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과이 과라니: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4번째 줄: 14번째 줄:
|보조단위_비율_2 =  
|보조단위_비율_2 =  
|보조단위_이름_2 =  
|보조단위_이름_2 =  
|지폐 =  
|지폐 = ₲1000, ₲2000, ₲5000, ₲10000, ₲20000, ₲50000, ₲100000
|동전 =  
|동전 = ₲50, ₲100, ₲500, ₲1000
|발행 기관 = 파라과이 중앙은행 (Banco Central del Paraguay)
|발행 기관 = 파라과이 중앙은행 (Banco Central del Paraguay)
|인쇄처 =  
|인쇄처 =  
|조폐국 =  
|조폐국 =  
|인플레이션 = 2%<small> (2009년 추정치)</small>
|인플레이션 = 2%<small> (2009년 추정치)</small>
|환율 = <small> (2020.. 기준)</small>
|환율 = 0.19원/₲<small> (2020.. 기준)</small>
|고정환율 =  
|고정환율 =  
|전신 = [[파라과이 페소]] (100 : 1)
|전신 = [[파라과이 페소]] (100 : 1)
|후신 =  
|후신 =  
}}
}}
== 소개 ==
== 소개 ==
[[파라과이]]의 통화이다.  
[[파라과이]]의 통화이다.  
31번째 줄: 32번째 줄:


=== 환율 추이 ===
=== 환율 추이 ===
2013년 7월 기준 4,160과라니/USD (약 0.26원/과라니), 2011년 4,600과라니 정도이다.
2013년 7월 기준 4,160과라니/USD (약 0.26원/과라니), 2011년 4,600과라니 정도이다. 원화 기준으로는 대략 0.20원/₲(최저점 0.16원/₲)에서 0.25원/₲(최고점 0.31원/₲) 사이에서 움직인다.


파라과이는 1944년부터 유사 고정환 정책을 채택하다가 1960년부터 1985년까지 미국 달러 고정환으로 갈아타 126과라니/USD로 고정시켰다. 그러나 여타 다른 비슷한 사례와 마찬가지로 괴리감만 커지면서, 끝내는 과라니의 과대평가가 붕괴하여 경제적 위기를 불러오는 결과를 낳았다. 특히 70년대와 80년대에 들어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등의 인접국 사정도 영 좋지 않은 분위기가 되자, 매년 30%에 달하는 가치하락세를 보였고, 1990년에는 최고치인 45%를 찍었다.
파라과이는 1944년부터 유사 고정환 정책을 채택하다가 1960년부터 1985년까지 미국 달러 고정환으로 갈아타 126과라니/USD로 고정시켰다. 그러나 여타 다른 비슷한 사례와 마찬가지로 괴리감만 커지면서, 끝내는 과라니의 과대평가가 붕괴하여 경제적 위기를 불러오는 결과를 낳았다. 특히 70년대와 80년대에 들어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등의 인접국 사정도 영 좋지 않은 분위기가 되자, 매년 30%에 달하는 가치하락세를 보였고, 1990년에는 최고치인 45%를 찍었다.

2020년 5월 2일 (토) 00:15 판

{{{화폐이름}}}
화폐 정보
사용국 파라과이
기호
지폐 ₲1000, ₲2000, ₲5000, ₲10000, ₲20000, ₲50000, ₲100000
동전 ₲50, ₲100, ₲500, ₲1000
환율 0.19원/₲ (2020.. 기준)

소개

파라과이의 통화이다.

환전 및 사용

환율 추이

2013년 7월 기준 4,160과라니/USD (약 0.26원/과라니), 2011년 4,600과라니 정도이다. 원화 기준으로는 대략 0.20원/₲(최저점 0.16원/₲)에서 0.25원/₲(최고점 0.31원/₲) 사이에서 움직인다.

파라과이는 1944년부터 유사 고정환 정책을 채택하다가 1960년부터 1985년까지 미국 달러 고정환으로 갈아타 126과라니/USD로 고정시켰다. 그러나 여타 다른 비슷한 사례와 마찬가지로 괴리감만 커지면서, 끝내는 과라니의 과대평가가 붕괴하여 경제적 위기를 불러오는 결과를 낳았다. 특히 70년대와 80년대에 들어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등의 인접국 사정도 영 좋지 않은 분위기가 되자, 매년 30%에 달하는 가치하락세를 보였고, 1990년에는 최고치인 45%를 찍었다.

현찰 시리즈

  • 2000년대 초까지 판본이 완전히 바뀌지 않았기 때문에 일단 현행권 종류에 속한다.
  • 5만 과라니 지폐의 경우 일련번호 C로 시작하는 지폐는 사용할 수 없다. 이야기거리 참고.

이야기거리

  • 파라과이는 자체 조폐국이 없기 때문에 영국과 독일 등지에서 위탁생산하여 수입해다 쓰고 있는데, 2006년 10월 ₲50,000짜리 지폐를 들여오는 중 브라질인근에서 수송차량이 납치당해 25만장(125억 과라니, 당시 한화 20억원(...) 상당)이 고스란히 시중에 뿌려진 사태가 발생하자, 정부는 부랴부랴 유통중지를 선언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