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남 길더: 두 판 사이의 차이

110번째 줄: 110번째 줄:


{{각주}}
{{각주}}
{{화폐}}
{{아메리카의 화폐}}


[[분류:수리남]]
[[분류:수리남]]

2019년 5월 16일 (목) 03:44 판

네덜란드어 : Surinaamse Gulden (수리남세 훌덴)

소개

수리남에서 2004년까지 사용되었던 통화. 길더라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네덜란드의 속령으로 있었기에 쓰여진 명칭이다보니 수리남의 분리독립 역사보다는 조금 더 길다. 정확히는 1940년에 앤틸러스 길더와 동등한 구조로 대체된 통화로, 당시 미주지역에 네덜란드 해외령이 카리브해의 앤틸러스 제도와 수리남 정도밖에 없었던 것이 원인으로 보여진다.[1] 환율은 달러에 묶인 고정환을 채택하고 있어도 구체적인 값이 명확히 알려지지 않고 있다. 다만 1940년 당시 1.88585길더/USD, 2004년에는 2,750길더/USD(2013년 현재 3,200길더/USD (통화환산값)) 였고, 90년대에 들어 평균 명목 인플레이션 값이 23%이며, 실제로는 순간값(년단위) 70%까지도 더 올랐다는 이야기도 있다. 대략 한화로 따진다면 길더당 50 ~ 35쯤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ISO 4217코드는 SRG, 보조단위는 센트(Cent)를 사용했다. 기호는 구분할 이유도 없이 ƒ를 그냥 사용했다.

현찰 시리즈

5차 (최종)

Suriname Guilder 5th Series (2000~2004)
모습 앞면 뒷면
SRG501.JPG
ƒ5 붉은목 딱따구리 시계꽃[2]
SRG503.JPG
ƒ10 초록목 망고새 구즈마니아 링굴라타
ƒ25 흰목큰부리새 캐논볼 목화

(Couroupita Guianensis)[3]

SRG507.JPG
ƒ100 벌새 (허밍버드)
SRG509.JPG
ƒ500
SRG511.JPG
ƒ1,000
SRG513.jpg
ƒ5,000
ƒ10,000
ƒ25,000
  • 역대 수리남 통화 중에서 가장 화려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만큼 인기가 좋아서 통용정지 후 품귀현상이 일찍 찾아온 권종이기도 하다.

4차

Suriname Gulden

4th Series

앞면 공통

ƒ5 ~ ƒ2,000

앞면 공통

ƒ5,000 / ƒ10,000

ƒ5 ƒ10 ƒ25
ƒ100 ƒ500 ƒ1,000
ƒ2,000 ƒ5,000 ƒ10,000
  • ƒ5,000과 ƒ10,000의 앞면에 붙인 은박(금박) 새는 서로 다른 종으로 붙여놓았다.

1차, 2차, 3차

이전까지는 기존 유통되던 네덜란드 길더를 발행지부명만 바꾸어[4] 써오던 것을 1957년에 처음으로 수리남 중앙은행(Centrale bank van Suriname)이라는 이름을 달고 등장하였다.

표 3개

코인 노트

동전을 별도로 발행할 여건이 되지 않을때 생산된 지폐이다. ƒ1짜리와 ƒ2½짜리가 있다.

각주

  1. 종종 수리남에서 자신들이 남미에 속한다고 생각하지 않는 이유 중 하나가 여기에 있다. 또 다른 하나는 남쪽이 모조리 삼림으로 둘러싸인 지리상의 문제로 교류가 뜸한 것 정도.
  2. 정확히는 긴열매과일시계꽃(Passiflora Quadrangularis), 패션후르츠의 일종
  3. 기아나 지방에서 서식하는 나무꽃. 나무마다 코코넛 크기의 열매를 몇백개정도 맺는데 예고없이 떨어지며, 어쩌다 맞기라도 하면 바로 즉사할 정도로 단단하다. 그래서 영칭이 '캐논볼'(...) 열매는 고약한 냄새때문에 먹을 수 없지만, 꽃은 향수의 원료로 쓰인다.
  4. 본국용과 식민지용을 따로 취급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