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두 판 사이의 차이

(IMF관리체제는 2001년 8월 23일에 종결되었기 때문에 노무현 정부에 대한 실드거리가 되지 못합니다.)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7명의 중간 판 12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정당 정보
{{정당 정보
|국가    = 대한민국
| 정당이름 = 더불어민주당
|이름    = 더불어민주당
| 원어이름 =  
|언어1    = 영어
| 배경색 = {{대한민국 정당색|더불어민주당}}
|언어1_이름 =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 글자색 = white
|배경색  = 더불어민주당
| 로고 = [[파일:Logo of the Minjoo Party of Korea.png|150px]]
|로고     = Symbol of the minjoo party of korea.jpg
| 약칭 = 더민주, 민주당
|로고크기 = 300px
| 대표직책 = 대표
|약칭     = 더민주, 민주당
| 대표 = [[이재명 (정치인)|이재명]]
|당대표 = 추미애
| 부대표직책 = [[원내대표]]
|지도자1_직명 = 당 대표<ref>http://theminjoo.co.kr/briefingDetail.do?bd_seq=52125</ref>
| 부대표 = [[홍익표]]
|지도자1_이름 = 추미애
| 기타대표직책 = [[사무총장]]
|지도자2_직명 = 원내대표
| 기타대표 = [[김민기]]
|지도자2_이름 = 우원식
| 이념 = [[자유주의]] <br />{{숨기기|'''내부 정파:'''|[[사회자유주의]] <small>(친문계)</small><br />[[사회민주주의]] <small>(이재명계)</small><br />[[중도개혁주의]] <small>(비문계)</small><ref>그 중에서도 [[국민의당]] 비탈당파들</ref> <br />[[사회보수주의]] <br />[[보수자유주의]]<ref>[[김진표]] [[친문]]계 일부, 민집모 출신 의원, [[진영]] 전 의원 등은 [[중도우파]] 성향을 띤다.</ref>}}
|지도자3_직명 = 사무총장
| 설립자 =  
|지도자3_이름 = 이춘석
| 설립일 = [[2014년]] [[3월 26일]]
|지도자4_직명 = 정책위의장
| 해산일 =  
|지도자4_이름 = 김태년
| 이전정당 = 더불어시민당, 열린민주당, 새로운물결
|정치적 스펙트럼 = [중도]]~[[중도좌파]]
| 이후정당 =  
|이념 = [[사회자유주의]], [[사회민주주의]], [[진보주의]]
| 본부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68길 14 ([[여의도동]] 신동해빌딩 11층)
|창당 = {{날짜/출력|2014-3-26일}}
| 표어 = 국민과 함께
|선행조직 = [[민주당 (대한민국, 2013년)|민주당]]<br />[[새정치연합]]
다시 뛰겠습니다!
|이전 당명    = 새정치민주연합 : [[2014년]] [[3월 26일]] ~ [[2015년]] [[12월 28일]]
| 국제조직 = 없음
|중앙 당사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68길 14 ([[여의도동]] 신동해빌딩 11층)
| 웹사이트 = [http://theminjoo.kr/ 더불어민주당]
|청년조직    = 더불어민주당 전국청년위원회<ref>https://www.facebook.com/npadyouth/?fref=ts</ref>
| 의석 = {{정당 정보/의석
|학생조직    = 더불어민주당 전국대학생위원회<ref>https://www.facebook.com/futureofpolitics/?fref=ts</ref>
|의석명 = [[대한민국 국회|국회의원]]
|재정지원    =  
|의석수 = 167
|재정_연도  =  
|전체  = 299
|당원      = 2,132,510명
}}
|당원_연도  = 2011
{{정당 정보/의석
|스펙트럼  =
|의석명 = [[광역자치단체장]]
|국제      = [[진보동맹]]
|의석수 = 5
|정책연구소 = [[민주정책연구원]]
|전체  = 17
|상징색    = [[파랑]]
}}
|의석1 제목 = [[대한민국 국회|국회의원]]
{{정당 정보/의석
|의석1 수  = 129
|의석명 = [[기초자치단체장]]
|의석1 정수 = 299
|의석수 = 63
|의석2 제목 = [[광역자치단체장]]
|전체  = 226
|의석2 수  = 14
}}
|의석2 정수 = 17
{{정당 정보/의석
|의석3 제목 = [[기초자치단체장]]
|의석명 = 광역자치의원
|의석3 수  = 151
|의석수 = 322
|의석3 정수 = 226
|전체  = 872
|의석4 제목 = 광역자치의원
}}
|의석4 수  = 652
{{정당 정보/의석
|의석4 정수 = 824
|의석명 = 기초자치의원
|의석5 제목 = 기초자치의원
|의석수 = 1384
|의석5 수  = 1638
|전체   = 2988
|의석5 정수 = 2926
}}
|의석6 제목 =  
| 비고 =  
|의석6 수   =  
|의석6 정수 =
|웹사이트  = [http://theminjoo.kr/ 더불어민주당]
}}
}}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 The Minjoo Party of Korea)은 [[2018년]] 기준 [[여당]]으로 [[대한민국]]의 정당이다. 공식 약칭은 '''더민주'''(The Minjoo)이다.<ref name="yonhap_151230">[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2/30/0200000000AKR20151230079400001.HTML 더불어민주당 약칭 '더민주'…영문명 'The Minjoo'], 연합뉴스, 2015.12.30.</ref>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 The Minjoo Party of Korea)은 [[대한민국]]의 2022년 5월 10일 기준 제1[[야당]]이다. 공식 약칭은 '''더민주'''(The Minjoo)이다.<ref name="yonhap_151230">[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2/30/0200000000AKR20151230079400001.HTML 더불어민주당 약칭 '더민주'…영문명 'The Minjoo'], 연합뉴스, 2015.12.30.</ref>


== 정치 성향 ==
== 정치 성향 ==
더불어민주당은 대체로 [[중도좌파]], [[사회자유주의]]적 성향의 정책을 내놓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의 경제 정책은 [[시장경제]]에 기반을 두고 있으나 [[신자유주의]]에 대해서는 [[새누리당]]에 비해 덜 우호적이다.<ref>더불어민주당은 강령·정강 정책을 통해 [[신자유주의]]를 비판하고 있다.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집권 시절의 경제정책은 다분히 [[신자유주의]]적이었다는 걸 지적하는 사람이 있었지만, 최소한 김대중 정부 시절은 [[외환위기]]로 인해 [[국제통화기구]]가 대한민국 경제정책에 크게 간섭을 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어쩔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하다.</ref>  
더불어민주당은 대체로 [[사회보수주의]]적 [[자유주의]] 내지 [[사회자유주의]]적 성향의 정책을 내놓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의 경제 정책은 [[시장경제]]에 기반을 두고 있으나 [[신자유주의]]에 대해서는 [[국민의힘]]에 비해 덜 우호적이다.<ref>[[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집권 시절의 경제정책은 다분히 [[신자유주의]]적이지만, 더불어민주당은 강령·정강 정책을 통해 [[신자유주의]]를 비판하고 있다. 이는 사회상의 변화가 한 원인으로 보인다.</ref>  


기본적으로는 진보정당들에 비해 국가[[안보]]를 중요시 여기며, [[복지]] 정책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지만, 진보정당에 비하면 다소 약한 편이다. 그리고 기본적으로는 [[한미관계|한미동맹]]에 기반을 둔 외교를 중시하고 있지만, [[미국]]이나 [[중국]] 등 한 쪽 편만 무조건 들지 않고 필요에 따라 대한민국의 생존에 도움이 될 만한 쪽의 편을 드는, 일명 '등거리 외교'를 지향한다. 그리고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하여 대체로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또한 대북정책은 김대중 정부 시절부터 내려오는 [[햇볕정책]]에 기반해 대북 유화 노선을 취하고 있다.
기본적으로는 방법은 달라도 보수 정당 만큼이나 안보에 적극적이며, [[복지]] 정책에 관심을 가지지만 진보 정당에 비하면 다소 약한 편이다. 그리고 기본적으로는 [[한미관계|한미동맹]]에 기반을 둔 외교를 중시하고 있지만, [[미국]]이나 [[중국]] 등 한 쪽 편만 무조건 들지 않고 필요에 따라 대한민국의 생존에 도움이 될 만한 쪽의 편을 드는, 일명 '등거리 외교'를 지향한다. 그리고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하여 대체로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또한 대북정책은 김대중 정부 시절부터 내려오는 [[햇볕정책]]에 기반해 대북 유화 노선을 취하고 있다.


==역사==
전반적으로 내세우는 경제, 사회 정책에 있어서는 대표적 사회자유주의 정당인 [[민주당 (미국)|미국 민주당]]보다 보수적이며 상대적으로 권위주의적 입장을 취한다. 이는 기본적으로 민주당과 보수 정당이 민주화를 빼면 그렇게 차이가 있지 않던 탓이었다. 삼당합당으로 민자당이 탄생하자 유일하게 홀로 남은 민주당이 생존을 위해 조금씩 진보적으로, 왼쪽으로 가면서 그나마 지금과 같은 스탠스를 가졌다.
[[1967년]] [[신민당]]을 시작으로 수차례 이름을 바꾼 역사가 있다. 이름에는 대체로 '민주'라는 단어가 들어가있어 통칭 [[민주당]]으로 불린다.


===[[신민당]] 시절===
== 역사 ==
===[[신한민주당]] 시절===
{{참고|자유주의 정당/대한민국}}
===[[평화민주당]]·[[통일민주당]] 시절===
===[[민주당 (1991)|민주당]] 시절===


===[[새정치국민회의]] 시절===
==기타==
===[[새천년민주당]] 시절===
[[보수 정당/대한민국#민주자유당|민자당]]~[[국민의힘]]에 대항하는 정치인들이 모인 빅텐트 정당이기 때문에 스펙트럼이 중도우파~좌파로 넓은 편이다.  
===[[열린우리당]]·[[민주당]] 시절===
===[[민주통합당]] 시절===
===[[새정치민주연합]] 시절===
[[File:Npad_logo.svg|섬네일|[[새정치민주연합]] 시절 로고.]]
새정치연합은 {{날짜/출력|2014-3-26}} [[민주당]]과 [[새정치연합 창당준비위원회]]가 통합하여 창당되었다. 법적으로는 기존의 [[민주당]]과 별개의 정당으로 새로이 창당된 정당이나, 사실상 기존의 [[민주당]]에 [[안철수]] 의원이 입당한 것에 불과한 것 아니냐는 비판도 있다.  '''새민련'''의 과한 어감{{ㅊ|혹자는 새로운 미친 여성의 느낌이라 카더라}}과 기존에 있던 '''자민련'''과 비슷하다는 이유로 지지층과 진보진영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고 보수층에서 많이 사용한다.
 
[[2015년]] [[12월 13일]], [[새정치]]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달았던 [[안철수]] 의원이 탈당<ref>[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51213_0010474956&cID=10301&pID=10300 <nowiki>[안철수 탈당][종합]</nowiki>안철수 "새정치 떠난다…정권교체 위한 세력 만들 것"], 뉴시스, 2015.12.13.</ref>하면서 당명 변화가 예상되었다. 한편 탈당한 [[안철수]] 의원은 [[국민의당]]을 창당한다.
 
===[[더불어민주당]] 시절===
[[2015년]] [[12월 28일]], '''더불어민주당'''이라는 이름으로 당명을 바꾸었다. 약칭은 '''더민주'''를 사용한다.<ref>[http://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723725.html?_fr=mt2 새정치연합, 새 당명 ‘더불어민주당’ 확정], 한겨레, 2015.12.28.</ref> 실제로 '[[민주당 (2014)|민주당]]'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는<del>[[알박기]]</del> 원외정당이 있어 충돌이 예상된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2/28/0200000000AKR20151228181000001.HTML?input=1179m '더불어민주당' 약칭 논란…원외 민주당 "유사당명"], 연합뉴스, 2015.12.28.</ref> 당초 약칭을 ''더민주당''으로 사용하려고 했으나 [[민주당 (2014)|민주당]]의 반발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만류로 철회되었다.<ref name="yonhap_151230" />
 
* 추미애 의원이 당 대표로 선출되었다.
 
== 지지기반==
* 나이 : 20-30대 > 40대 > 50대 이상
* 지역 : [[서울특별시]](대부분의 지역)
* 지역특징 : 신도심 > 구도심, 도시(시 지역)> 농촌(군 지역)
* 학력 : 대학재학 이상 > 고졸 > 중졸 이하
* 이념 : 진보 ≥ 중도 > 보수
* 소득 : 중간층 > 저소득층, 고소득층
 
== 현재 확보 의석수 ==
* 국회의원 : 129 / 299
* 광역자치단체장 : 14 / 17
* 기초자치단체장 : 151 / 226
* 광역자치의원 : 652 / 824
* 기초자치의원 : 1,638 / 2,926


{{주석}}
{{주석}}
{{틀: 대한민국의 정당}}
{{대한민국의 정당}}
[[분류:대한민국의 원내정당]]
[[분류:대한민국의 원내정당]]
[[분류:2014년 설립]]
[[분류:2014년 설립]]
[[분류:자유주의]]

2024년 3월 23일 (토) 08:12 기준 최신판

더불어민주당
Logo of the Minjoo Party of Korea.png
정당 정보
약칭 더민주, 민주당
대표 이재명
원내대표 홍익표
사무총장 김민기
이념

자유주의

설립 2014년 3월 26일
이전정당 더불어시민당, 열린민주당, 새로운물결
본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68길 14 (여의도동 신동해빌딩 11층)
표어

국민과 함께

다시 뛰겠습니다!
국제조직 없음
웹사이트 더불어민주당
의석
국회의원
167 / 299
광역자치단체장
5 / 17
기초자치단체장
63 / 226
광역자치의원
322 / 872
기초자치의원
1384 / 2988

더불어민주당(더불어民主黨, The Minjoo Party of Korea)은 대한민국의 2022년 5월 10일 기준 제1야당이다. 공식 약칭은 더민주(The Minjoo)이다.[3]

정치 성향[편집 | 원본 편집]

더불어민주당은 대체로 사회보수주의자유주의 내지 사회자유주의적 성향의 정책을 내놓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의 경제 정책은 시장경제에 기반을 두고 있으나 신자유주의에 대해서는 국민의힘에 비해 덜 우호적이다.[4]

기본적으로는 방법은 달라도 보수 정당 만큼이나 안보에 적극적이며, 복지 정책에 관심을 가지지만 진보 정당에 비하면 다소 약한 편이다. 그리고 기본적으로는 한미동맹에 기반을 둔 외교를 중시하고 있지만, 미국이나 중국 등 한 쪽 편만 무조건 들지 않고 필요에 따라 대한민국의 생존에 도움이 될 만한 쪽의 편을 드는, 일명 '등거리 외교'를 지향한다. 그리고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하여 대체로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또한 대북정책은 김대중 정부 시절부터 내려오는 햇볕정책에 기반해 대북 유화 노선을 취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내세우는 경제, 사회 정책에 있어서는 대표적 사회자유주의 정당인 미국 민주당보다 보수적이며 상대적으로 권위주의적 입장을 취한다. 이는 기본적으로 민주당과 보수 정당이 민주화를 빼면 그렇게 차이가 있지 않던 탓이었다. 삼당합당으로 민자당이 탄생하자 유일하게 홀로 남은 민주당이 생존을 위해 조금씩 진보적으로, 왼쪽으로 가면서 그나마 지금과 같은 스탠스를 가졌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기타[편집 | 원본 편집]

민자당~국민의힘에 대항하는 정치인들이 모인 빅텐트 정당이기 때문에 스펙트럼이 중도우파~좌파로 넓은 편이다.

각주

  1. 그 중에서도 국민의당 비탈당파들
  2. 김진표친문계 일부, 민집모 출신 의원, 진영 전 의원 등은 중도우파 성향을 띤다.
  3. 더불어민주당 약칭 '더민주'…영문명 'The Minjoo', 연합뉴스, 2015.12.30.
  4.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집권 시절의 경제정책은 다분히 신자유주의적이지만, 더불어민주당은 강령·정강 정책을 통해 신자유주의를 비판하고 있다. 이는 사회상의 변화가 한 원인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