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포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분류:[^]]+에 있는 철도시설 +분류:경상북도에 있는 철도시설))
 
(사용자 7명의 중간 판 6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영동선]]
{{철도역 정보
[[분류:경상북도의 철도역]]
|이름    = 석포
{{철도역 정보
|원어이름 =  
|역명 = 석포역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역명2 =  
|글자색  = white
|배경색 =  
|그림     = Korail Yeongdong Line Seokpo Station.jpg
|그림 =  
|그림설명 =  
|그림설명 =  
|역번호 =  
|그림alt  =  
|소재지 =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석포리
|주소    =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석포로 134<br />(석포리)
|좌표 =
|번호    =  
|개업일 = {{날짜/출력|1956-1-1}}
|노선    = [[영동선]] <small>76.8 km</small>
|폐지일 =  
|관할    = [[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
|관할 =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 [[1956년]] [[1월 1일]]
|종별 = [[보통역]]
|폐지일  =  
|등급 = 3급
|코드    = 108
|승강장 = 1면 2선(섬식)
|승강장  =  
|노선1 = [[영동선]]
|관련역  =  
|영업거리1 = [[영주역]] 기점 76.8
|참고    =  
|전방면1 = [[영주역|영주]]
|비고     =  
|전역1 = [[승부역|승부]]
|하위 틀  =  
|전거리1 = 7.6
|후방면1 = [[강릉역|강릉]]
|후역1 = [[동점역|동점]]
|후거리1 = 6.2
|비고 =
|주석 =  
}}
}}
==개요==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석포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위치상으로만 봐서는 아무것도 없는 시골 깡촌마을에 [[영동선]]의 모든 여객열차들이 정차하는 역이다. 이러한 이유는 이 석포역 바로 옆에 자리한 [[영풍]]의 석포제련소{{ㅈ|[[아연]] 제련소이다}} 때문인데 영주나 봉화읍내, 태백에서 출퇴근하는 통근수요가 꽤 있는지라 역세권 대비 열차의 정차횟수가 상당히 많은 편에 속한다. 참고로 이 역의 기능은 여객취급은 부기능일 뿐이고, 주기능은 영풍제련소에 들어가는 [[석탄]]과 [[황산]], 그리고 여기서 생산되어 나오는 [[아연]]의 수송으로 상당규모의 화물처리를 하고 있는 역이다. 비록 중금속과 위험물을 취급하는 혐오시설이지만 이 영풍제련소는 사실 석포역과 지역을 먹여살리는 존재이기도 하다.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석포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위치상으로만 봐서는 아무것도 없는 시골 깡촌마을에 [[영동선]]의 모든 여객열차들이 정차하는 역이다. 이러한 이유는 이 석포역 바로 옆에 자리한 [[영풍]]의 석포제련소{{ㅈ|[[아연]] 제련소이다}} 때문인데 영주나 봉화읍내, 태백에서 출퇴근하는 통근수요가 꽤 있는지라 역세권 대비 열차의 정차횟수가 상당히 많은 편에 속한다. 참고로 이 역의 기능은 여객취급은 부기능일 뿐이고, 주기능은 영풍제련소에 들어가는 [[석탄]]과 [[황산]], 그리고 여기서 생산되어 나오는 [[아연]]의 수송으로 상당규모의 화물처리를 하고 있는 역이다. 비록 중금속과 위험물을 취급하는 혐오시설이지만 이 영풍제련소는 사실 석포역과 지역을 먹여살리는 존재이기도 하다.


== 사건사고 ==
== 사건사고 ==
* [[석포역 무궁화호 탈선 사고]] - 정확히는 석포역에서가 아니라 석포역 인근의 굴현 터널에서 발생한 사고이다.
* [[석포역 무궁화호 탈선 사고]] - 정확히는 석포역에서가 아니라 석포역 인근의 굴현 터널에서 발생한 사고이다.
== 승강장 정보 ==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선로|
}}
{{철도승강장/선로|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영동선]] [[철암역|철암]]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승강장 번호=2번|승강장 정보='''무궁화호''' [[동해역|동해]] 방면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승강장 번호=1번|승강장 정보='''무궁화호''' [[영주역|영주]] · [[부산역|부산]] 방면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영동선]] [[승부역|승부]] →
}}
{{철도승강장/선로|
}}
{{철도승강장/선로|
}}
{{철도승강장/선로|
}}
{{철도승강장/선로|
}}
{{철도승강장/선로|
}}
}}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노선명=313 [[영동선]]|노선거리=76.8 km
|전방면=[[영주역|영주]] 방면|전역=[[승부역|승부]]|전거리=7.6 km
|당역='''석포'''
|후방면=[[청량신호소|청량]] 방면|후역=[[동점역|동점]]|후거리=6.2 km}}
{{경유 노선/닫기}}
== 경유 열차 ==
{{경유 열차 목록
|전체목록 =
{{경유 열차 목록/종류
|열차종류 = [[무궁화호]]
|세로수  = 2
|노선    =
  {{경유 열차 목록/무궁화호 영동선}}
  {{경유 열차 목록/무궁화호 영동동해선}}
}}
{{경유 열차 목록/종류
|열차종류 = [[동해산타열차]]
|세로수  = 1
|가로수  = 2
|노선    =
  {{경유 열차 목록/동해산타열차}}
}}
}}


{{주석}}
{{주석}}
[[분류:영동선]]
[[분류:경상북도에 있는 철도시설]]
{{리브레 맵스 마커|37.04521860602063|129.06123518943787|11|석포역}}

2023년 9월 20일 (수) 15:43 기준 최신판

석포
주소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석포로 134
(석포리)
노선 영동선 76.8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
개업일 1956년 1월 1일
코드 108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석포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위치상으로만 봐서는 아무것도 없는 시골 깡촌마을에 영동선의 모든 여객열차들이 정차하는 역이다. 이러한 이유는 이 석포역 바로 옆에 자리한 영풍의 석포제련소[1] 때문인데 영주나 봉화읍내, 태백에서 출퇴근하는 통근수요가 꽤 있는지라 역세권 대비 열차의 정차횟수가 상당히 많은 편에 속한다. 참고로 이 역의 기능은 여객취급은 부기능일 뿐이고, 주기능은 영풍제련소에 들어가는 석탄황산, 그리고 여기서 생산되어 나오는 아연의 수송으로 상당규모의 화물처리를 하고 있는 역이다. 비록 중금속과 위험물을 취급하는 혐오시설이지만 이 영풍제련소는 사실 석포역과 지역을 먹여살리는 존재이기도 하다.

사건사고[편집 | 원본 편집]

승강장 정보[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영주 방면
승부 7.6 km
석포 청량 방면
동점 6.2 km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역을 경유하는 여객열차 목록
종류 노선 정차역 (구간운행 포함)
무궁화호 영동선 동해 - 도계 - 동백산 - 철암 - 석포 - 승부 - 양원 - 분천 - 현동 - 임기 - 춘양 - 봉화 - 영주 - 안동 - 의성 - 탑리 - 화본 - 신녕 - 북영천 - 하양 - 동대구
영동동해선 동해 - 신기 - 도계 - 동백산 - 철암 - 석포 - 승부 - 양원 - 분천 - 현동 - 임기 - 춘양 - 봉화 - 영주 - 안동 - 의성 - 영천 - 경주 - 북울산 - 태화강 - 기장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동해산타열차 강릉 - 정동진 - 묵호 - 동해 - 신기 - 도계 - 동백산 - 철암 - 석포 - 승부 - 양원 - 비동 - 분천
정확한 정차역은 열차 운영사의 안내를 참고하세요.

각주

  1. 아연 제련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