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호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7명의 중간 판 6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동해시의 철도역]]
{{새 철도역 정보
[[분류:영동선]][[분류:묵호항선]]
|이름    = 묵호
[[분류:강릉관리역]]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글자색  = white
|그림    = Mukho Station 180825.jpg
|그림설명 =
|그림alt  =
|주소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해안로 520<br />(발한동)
|번호    =
|노선    = [[영동선]] <small>126.6 km</small><br />[[묵호항선]] <small>5.9 km</small>
|관할    = [[한국철도공사]] 강원본부
|개업일  = [[1961년]] [[5월 5일]]
|폐지일  =
|코드    = 114
|승강장  =
|관련역  =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발한동]]에 위치한 역으로 [[영동선]]과 [[묵호항선]]의 [[철도역]]이다. 역의 이름은 과거 발한동 일대가 [[강릉시|명주군]] [[묵호읍]]이던 시절의 지명에서 따왔으며, 원래 [[묵호항역]]이 먼저 건설된 역이었으나 [[삼화역]]의 시멘트 물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1960년대 [[묵호항선]]을 건설하여 [[동해역]]과 직결하는 공사를 하였고, 이를 통해 묵호역은 여객취급과 묵호항역의 운전정리 지원의 역할을 맡게 되고, 묵호항의 화물처리는 묵호항역에 집중되게 되었다.
==개요==
[[강원도]] [[동해시]] [[발한동]]에 위치한 역으로 [[영동선]]과 [[묵호항선]]의 [[철도역]]이다. 역의 이름은 과거 발한동 일대가 [[강릉시|명주군]] [[묵호읍]]이던 시절의 지명에서 따왔으며, 원래 [[묵호항역]]이 먼저 건설된 역이었으나 [[삼화역]]의 시멘트 물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1960년대 [[묵호항선]]을 건설하여 [[동해역]]과 직결하는 공사를 하였고, 이를 통해 묵호역은 여객취급과 묵호항역의 운전정리 지원의 역할을 맡게 되고, 묵호항의 화물처리는 묵호항역에 집중되게 되었다.


==정차열차==
==정차열차==
[[바다열차]]가 평일 기준으로 4회(상행 2회, 하행 2회), 주말 및 휴가철 기준으로 6회(상행 3회, 하행 6회) 정차한다. 이외에 [[무궁화호]] 열차가 일부 이 역에 정차한다.
[[바다열차]]가 평일 기준으로 4회(상행 2회, 하행 2회), 주말 및 휴가철 기준으로 6회(상행 3회, 하행 6회) 정차한다. 이외에 [[무궁화호]] 열차가 일부 이 역에 정차한다.
[[2020년]] 3월 2일 부터 동해발 KTX 개통에 따라
묵호역에 KTX가 정차한다. [[동해역]]이 커버하기 힘든 동해시 묵호 지역의 수요를 분담한다.
== 시설 ==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선로|
}}
{{철도승강장/선로|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영동선]] [[정동진역|정동진]] |오른쪽 선로 정보=[[영동선]] [[동해역|동해]]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승강장 번호=1번<br />2번|승강장 번호=|승강장 정보= '''KTX''' [[서울역|서울]] · [[청량리역|청량리]] · [[진부역|진부]] · [[정동진역|정동진]] 방면<br />'''무궁화호 · 누리로''' [[강릉역|강릉]] · [[정동진역|정동진]] · [[동해역|동해]] 방면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영동선]] [[정동진역|정동진]] |오른쪽 선로 정보=[[영동선]] [[동해역|동해]]  →
}}
}}
== 경유 노선 ==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닫기=닫음|style=width: 42em;}}
{{경유 노선/열기}}
{{경유 노선|배경색={{한국 철도 노선색2|KR}}|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노선폭=8em|노선명=영동선|노선링크=영동선|노선거리=126.6 km
|노선명=313 [[영동선]]|노선거리=126.6 km
|전역폭=10em|전방면=[[영주역|영주]] 방면|전역=[[동해역|동해]]|전거리=6.0 km
|전방면=[[영주역|영주]] 방면|전역=[[동해역|동해]]|전거리=6.0 km
|당역폭=8em|당역='''묵호'''
|당역='''묵호'''
|후역폭=10em|후방면=[[청량신호소|청량]] 방면|후역=[[망상역|망상]]|후거리=3.0 km}}
|후방면=[[청량신호소|청량]] 방면|후역=[[망상역|망상]]|후거리=3.0 km}}
{{경유 노선|배경색={{한국 철도 노선색2|KR}}|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노선폭=8em|노선명=묵호항선|노선링크=묵호항선|노선거리=126.6 km
|노선명=31303 [[묵호항선]]|노선거리=5.9 km
|전역폭=10em|전방면=[[동해역|동해]] 방면|전역=[[묵호항역|묵호항]]|전거리=0.8 km
|전방면=[[동해역|동해]] 방면|전역=[[묵호항역|묵호항]]|전거리=0.8 km
|당역폭=8em|당역='''묵호'''
|당역='''묵호'''
|후역폭=10em|후방면=|후역=(종점)}}
|후방면=|후역=}}
{{경유 노선/닫기}}
{{경유 노선/닫기}}


== 경유 열차 ==
== 경유 열차 ==
=== 여객열차 ===
{{경유 열차 목록
{{경유 열차 목록/한국/열기|닫기=닫음}}
|전체목록 =  
{{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무궁화호]]|4}}
{{경유 열차 목록/종류
{{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강릉-동대구|표시=표시|계통칸=2}}
|열차종류 = [[KTX]]
{{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강릉-부전}}
|세로수  = 1
{{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청량리-강릉|표시=표시}}
|노선    =  
{{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강릉-부산|표시=표시}}
  {{경유 열차 목록/KTX 강릉선 동해}}
{{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바다열차]]|1|가로묶기=1}}
}}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바다열차}}
{{경유 열차 목록/종류
{{경유 열차 목록/한국/닫기}}
|열차종류 = [[누리로]]
|세로수  = 1
|노선    =  
  {{경유 열차 목록/누리로 영동선 강릉}}
}}
{{경유 열차 목록/종류
|열차종류 = [[동해산타열차]]
|세로수  = 1
|가로수  = 2
|노선    =  
  {{경유 열차 목록/동해산타열차}}
}}
}}
 
{{주석}}
{{주석}}
[[분류:강원특별자치도에 있는 철도시설]]
[[분류:영동선]]

2023년 12월 11일 (월) 19:31 기준 최신판

묵호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해안로 520
(발한동)
노선 영동선 126.6 km
묵호항선 5.9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강원본부
개업일 1961년 5월 5일
코드 114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발한동에 위치한 역으로 영동선묵호항선철도역이다. 역의 이름은 과거 발한동 일대가 명주군 묵호읍이던 시절의 지명에서 따왔으며, 원래 묵호항역이 먼저 건설된 역이었으나 삼화역의 시멘트 물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1960년대 묵호항선을 건설하여 동해역과 직결하는 공사를 하였고, 이를 통해 묵호역은 여객취급과 묵호항역의 운전정리 지원의 역할을 맡게 되고, 묵호항의 화물처리는 묵호항역에 집중되게 되었다.

정차열차[편집 | 원본 편집]

바다열차가 평일 기준으로 4회(상행 2회, 하행 2회), 주말 및 휴가철 기준으로 6회(상행 3회, 하행 6회) 정차한다. 이외에 무궁화호 열차가 일부 이 역에 정차한다.

2020년 3월 2일 부터 동해발 KTX 개통에 따라 묵호역에 KTX가 정차한다. 동해역이 커버하기 힘든 동해시 묵호 지역의 수요를 분담한다.

시설[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영주 방면
동해 6.0 km
묵호 청량 방면
망상 3.0 km
동해 방면
묵호항 0.8 km
묵호 (종점)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역을 경유하는 여객열차 목록
종류 노선 정차역 (구간운행 포함)
KTX 강릉선 (서울 -) 청량리 - 상봉 - 덕소[1] - 양평 - 서원주 - 만종 - 횡성 - 둔내 - 평창 - 진부 - 정동진 - 묵호 - 동해
누리로 영동선 동해 - 묵호 - 정동진 - 강릉
동해산타열차 강릉 - 정동진 - 묵호 - 동해 - 신기 - 도계 - 동백산 - 철암 - 석포 - 승부 - 양원 - 비동 - 분천
정확한 정차역은 열차 운영사의 안내를 참고하세요.

각주

  1. 주말 왕복 1회 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