|당역표시=표시
|당역={{역번호/한국|P142|수도권|1|ls=-0.05}} '''가산디지털단지'''|등급=완행
|후방면=[[서동탄역|서동탄]] · [[신창역|신창]] 방면|후역={{역번호/한국|P143|수도권|1|ls=-0.05}} [[독산역|독산]]|후거리=2.0 km}}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7}}|글자색=white|계통=[[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경유 계통|전방면=[[장암역|장암]] 방면|전역={{역번호/한국|745|수도권|7}} [[남구로역|남구로]]|전거리=0.8 km
|당역={{역번호/한국|746|수도권|7}} '''가산디지털단지'''
|후방면=[[석남역|석남]] 방면|후역={{역번호/한국|747|수도권|7}} [[철산역|철산]]|후거리=1.4 km}}
{{경유 계통/닫기}}


{{각주}}
{{각주}}
{{퍼온문서|||일부}}


[[분류:서울 지하철 7호선]]
[[분류:서울 지하철 1호선]]
[[분류:서울특별시의 철도역]]
[[분류:전철역]]
[[분류:경부선]]
[[분류:경부선]]
[[분류:서울 도시철도 7호선]]
[[분류:서울특별시에 있는 철도역]]
{{리브레 맵스 마커|37.48153778583166|126.88251972198486|16|가산디지털단지역}}

2024년 1월 19일 (금) 07:15 기준 최신판

가산디지털단지
주소 서울특별시 금천구, 영등포구
노선 경부선 14.1 km
서울 지하철 7호선 41.0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에 있는 역. 수도권 전철 1호선경부선 계통이 본격적으로 경부선으로 들어갔다는 느낌이 물씬 나는 역으로, 원 역명은 가리봉역이다. 가리봉역 시절에는 구로와 금천 일대의 공단 지역에 위치하고 있던 역이었으나, 서울 시내의 공단부지 재개발을 통해 현재는 IT 산업단지와 패션 아울렛 등이 놓여있어 역 주변은 상당히 현대적인 분위기를 풍긴다. 7호선 역의 병기역명은 마리오아울렛이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1992년 11월 6일: 7호선 역명을 가리봉으로 결정[1]
  • 2000년 2월 29일: 7호선 신풍~온수(성공회대입구) 구간 개통
  • 2003년 3월 25일: 7호선 역명을 가산(가리봉)으로 변경[2] (실제 변경되지는 않은 것으로 추정됨)
  • 2005년 3월 29일: 역명을 가산디지털단지로 변경[3]

시설[편집 | 원본 편집]

1호선[편집 | 원본 편집]

가산디지털단지
주소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309
번호  P142 
노선 경부선 14.1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개업일 1974년 8월 15일
코드 AFC: 1702
일반철도 : 825
승강장 2면 2선

수도권 전철의 개통과 함께 생긴 역으로, 가리봉역으로 개업했다. 현재의 구조는 2면 2선에 가운데 2선의 본선 통과선이 있는 형태로,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잘 생각해보면, 최초 개통 당시부터 1980년 복복선화 완공까지 경부선 계통은 복선을 사용하고 있었단 점과 걸리는데, 중간에 선로전환 등의 과정을 거치며 현재의 구조로 변경된 것이다. 다른 역들의 경우 원래 구조를 유지하면서 대부분 외선 신설에 그쳤으나, 가리봉역이 이렇게 된 이유는 잘 알려져있지 않다. 구로역 구내가 끝난 지점에서 멀지 않은 지점이라 이렇게 바뀌었을 가능성도 있으나, 언론 보도 등에서는 난공사였다는 이야기 등만 나와있는 수준.

승강장은 방향별 복복선의 외선 상대식 역으로, 중간쯤에 선상역사가 있고, 남쪽 끝단에 7호선과의 환승 통로가 있는 형태다. 환승객과 함께 7호선 역사의 이용객이 꽤 되고, 신도림, 구로 모두 승강장 끝단의 여객 수요 부담이 많이 걸리는지라 경부선 하행 열차가 이 역을 통과할 때 쯤이면 으레 천안 방면 끝쪽 칸은 매우 혼잡하게 되곤 한다.

7호선[편집 | 원본 편집]

가산디지털단지(마리오아울렛)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로 327
번호  746 
노선 서울 지하철 7호선 41.0 km
관할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2000년 2월 29일
코드 AFC: 2748
승강장 2면 2선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으로, 개통 당시 7호선 승강장 외벽은 플라스틱 재질의 인공암반으로 마감이 되어 있었는데, 대구 지하철 참사를 계기로 불시의 방화 시도로 인한 화재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지적되어 현재의 디자인으로 바뀌었다. 철산역에서 일어난 방화 사건을 생각해봐도 시기상 철거 요건이 딱 맞아 떨어진 셈. 다만 서울시 디자인 가이드라인이 나오기 이전의 일이다보니 비슷하게 개선된 디자인임에도 불구하고, 서울서체의 사용이 거의 보이지 않는 편.

환승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수도권 전철 환승 정보[4]
목적지
1호선 7호선
광운대
방면
신창
방면
장암
방면
석남
방면
출발지 1호선 광운대 방면 - 10-3
(7-1)
10-3
(7-1)
신창 방면 1-2
(4-4)
- 1-2
(4-4)
7호선 장암 방면 4-3
(5-4)
- 4-3
(5-4)
석남 방면 5-2
(4-1)
5-2
(4-1)
-

엘리베이터로 환승할 때는 게이트 밖으로 나가서 6번 출구 엘리베이터와 7번 출구 엘리베이터 사이를 역 밖으로 이동해야 한다. 환승 계단에 휠체어리프트가 있으나 웬만하면 사용하지 않고 전술한 방법으로 유도하고 있다.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주변은 원래 구로공단의 일부였으나, 경공업 위주의 공단이 노후화되면서 재개발되었고, 현재는 서울디지털산업단지로 재개발되었다. 때문에 낡은 공단의 잔재들이 일부 남아있기는 하나, 외관에 유리를 사용한 고층 업무용 건물들이 많이 들어섰으며, 또 과거 의류 제조업 등의 경공업이 발전했던 배경이 있어서인지 의류 관련 아울렛들이 성업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은 2000년대 후반 들어서나 이루어진 것으로, 2000년대 전반까지만 하더라도 전형적인 쇠퇴하는 공업단지에 있던 역이었다. 역 이용객 지표로도 2000년대 전반에는 2만명 정도였던 규모에 비해, 2015년에 이르러서는 약 5~6만명 이상이 역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마리오 아울렛,W몰,현대 시티 아울렛 가산점(구 가산동 하이힐 아울렛))

그외 역 근방에 맥도날드 지점 3곳에 버거킹 지점 2곳에 롯데리아 지점 2곳이라는 햄버거 덕후들에게는 골라먹는 재미를 선사하는 곳이다. 덤으로 역 근방에 지투존 가산점 오락실아케이드 코리아 가산점 오락실노브랜드 가산점등이 존재해서 서브컬쳐 덕후들이나 게이머들에게도 준성지와 같은 곳이다. 그외 롯데시네마 가산점이 역근방에 위치하며 과거에 아케이드 코리아 가산점 오락실 자리에 토이랜드 가산점 오락실이 존재하였으나 폐업하였다.

그외 한남운수 가산동 영업소가 역근방에 위치한다.

버스[편집 | 원본 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서울 방면
구로 2.4 km
가산디지털단지 부산 방면
독산[5] 2.0 km
(경부선 기점 10.6 km) 구로삼각선분기
(경부선)
[6]
구로삼각선분기
(경인선)
[7]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1호선
청량리 방면
광운대 방면
 141  구로
 P142  가산디지털단지
천안·신창급행
신창 방면
 P147  안양
신창 방면
 P144  금천구청
(출퇴근)
 P142  가산디지털단지
완행
서동탄 · 신창 방면
 P143  독산
7호선
장암 방면
 745  남구로
 746  가산디지털단지 석남 방면
 747  철산

각주

  1. 지하철(6-7호선)驛名(역명) 확정, 조선일보
  2. 가리봉,‘가산역’개명 지하철 7호선 내달부터, 문화일보
  3. 청계천 시작지점 ‘청계광장’ 이라 불러주세요, 한겨레
  4.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경우에는 괄호로 표기. 비운임구역을 경유해야 하는 경로는 이탤릭으로 표기.
  5. 이 역과 독산역 사이에 박람회역이 있었으나 1968년 10월 20일 폐역되었다.
  6. 가산디지털단지역 기점 1.1 km
  7. 구일역 기점 -0.2 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