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분류:대한민국의 정당]]
[[분류:대한민국의 정당]]
{{대사|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그리고 법치주의라는 대한민국의 정체성과 보수적 가치를 바탕으로}}
{{대사|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그리고 법치주의라는 대한민국의 정체성과 보수적 가치를 바탕으로}}
 
{{대사|[[대한민국]]의 중도우파 [[정당]]}}
{{정당 정보
|국가= 대한민국
|배경색 = 새누리당
|이름= 새누리당
|원어 이름 =
|표어= 국민이 하나되는 새로운 세상
|약칭=
|로고= Logo of the Saenuri Party.svg
|중앙 당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70길 18 한양빌딩
|이념 = [[보수주의]] ([[대한민국의 보수주의|대한민국]])<ref>{{인용|first=Mark E. |last=Manyin |title=U.S.-South Korea Relations |publisher=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year=2010 |page=26 |url=http://books.google.co.uk/books?id=PW8xrTdixW8C&pg=PA26&dq=grand+national+party+conservative&hl=en&sa=X&ei=qp9fT4iOBoPQhAfl_8CqBw&ved=0CD4Q6AEwBA#v=onepage&q=grand%20national%20party%20conservative&f=false}}</ref><ref>{{인용|first=Gi-Wook |last=Shin |title=One Alliance, Two Lenses: U.S.-Korea Relations in a New Era |publisher=Stanford University Press |page=208 |year=2010 |url=http://books.google.co.uk/books?id=acKZaB4RlGEC&pg=PA208&dq=grand+national+party+korea+conservative&hl=en&sa=X&ei=XaBfT4WEBci4hAePpsnEBw&ved=0CDEQ6AEwATgU#v=onepage&q=grand%20national%20party%20korea%20conservative&f=false}}</ref><ref>{{인용|first1=Mark |last1=Peterson |first2=Phillip |last2=Margulies |title=A brief history of Korea |publisher=Facts On File |year=2010 |page=242 |url=http://books.google.co.uk/books?id=ByIo1D9RY40C&pg=PA242&dq=grand+national+party+conservative&hl=en&sa=X&ei=qp9fT4iOBoPQhAfl_8CqBw&ved=0CC8Q6AEwAQ#v=onepage&q=grand%20national%20party%20conservative&f=false}}</ref>
|스펙트럼= [[중도우파]]<ref name="Mark">{{인용|first=Mark E. |last=Manyin |title=South Korean Politics and Rising "Anti-Americanism": Implications for U.S. Policy Toward North Korea |publisher=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year=2003 |url=http://www.iwar.org.uk/news-archive/crs/27530.pdf}}</ref><ref name="theeconomist">The Economist, print edition, April 11, 2008, [http://www.economist.com/node/11036781 South Korea's election: A narrow victory for the business-friendly centre-right], Accessed Oct 19, 2013.</ref><ref name="cronin">{{인용|first=Patrick M. |last= Cronin |title=Global Strategic Assessment 2009: America's Security Role in a Changing World |publisher=INSS |year=2009 |url=https://books.google.co.kr/books?id=8orycBhdIFMC&pg=PA269&dq=%22Grand+National+Party%22+center+right&hl=ko&sa=X&ei=ForxVKWiN43V8gW7gIGADw&redir_esc=y#v=onepage&q=%22Grand%20National%20Party%22%20center%20right&f=false}}</ref><ref name="globalsecurity">{{인용|title=Global Security: Japan and Korea; Tenth Report of Session 2007-08 |publisher=[[영국 서민원]] |year=2008 |url=https://books.google.co.kr/books?id=xauvJOOuzFMC&pg=RA1-PA63&dq=%22Grand+National+Party%22+centre-right&hl=ko&sa=X&ei=H5zxVKmsIoPl8AWmx4CYCQ&ved=0CB8Q6AEwAA#v=onepage&q=%22Grand%20National%20Party%22%20centre-right&f=false}}</ref><ref>{{인용|first=Thomas R. |last=Klassen |title=Korea's Retirement Predicament: The Ageing Tiger |publisher=Routledge |year=2013 |page=12 |url=https://books.google.co.kr/books?id=faY3AAAAQBAJ&pg=PA12&dq=Saenuri+Party+centre+right&hl=ko&sa=X&redir_esc=y#v=onepage&q=Saenuri%20Party%20centre%20right&f=false}}</ref> ~ [[우익]]<ref>{{인용|first=Young Rae |last=Oum |title=Korean American diaspora subjectivity: Gender, ethnicity, dependency, and self-reflexivity |publisher=ProQuest |year=2008 |page=144 |url=http://books.google.co.uk/books?id=SvChZKg1CNEC&pg=PA144&dq=grand+national+party+korea+right+wing&hl=en&sa=X&ei=xahfT4WjD5C6hAeAgPXSBw&ved=0CD0Q6AEwAw#v=onepage&q=grand%20national%20party%20korea%20right%20wing&f=false}}</ref><ref>[https://books.google.co.kr/books?id=HjaMAgAAQBAJ&pg=PA443&dq=%22New+Progressive+Party%22+South+Korea+left+wing&hl=ko&sa=X&ei=QJ1dVaWHG-LTmgXB-YHIAg&redir_esc=y#v=onepage&q=%22New%20Progressive%20Party%22%20South%20Korea%20left%20wing&f=false Routledge Handbook of Criminology]</ref>
|이전 당명=한나라당(1997년 11월 21일 ~ 2012년 2월 12일)
|개명일=2012년 2월 13일
|창당=[[1997년]] [[11월 21일]]
|선행조직= [[신한국당]], [[민주당 (대한민국, 1995년)|통합민주당]]
|피병합= [[한국미래연합]] <small>(2002)</small> <br /> [[자유민주연합]] <small>(2006)</small> <br /> [[미래희망연대]] <small>(2012)</small> <br />  [[선진통일당]] <small>(2012)</small>
|당대표 =
|원내대표 =
|지도자1_직명 = 혁신비상대책위원장
|지도자1_이름 = [[김희옥]] 
|지도자2_직명 = 원내대표
|지도자2_이름 = [[정진석 (정치인)|정진석]]
|교섭단체= 새누리당
|정책연구소 = [[여의도연구원]]
|재정지원= 28,980,000,000원
|재정_연도= 2010년
|당원=2,596,763명<br />190,082명<br />(당비납부 비율 7.3%)
|당원_연도=2013년
|언어1_이름= Saenuri Party
|언어1=영어
|국제=[[국제민주연합]] <br /> [[아시아-태평양 민주연합]]
|상징색=[[빨강]]
|의석1 제목 = [[대한민국 국회|국회의원]]
|의석1 수 = 129
|의석1 정수 = 300
|의석2 제목 = [[광역자치단체장]]
|의석2 수 = 8
|의석2 정수 = 17
|의석3 제목 = [[기초자치단체장]]
|의석3 수 = 121
|의석3 정수 = 226
|의석4 제목 = 광역자치의원
|의석4 수 = 416
|의석4 정수 = 789
|의석5 제목 = 기초자치의원
|의석5 수 = 1411
|의석5 정수 = 2898
|웹사이트= [http://www.saenuriparty.kr 새누리당]
}}
[[File:Saenuri_party_logo.png|400px]]
[[File:Saenuri_party_logo.png|400px]]
[[대한민국]]의 중도우파 [[정당]]
== 개요 ==
== 개요 ==
'''새누리당'''(Saenuri Party)은 [[박근혜]] 대통령이 소속되어 있는 '''[[여당]]'''이다. 2018<s>십팔?</s>년 까진 집권 여당이다.[[1997년]] 출범한 [[한나라당]]을 전신으로 하며, [[제19대 총선]]을 앞둔 {{날짜/출력|2012-2-12}}에 당명을 새누리당으로 바꾸었다. 좀 더 거슬러 올라가면 [[1990년]]에 [[3당 합당]]으로 창당된 [[민주자유당]]의 직계정당이라 할 수 있다. [[2014년]] 현재 [[국회]]에서 과반수의 의석(298석 중 158석)을 차지하고 있어 정치적 영향력이 크다. 이념적으로 [[중도우파]]-[[보수주의]] 정당에 해당한다.  
'''새누리당'''(Saenuri Party)은 [[박근혜]] 대통령이 소속되어 있는 '''[[여당]]'''이다. 2018<s>십팔?</s>년 까진 집권 여당이다.[[1997년]] 출범한 [[한나라당]]을 전신으로 하며, [[제19대 총선]]을 앞둔 {{날짜/출력|2012-2-12}}에 당명을 새누리당으로 바꾸었다. 좀 더 거슬러 올라가면 [[1990년]]에 [[3당 합당]]으로 창당된 [[민주자유당]]의 직계정당이라 할 수 있다. [[2014년]] 현재 [[국회]]에서 과반수의 의석(298석 중 158석)을 차지하고 있어 정치적 영향력이 크다. 이념적으로 [[중도우파]]-[[보수주의]] 정당에 해당한다.  

2016년 7월 25일 (월) 21:09 판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그리고 법치주의라는 대한민국의 정체성과 보수적 가치를 바탕으로
대한민국의 중도우파 정당
{{{정당이름}}}
Logo of the Saenuri Party.svg
정당 정보
이념 보수주의 (대한민국)[1][2][3]
표어 국민이 하나되는 새로운 세상
웹사이트 새누리당

Saenuri party logo.png

개요

새누리당(Saenuri Party)은 박근혜 대통령이 소속되어 있는 여당이다. 2018십팔?년 까진 집권 여당이다.1997년 출범한 한나라당을 전신으로 하며, 제19대 총선을 앞둔 틀:날짜/출력에 당명을 새누리당으로 바꾸었다. 좀 더 거슬러 올라가면 1990년3당 합당으로 창당된 민주자유당의 직계정당이라 할 수 있다. 2014년 현재 국회에서 과반수의 의석(298석 중 158석)을 차지하고 있어 정치적 영향력이 크다. 이념적으로 중도우파-보수주의 정당에 해당한다.

‘새누리’는 ‘새로운 세상’이라는 뜻의 순우리말이다. 로고는 국민의 소망을 담는 그릇, 국민의 소리를 듣는 , 모두의 기쁨을 표현하는 웃는 모양을 형상화한 것이다. 기존의 보수 정당들이 보수주의를 상징하는 파란색 계열 색상을 상징색으로 채택한 것과 달리, 과감하게 빨간색을 정당 색상으로 채택하였다.공산주의? 일장기태극기에 사용되는 빨간색을 그대로 당 상징색으로 사용하여 애국심을 표현하면서도 개혁, 젊음, 생동감 등의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그런데 미국의 보수당인 공화당은 원래부터 빨간색, 자유주의당인 민주당은 파란색이다.[4]

정책

새누리당은 정치적으로 중도우파-보수주의/자유주의 노선을 채택하며, 법치주의를 강조한다. 경제적으로는 자유주의 노선을 채택하며, 자유시장경제원리(경쟁, 기회평등)를 강조한다. 경제개방정책에 호의적이어서 FTA(자유무역협정) 체결에 적극적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복지 확대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은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더 뚜렷해졌다. 북한을 군사적 위협요소로 인식하며 한반도 비핵화에 대해 큰 관심을 두고 있다. 대북정책에서는 국익을 우선시하며, 일방적인 퍼주기식 대북정책은 경계한다.

지지기반

  • 나이 : 50대 이상 > 40대 > 20-30대
  • 성별 : 여성 > 남성
  • 지역 : 경기도 외곽, 강원도, 대구·경북, 부산·경남(김해 제외)
  • 지역특징 : 농촌(군 지역) > 도시(시 지역), 구도심 > 신도심
  • 학력 : 중졸 > 고졸 > 대학재학 이상
  • 이념 : 보수 > 중도 > 진보
  • 소득 : 저소득층, 고소득층 > 중간층

역사

이명박 정권

새누리당의 전신은 1997년 창당된 한나라당이다. 한나라당은 2007년 이명박 대통령을 당선시키며 여당이 되었다. 하지만 이명박 정권 말기에 치러진 2011년 재보궐선거에서 참패한 한나라당은 참패의 원인을 ‘정권 심판론’으로 분석하고, 박근혜를 중심으로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며 대책을 구상하였다. 한나라당은 당 쇄신 차원에서 2012년 2월, 새누리당으로 당명을 변경하고 당 상징색도 기존의 하늘색에서 빨간색으로 변경하였는데, 여기에는 과거역사 단절 및 이명박 정권과의 거리 두기라는 정치적 의도가 있다. 이러한 작전이 잘 먹혀들어가면서, 새누리당은 제19대 총선에서 야권연대(민주통합당+통합진보당)에게 참패할 것이라는 예상을 뒤엎고 과반의석(152석/300석)을 따내면서 압승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제19대 총선의 승리는 비상대책위원장으로 활약한 박근혜의 행보에 날개를 달아주었다. 박근혜는 제18대 대선에 출마하여 51.6%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48.0%의 득표율을 기록한 민주통합당문재인 후보를 꺾고 대통령이 되었다. 이로서 새누리당은 여당의 지위를 유지하게 되었다.

박근혜 정권

박근혜 대통령을 배출한 ‘여당’ 새누리당은 ‘여당은 반드시 지방선거에서 참패한다’는 징크스를 뒤엎고 2014년 치러진 제6회 지방선거에서 상당히 선방하였다. 세월호 참사 직후에 치러졌기 때문에 박근혜정권 심판론이 예상되던 상황이었던지라 새누리당의 선전은 의외의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이 선거에서 새누리당은 17개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중 8군데에서 승리하였고, 226개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중 절반이 넘는 117군데에서 승리하였다.

역대 선거결과

대통령선거

선거 후보 총 득표수 득표율 결과 정당명
제15대 (1997년) 이회창 9,935,718 38.7%
 
낙선 한나라당
제16대 (2002년) 이회창 11,443,297 46.5%
 
낙선 한나라당
제17대 (2007년) 이명박 11,492,389 48.7%
 
당선 한나라당
제18대 (2012년) 박근혜 15,773,128 51.6%
 
당선 새누리당

국회의원 선거

선거 정당명 총 득표수 획득한 국회의석수 결과 당 대표
제16대 (2000년) 한나라당 7,365,359 133석/273석
 
제1정당 이회창
제17대 (2004년) 한나라당 7,613,660 121석/299석
 
제2정당 박근혜
제18대 (2008년) 한나라당 6,421,727 153석/299석
 
제1정당 강재섭
제19대 (2012년) 새누리당 9,130,651 153석/300석
 
제1정당 박근혜

현재 확보 의석수

같이 보기

기타

여담으로 리브레위키에서 가장 먼저 생긴 정당 항목이다.

각주

  1. 틀:인용
  2. 틀:인용
  3. 틀:인용
  4. 사실 원래는 여기도 반대였으나 1960년대 이후 현재 색깔로 반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