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_([^]]*)\]\] +\1 \2))
 
(사용자 23명의 중간 판 15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작성중}}
{{좌우이동|왼쪽=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왼쪽축약=19대|오른쪽=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오른쪽축약=21대|가운데=제20대 국회의원 선거}}
<br />
{{youtube|SPl8dM-adbg}}
<br />
[[2016년]] [[4월 13일]] 치뤄지는 [[대한민국]]의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총선)을 정리하는 문서이다. 같은 날 일부 지역에서는 [[2016년 상반기 재·보궐선거]]도 치뤄진다.


[[2016년]] [[4월 13일]] 치뤄지는 [[대한민국]]의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총선)을 정리하는 문서이다.
==주요 선거일정==
* [[2015년]] [[11월 5일]]~[[2016년]] [[2월 13일]]
** 국외부재자 신고 및 재외선거인 등록신청
* [[2015년]] [[12월 15일]]~
** 예비후보자등록 신청
* [[2016년]] [[2월 24일]]~[[3월 4일]]
** 재외선거인명부 등 작성
* [[3월 24일]]~[[3월 25일]]
** 후보자등록 신청
* [[3월 30일]]~[[4월 4일]]
** 재외투표소 투표
* [[3월 31일]]
** '''선거기간 개시일'''
* [[4월 5일]]~[[4월 8일]]
** '''선상투표 기간'''
* [[4월 8일]]~[[4월 9일]]
** '''[[사전투표]] 기간'''
* [[4월 13일]]
** '''투표''' (오전 6시 ~ 오후 6시까지)
** '''개표''' (투표 종료 후 즉시)


==이슈==
==이슈==
===선거구 획정===
===선거구 획정===
{{참고|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 획정}}
[[2014년]] [[10월 30일]] [[헌법재판소]]가 국회의원 선거구 인구수 편차를 기존 3대 1에서 2대 1로 조정하라는 결정을 내리면서<ref>[http://www.hani.co.kr/arti/politics//722330.html 핵심만 쏙! 선거구 획정 총정리], 한겨레, 2015.12.17.</ref> 변경된 선거구로 치뤄지는 첫 번째 총선이다.
[[2014년]] [[10월 30일]] [[헌법재판소]]가 국회의원 선거구 인구수 편차를 기존 3대 1에서 2대 1로 조정하라는 결정을 내리면서<ref>[http://www.hani.co.kr/arti/politics//722330.html 핵심만 쏙! 선거구 획정 총정리], 한겨레, 2015.12.17.</ref> 변경된 선거구로 치뤄지는 첫 번째 총선이다.


여야의 의견차가 좁혀지지 않으면서 [[2016년]] [[1월 1일]]을 기해 전국의 모든 선거구가 무효가 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결국 제19대 국회는 기한을 한참 지난 [[2016년]] [[3월 2일]] 선거구를 획정지었다. 국회의원 정원은 300명으로 유지하되 지역구 숫자는 7석 늘어난 253석, 비례대표 숫자는 그만큼 줄어든 47석으로 확정되었다.<ref>[http://www.huffingtonpost.kr/2016/03/03/story_n_9365844.html '20대 국회 선거구 획정' 선거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허핑턴포스트코리아, 2016.03.09.</ref>
제19대 국회는 기한을 한참 지난 [[2016년]] [[3월 2일]] 선거구를 획정지었다. 국회의원 정원은 300명으로 유지하되 지역구 숫자는 7석 늘어난 253석, 비례대표 숫자는 그만큼 줄어든 47석이다.<ref>[http://www.huffingtonpost.kr/2016/03/03/story_n_9365844.html '20대 국회 선거구 획정' 선거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허핑턴포스트코리아, 2016.03.09.</ref>
 
당시 국회의원들이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선거구를 결정할 수 있다는 점, 농어촌 등 일부 지역의 선거구가 통폐합이 불가피해 '특별선거구' 설치를 주장하는 등<ref>[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709798.html 김무성·농어촌 의원들 반발…선거구획정 진통
], 한겨레, 2015.09.21.</ref> 논란이 일었다. [[선거관리위원회]], [[정의당]] 등 일부에서는 비례대표를 늘릴 것을 주장했으나 결국 받아들여지지 않았다.<ref>[http://m.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22574 ‘판도라의 상자’ 선관위가 열다], 시사iN, 2015.03.09.</ref>


==참여 정당==
==참여 정당==
다음은 이번 총선에 참여하는 정당의 목록이다. [[선거관리위원회]]로부터 부여받은 기호 순(의석수, 이후 원외정당은 가나다 순)이다.
다음은 이번 총선에 참여하는 정당의 목록이다.
* [[새누리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당]]
* [[정의당]]
* [[민주당 (2014)]]
* [[가자코리아]]
* [[개혁국민신당]]
* [[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
* [[공화당 (대한민국)]]
* [[기독당]]
* [[노동당]]
* [[녹색당]]
* [[민중연합당]]
* [[복지국가당]]
* [[진리대한당]]
* [[친반국민대통합]]
* [[통일한국당]]
* [[한국국민당]]
* [[한나라당 (2012)]]


==선거구==
순번은 비례대표 기호, 비례대표 미참여 정당은 지역구 후보자 수 순, 이마저 같으면 가나다 순. 비례대표 기호는 [[선거관리위원회]]가 원내정당 의석수 순, 그리고 원외정당 가나다 순으로 발표한 것에 따른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효자동, 사직동, 삼청동, 부암동, 평창동, 무악동, 교남동, 가회동, 종로1·2·3·4가동, 종로5·6가동, 이화동, 혜화동, 창신제1동, 창신제2동, 창신제3동, 숭인제1동, 숭인제2동


====중구성동구갑====
출처: [http://www.nec.go.kr/ocvote/ocList.jsp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비례대표 선거정보]
응봉동, 성수1가제1동, 성수1가제2동, 성수2가제1동, 성수2가제3동, 왕십리도선동, 왕십리제2동, 행당제1동, 행당제2동, 마장동, 사근동, 송정동, 용답동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순번 !! 정당명 !! 비고
|-
|| 1 || [[새누리당]]
| rowspan=4 | 전국 공통 번호를 할당받음.<ref>해당 정당에서 후보자가 나오지 않아도 해당 정당이 할당받은 번호는 결번이다. 예컨데 새누리당과 더민주에서 후보를 내고 국민의당, 정의당은 후보를 내지 않았다면 1,2번 다음의 기타 정당/무소속 후보는 3번이 아닌 5번이다.</ref>
|-
|| 2 || [[더불어민주당]]
|-
|| 3 || [[국민의당]]
|-
|| 4 || [[정의당]]
|-
|| 5 || [[기독자유당]]
| rowspan=2 | 지역구는 겹치지 않아 양당 모두 5번
|-
|| 6 || [[민주당 (2014년)|민주당]]
|-
| colspan=3 | 이상 원내정당 / 이하 원외정당
|-
|| 7 || [[가자코리아]]<ref>약칭은 코리아</ref> ||
|-
|| 8 || [[강제동원일제피해일본군위안부인권정당]]<ref>약칭은 일제·위안부·인권정당</ref> ||
|-
|| 9 || [[개혁국민신당]] ||
|-
|| 10 || [[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 ||
|-
|| 11 || [[공화당 (2014년)|공화당]] ||
|-
|| 12 || [[그린불교연합당]]<ref>약칭은 불교당</ref> ||
|-
|| 13 || [[기독민주당]]<ref>약칭은 기독당. 위의 기독자유당과는 다른 정당이다.</ref> ||
|-
|| 14 || [[노동당 (대한민국)|노동당]] ||
|-
|| 15 || [[녹색당]] ||
|-
|| 16 || [[민중연합당]] ||
|-
|| 17 || [[복지국가당]] ||
|-
|| 18 || [[친반통일당]] ||
|-
|| 19 || [[통일한국당]] ||
|-
|| 20 || [[한국국민당]] ||
|-
|| 21 || [[한나라당 (2012년)|한나라당]] ||
|-
| colspan=3 | 이상 비례대표 참여 정당<br />이하는 지역구에만 참여하는 정당
|-
|| - || [[진리대한당]] ||
|-
|| - || [[대한민국당]] ||
|-
|| - || [[대한민국당]] ||
|-
|| - || [[친반국민대통합]]<ref>약칭은 친반통합</ref> ||
|-
|| - || [[친반평화통일당]]<ref>친반통일당과는 다른 정당이다.</ref> ||
|}


====중구성동구을====
==선거구==
소공동, 회현동, 명동, 필동, 장충동, 광희동, 을지로동, 신당동, 다산동, 약수동, 청구동, 신당제5동, 동화동, 황학동, 중림동, 금호1가동, 금호2·3가동, 금호4가동, 옥수동
{{참고|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
 
====용산구====
후암동, 용산2가동, 남영동, 청파동, 원효로제1동, 원효로제2동, 효창동, 용문동, 한강로동, 이촌제1동, 이촌제2동, 이태원제1동, 이태원제2동, 한남동, 서빙고동, 보광동
 
====광진구갑====
중곡제1동, 중곡제2동, 중곡제3동, 중곡제4동, 능동, 구의제2동, 광장동, 군자동
 
====광진구을====
구의제1동, 구의제3동, 자양제1동, 자양제2동, 자양제3동, 자양제4동, 화양동
 
====동대문구갑====
용신동, 제기동, 청량리동, 회기동, 휘경제1동, 휘경제2동, 이문제1동, 이문제2동
 
====동대문구을====
전농제1동, 전농제2동, 답십리제1동, 답십리제2동, 장안제1동, 장안제2동
 
====중랑구갑====
면목본동, 면목제2동, 면목제3·8동, 면목제4동, 면목제5동, 면목제7동, 상봉제2동, 망우제3동
 
====중랑구을====
상봉제1동, 중화제1동, 중화제2동, 묵제1동, 묵제2동, 망우본동, 신내제1동, 신내제2동
 
====성북구갑====
성북동, 삼선동, 동선동, 돈암제2동, 안암동, 보문동, 정릉제1동, 정릉제2동, 정릉제3동, 정릉제4동, 길음제1동
 
====성북구을====
돈암제1동, 길음제2동, 종암동, 월곡제1동, 월곡제2동, 장위제1동, 장위제2동, 장위제3동, 석관동
 
====강북구갑====
번제1동, 번제2동, 수유제1동, 수유제2동, 수유제3동, 우이동, 인수동
 
====강북구을====
삼양동, 미아동, 송중동, 송천동, 삼각산동, 번제3동
 
====도봉구갑====
쌍문1동, 쌍문3동, 창1동, 창2동, 창3동, 창4동, 창5동
 
====도봉구을====
쌍문2동, 쌍문4동, 방학1동, 방학2동, 방학3동, 도봉1동, 도봉2동
 
====노원구갑====
월계1동, 월계2동, 월계3동, 공릉1동, 공릉2동
 
====노원구을====
하계1동, 하계2동, 중계본동, 중계1동, 중계2·3동, 중계4동, 상계6·7동
 
====노원구병====
상계1동, 상계2동, 상계3·4동, 상계5동, 상계8동, 상계9동, 상계10동
 
====은평구갑====
녹번동, 응암제1동, 응암제2동, 응암제3동, 역촌동, 신사제1동, 신사제2동, 증산동, 수색동
 
====은평구을====
불광제1동, 불광제2동, 갈현제1동, 갈현제2동, 구산동, 대조동, 진관동
 
====서대문구갑====
충현동, 천연동, 북아현동, 신촌동, 연희동, 홍제제1동, 홍제제2동
 
====서대문구을====
홍제제3동, 홍은제1동, 홍은제2동, 남가좌제1동, 남가좌제2동, 북가좌제1동, 북가좌제2동
 
====마포구갑====
공덕동, 아현동, 도화동, 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신수동
 
====마포구을====
서강동, 서교동, 합정동, 망원1동, 망원2동, 연남동, 성산1동, 성산2동, 상암동
 
제19대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지역구이다. 정 의원은 [[2016년]] [[3월 10일]] [[더민주]] 공천에 탈락했다. [[더민주]]에서는 마포구을을 전략공천 대상으로 한다고 밝혔다.<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188822 더민주 정청래 공천 탈락, 서울 마포을 '전략공천'], 오마이뉴스, 2016.03.10.</ref>
 
====양천구갑====
목1동, 목2동, 목3동, 목4동, 목5동, 신정1동, 신정2동, 신정6동, 신정7동
 
====양천구을====
신월1동, 신월2동, 신월3동, 신월4동, 신월5동, 신월6동, 신월7동, 신정3동, 신정4동
 
====강서구갑====
화곡제1동, 화곡제2동, 화곡제3동, 화곡제8동, 우장산동, 발산제1동
 
====강서구을====
등촌제3동, 가양제1동, 가양제2동, 공항동, 방화제1동, 방화제2동, 방화제3동
 
====강서구병====
염창동, 등촌제1동, 등촌제2동, 화곡본동, 화곡제4동, 화곡제6동, 가양제3동
 
====구로구갑====
고척제1동, 고척제2동, 개봉제1동, 개봉제2동, 개봉제3동, 오류제1동, 오류제2동, 수궁동
 
====구로구을====
신도림동, 구로제1동, 구로제2동, 구로제3동, 구로제4동, 구로제5동, 가리봉동
 
====금천구====
가산동, 독산제1동, 독산제2동, 독산제3동, 독산제4동, 시흥제1동, 시흥제2동, 시흥제3동, 시흥제4동, 시흥제5동
 
====영등포구갑====
영등포본동, 영등포동, 당산제1동, 당산제2동, 도림동, 문래동, 양평제1동, 양평제2동, 신길제3동
 
====영등포구을====
여의동, 신길제1동, 신길제4동, 신길제5동, 신길제6동, 신길제7동, 대림제1동, 대림제2동, 대림제3동
 
====동작구갑====
노량진제1동, 노량진제2동, 상도제2동, 상도제3동, 상도제4동, 대방동, 신대방제1동, 신대방제2동
 
====동작구을====
상도제1동, 흑석동, 사당제1동, 사당제2동, 사당제3동, 사당제4동, 사당제5동
 
====관악구갑====
보라매동, 은천동, 성현동, 중앙동, 청림동, 행운동, 청룡동, 낙성대동, 인헌동, 남현동, 신림동
 
====관악구을====
신사동, 조원동, 미성동, 난곡동, 난향동, 서원동, 신원동, 서림동, 삼성동, 대학동
 
====서초구갑====
잠원동, 반포본동, 반포1동, 반포2동, 반포3동, 반포4동, 방배본동, 방배1동, 방배4동
 
====서초구을====
서초1동, 서초2동, 서초3동, 서초4동, 방배2동, 방배3동, 양재1동, 양재2동, 내곡동
 
====강남구갑====
신사동, 논현1동, 논현2동, 압구정동, 청담동, 역삼1동, 역삼2동
 
====강남구을====
개포1동, 개포2동, 개포4동, 일원본동, 일원1동, 일원2동, 수서동, 세곡동
 
====강남구병====
삼성1동, 삼성2동, 대치1동, 대치2동, 대치4동, 도곡1동, 도곡2동
 
====송파구갑====
풍납1동, 풍납2동, 방이1동, 방이2동, 오륜동, 송파1동, 송파2동, 잠실4동, 잠실6동
 
====송파구을====
석촌동, 삼전동, 가락1동, 문정2동, 잠실본동, 잠실2동, 잠실3동, 잠실7동
 
====송파구병====
거여1동, 거여2동, 마천1동, 마천2동, 오금동, 가락본동, 가락2동, 문정1동, 장지동, 위례동
 
====강동구갑====
강일동, 상일동, 명일제1동, 명일제2동, 고덕제1동, 고덕제2동, 암사제1동, 암사제2동, 암사제3동, 길동
 
====강동구을====
천호제1동, 천호제2동, 천호제3동, 성내제1동, 성내제2동, 성내제3동, 둔촌제1동, 둔촌제2동
 
===[[부산광역시]]===
기존 중구동구 지역구가 각각 중구영도구와 서구동구로 흡수되어 사라졌다. 중구동구 지역구는 [[정의화]] 제19대 [[국회의장]]의 지역구였다.<ref>[http://news1.kr/articles/?2587101 정의화 지역구 부산 중구동구, 서구 영도구로 각각 흡수돼], 뉴시스, 2016.02.28.</ref>
 
한편 북구 덕천2동은 북구강서을 지역구에서 북구강서갑 지역구로, 해운대 우2동은 좌동과 함께 새로 신설된 해운대갑 선거구로 확정되었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2/28/0200000000AKR20160228030000051.HTML 부산 선거구 획정안…중·동구 "게리맨더링이다" 반발], 연합뉴스, 2016.02.28.</ref>
 


====중구영도구====
==결과==
* 중구: 중앙동, 동광동, 대청동, 보수동, 부평동, 광복동, 남포동, 영주제1동, 영주제2동
<gallery mode="packed" heights=500px>
* 영도구: 남항동, 영선제1동, 영선제2동, 신선동, 봉래제1동, 봉래제2동, 청학제1동, 청학제2동, 동삼제1동, 동삼제2동, 동삼제3동
파일:면적총선.jpg|20대 총선의 당선자 현황. 이렇게 보면 면적이 비대한 강원도와 경상도를 먹은 새누리당의 압승 같지만...
파일:선거구수총선.jpg|실제 면적을 무시하고 선거구 하나의 크기를 모두 동일하게 취급. 이렇게 보면 야당 측의 승리다.
</gallery>
===출구조사 결과===
방송 3사의 출구조사는 다음과 같이 나왔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방송사
![[새누리당]]
![[더민주]]
![[국민의당]]
![[정의당]]
![[기독자유당]]
!무소속
|-
|[[KBS]]
|121~143
|101~123
|34~41
|5~6
|0~2
|10~14
|-
|[[MBC]]
|118~136
|107~128
|97~120
|4~7
|0~2
|9~16
|-
|[[SBS]]
|123~147
|97~120
|31~43
|1~3
|0~2
|8~20
|}
일단 출구조사 결과만으로는 16년만의 여소야대 구도가 형성될 가능성이 예측되었다. 거기에다 오차범위{{ㅈ|6.2%}}내에서 접전중인 지역이 80곳이 넘어가면서 전체 판세는 끝까지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호남지역에서는 국민의당이 거의 석권하는 분위기인데 수도권에서 그 이상으로 더불어민주당이 의석을 차지하면서 오히려 의석이 늘어나게 되어버리면서 전체 판세가 [[팝콘]]이 되어버렸다. 그보다 기독자유당이 최대 2석까지 비례대표 당선이 가능할 수도 있다는 얘기가 나온 것이 [[충격과 공포]]. 그리고 개표가 끝나고 나서 여소야대가 실제로 실현되면서 출구조사 결과는 맞게되긴 하였으며 특히 MBC는 턱걸이로 들이 맞는결과가 아닌 온전한 결과를 내놓았다. SBS는 여전히 빗나가기는 했지만 그 동안 총선 출구조사가 빗나갔던 것에 비하면 장족의 발전이었다.


====서구동구====
===투표율===
* 서구: 동대신제1동, 동대신제2동, 동대신제3동, 서대신제1동, 서대신제3동, 서대신제4동, 부민동, 아미동, 초장동, 충무동, 남부민제1동, 남부민제2동, 암남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동구: 초량제1동, 초량제2동, 초량제3동, 초량제6동, 수정제1동, 수정제2동, 수정제4동, 수정제5동, 좌천동, 범일제1동, 범일제2동, 범일제5동
! 지역구 !! 사전투표율(%) !! 투표율(%)
|-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서울특별시|서울특별시]] || 11.61 || 59.8
|-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부산광역시|부산광역시]] || 9.83 || 55.4
|-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대구광역시|대구광역시]] || 10.13 || 54.8
|-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인천광역시|인천광역시]] || 10.81 || 55.6
|-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광주광역시|광주광역시]] || 15.75 || 61.6
|-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대전광역시|대전광역시]] || 12.94 || 58.6
|-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울산광역시|울산광역시]] || 11.98 || 59.2
|-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세종특별자치시|세종특별자치시]] || 16.85 || 63.5
|-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경기도|경기도]] || 11.16 || 57.5
|-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강원도|강원도]] || 13.36 || 57.7
|-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충청북도|충청북도]] || 12.85 || 57.3
|-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충청남도|충청남도]] || 12.13 || 55.5
|-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전라북도|전라북도]] || 17.32 || 62.9
|-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전라남도|전라남도]] || 18.85 || 63.7
|-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경상북도|경상북도]] || 14.07 || 56.7
|-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경상남도|경상남도]] || 12.19 || 57.0
|-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 || 10.70 || 57.2
|-
| '''전체''' || '''12.19''' ||  58.0<!--전체 투표율-->
|}
전체적으로는 오전까지는 투표율이 낮은 편이었으나 사전투표와 선상투표가 오후 1시에 반영되면서 지난 총선의 투표율보다 높게 나오기 시작하였으며 최종 투표율은 19:00기준으로 58.0%로 잠정집계되었다. 이는 지난 19대 총선대비 3.8%포인트 상승하였고, 6회 지방선거보다 1.8%포인트 상승한  수치이지만 기대했던 마의 60%선은 넘기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전체적인 투표율 자체가 상승하면서 각 정당별 희비가 엇갈릴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진구갑====
===정당별 득표===
*부전제1동, 연지동, 초읍동, 양정제1동, 양정제2동, 부암제1동, 부암제3동, 당감제1동, 당감제2동, 당감제4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기호
!정당
!지역구<br />당선자 수
!비례대표<br />득표율(%)
!비례대표<br />의석수
!합계
|-
|1
|[[새누리당]]
|105
|{{퍼센트|숫자=예|33.50<!--퍼센트-->|#c8161d}}
|17
|122
|-
|2
|[[더불어민주당]]
|110
|{{퍼센트|숫자=예|25.54<!--퍼센트-->|#004ea2}}
|13
|123
|-
|3
|[[국민의당]]
|25
|{{퍼센트|숫자=예|26.74<!--퍼센트-->|#006241}}
|13
|38
|-
|4
|[[정의당]]
|2
|{{퍼센트|숫자=예|7.23<!--퍼센트-->|#fdd000}}
|4
|6
|-
|5
|[[기독자유당]]
|0
|{{퍼센트|숫자=예|2.63<!--퍼센트-->|blue}}
|0
|0
|-
|6
|[[민주당 (2014년)]]
|0
|{{퍼센트|숫자=예|0.88<!--퍼센트-->|#fdd000}}
|0
|0
|-
|7
|[[가자코리아]]
|0
|{{퍼센트|숫자=예|0.11<!--퍼센트-->|#603026}}
|0
|0
|-
|8
|[[강제동원일제피해일본군위안부인권정당]]
|0
|{{퍼센트|숫자=예|0.10<!--퍼센트-->|gray}}
|0
|0
|-
|9
|[[개혁국민신당]]
|0
|{{퍼센트|숫자=예|0.05<!--퍼센트-->|blue}}
|0
|0
|-
|10
|[[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
|0
|{{퍼센트|숫자=예|0.05<!--퍼센트-->|#eb6144}}
|0
|0
|-
|11
|[[공화당 (대한민국)]]
|0
|{{퍼센트|숫자=예|0.05<!--퍼센트-->|red}}
|0
|0
|-
|12
|[[그린불교연합당]]
|0
|{{퍼센트|숫자=예|0.13<!--퍼센트-->|gray}}
|0
|0
|-
|13
|[[기독민주당]]
|0
|{{퍼센트|숫자=예|0.54<!--퍼센트-->|red}}
|0
|0
|-
|14
|[[노동당 (대한민국)]]
|0
|{{퍼센트|숫자=예|0.38<!--퍼센트-->|red}}
|0
|0
|-
|15
|[[녹색당]]
|0
|{{퍼센트|숫자=예|0.76<!--퍼센트-->|#62bb46}}
|0
|0
|-
|16
|[[민중연합당]]
|0
|{{퍼센트|숫자=예|0.61<!--퍼센트-->|orange}}
|0
|0
|-
|17
|[[복지국가당]]
|0
|{{퍼센트|숫자=예|0.08<!--퍼센트-->|#003051}}
|0
|0
|-
|18
|[[친반통일당]]
|0
|{{퍼센트|숫자=예|0.04<!--퍼센트-->|#8560c9}}
|0
|0
|-
|19
|[[통일한국당]]
|0
|{{퍼센트|숫자=예|0.06<!--퍼센트-->|#c74e42}}
|0
|0
|-
|20
|[[한국국민당]]
|0
|{{퍼센트|숫자=예|0.06<!--퍼센트-->|#003686}}
|0
|0
|-
|21
|[[한나라당 (2012)]]
|0
|{{퍼센트|숫자=예|0.36<!--퍼센트-->|blue}}
|0
|0
|-
| -<ref name="only_jiyeokgu">지역구에만 참여</ref>
|[[대한민국당]]
| 0
|
| -
| 0
|-
| -<ref name="only_jiyeokgu" />
|[[진리대한당]]
| 0
|
| -
| 0
|-
| -<ref name="only_jiyeokgu" />
|[[친반국민대통합]]
| 0
|
| -
| 0
|-
| -
|[[무소속]]
| 11
| -
| -
|11
|}


====부산진구을====
== 의미 ==
*부전제2동, 전포제1동, 전포제2동, 가야제1동, 가야제2동, 개금제1동, 개금제2동, 개금제3동, 범천제1동, 범천제2동
=== [[새누리당]] ===
새누리당은 과반이 붕괴된 것은 물론 더불어민주당에게 최대 의석수 타이틀을 뺏겨버려 향후 행정부의 활동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물론 의석수는 더불어민주당이 단 1석 많을 뿐으로 공천과정에서 탈당후 무소석으로 출마한 새누리당 출신 의원들이 복당을 신청하면 선거 결과상 이들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을 것이므로 원내 최대 의석수 확보는 큰 문제가 없다. 하지만 무소석 의원들을 받아들인다 하더라도 원내 1당이라는 상징적인 타이틀보다 더 중요한 과반의석 확보는 이미 물건너간 상황이라 앞으로 새누리당은 외우내환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가 큰 과제이다.


====동래구====
특히 무소속으로 출마한 새누리당 출신 의원들은 대부분 친박이나 진박을 내세우던 당의 기조에 반발하거나 전략적으로 공천에서 배제된 인물들이 대다수라서 이들이 복당후에 선거 패배 책임을 물어 친박계와의 한판 승부도 관전 포인트.
*수민동, 복산동, 명륜동, 온천제1동, 온천제2동, 온천제3동, 사직제1동, 사직제2동, 사직제3동, 안락제1동, 안락제2동, 명장제1동, 명장제2동


====남구갑====
또한 이번 선거를 통해 정계복귀는 물론 차기 대권에 도전하려던 [[오세훈]], [[김문수 (정치인)|김문수]] 등의 거물급 정치인들이 낙선의 고배를 들었으며, 선거 패배의 책임을 지고 사퇴한 [[김무성]] 대표의 대선 가도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이번 선거 패배의 원인은 아무래도 친박계가 공천권을 휘둘러 비박계를 노골적으로 팽하려는 과정에서 지지자들의 불신과 배신감을 샀다는 점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니 총선 이후 여소야대 국면에서 [[박근혜]] 정부의 [[레임덕]]이 가속화 될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대연제1동, 대연제3동, 대연제4동, 대연제5동, 대연제6동, 문현제1동, 문현제2동, 문현제3동, 문현제4동


====남구을====
=== [[더불어민주당]] ===
* 용호제1동, 용호제2동, 용호제3동, 용호제4동, 용당동, 감만제1동, 감만제2동, 우암동
더불어민주당은 호남에서 국민의당에게 참패했으나 수도권에서 크게 선전하고, 영남에서 의외의 성과를 얻어 원내 최대 정당<ref>다만 새누리당이 탈당한 무소속 의원들을 복당시킬 경우 단 1석 차이로 차지한 이 타이틀은 깨지기 쉽다.</ref>이 되었다. 선거 결과 텃밭으로 여겼던 호남지역에서 국민의 당에게 탈탈 털리는 수모를 겪기도 했지만 수도권에서 그야말로 압승을 거머쥐었고, 그간 열세 지역으로 판명되던 충청권에서도 나름 선방하였고, 특히나 새누리당의 안방이나 다름없는 대구와 경상남도, 부산 등지에서 지역구도를 뒤엎고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이 당선되는 이변이 나오면서 본의아니게 '''전국구 정당'''이라는 새로운 타이틀을 얻었다.


====북구강서구갑====
일단 새누리당의 과반확보 실패로 [[여소야대]] 국면으로 전환되었고, [[국민의당]]과 티격태격할 일은 남아있지만 그간 새누리당의 일방적인 국정운영에 제동을 걸 수 있는 힘을 확보했다. 이번 총선의 결과를 토대로 차후 대선에서도 이러한 분위기를 몰아서 정권교체를 내심 노리고 있다.
* 북구: 구포제1동, 구포제2동, 구포제3동, 덕천제1동, 덕천제2동, 덕천제3동, 만덕제1동, 만덕제2동, 만덕제3동
=== [[국민의당]] ===
국민의당은 38석을 확보하고, 더불어민주당의 텃밭이라고 인식되던 호남을 싹쓸이하여 과반을 확보하지 못한 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 사이에서 [[캐스팅보트]] 역할을 하게 되었다. 하지만 수도권에서는 더불어민주당에 밀려 단 2석을 얻는데 그쳤고, 오히려 더불어민주당에 반기를 들고 탈당한 인사들이 주력이 된 호남이라는 지지 기반이 생겨버린 탓에 안철수 대표가 원하는 유연한 움직임은 보여주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이번 총선에서 확보한 38석이 수도권에서 어느 정도 나왔다면 전국구 정당이라는 색체를 가질 수 있었겠지만 결과적으로 호남에서 대다수 의석이 나와버린 상황에서 호남 정당이라는 이미지가 발목을 잡을 개연성이 높아져버린 것.


====북구강서구을====
결과적으로 이러한 내부적인 요인을 배제하더라도 선거전 안철수 대표가 예상하던 의석수를 충분히 확보한 만큼, 여소야대 국면과 3당 구도라는 새로운 정치적 지형도에서 어느 정당도 과반의석을 확보하지 못한 유리한 상황을 십분 활용하여 정치적 입지를 다져야 하는 숙제가 남아있다. 더불어 당권 경쟁에서도 호남 출신 [[천정배]], [[정동영]] 등의 인사들과 향후 당권이나 대권을 놓고 불거질 갈등을 잘 컨트롤 하여 최악의 경우인 분당이나 집단 탈당등의 시나리오를 방지해야 하는 숙제가 남아있다.
* 강서구: 대저1동, 대저2동, 강동동, 명지동, 가락동, 녹산동, 가덕도동, 금곡동, 화명제1동, 화명제2동, 화명제3동
=== [[정의당]] ===
진보정당으로서 내심 원내 교섭단체의 꿈을 꿨지만 당의 간판격인 [[심상정]]과 [[노회찬]]의 2석을 확보하는 데 만족해야만 했다. 향후 국민들에게 진보정당의 이미지를 쇄신시켜야 한다는 과제를 받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울산 지역에서 옛 [[통합진보당]] 계열 무소속 후보가 2석을 차지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해운대구갑====
=== 기타 군소정당 ===
* 우제1동, 우제2동, 우제3동, 중제1동, 중제2동, 좌제1동, 좌제2동, 좌제3동, 좌제4동, 송정동
[[망했어요]]


새로 신설된 선거구이다.
이변은 없었다. 특히 선거과정에서 보수층, 진보층 모두 계파 갈등이나 공천 파동 등 이슈가 많아서인지 군소 정당에 대한 관심은 처절할 정도로 바닥을 쳤다고 볼 수 있다.


====해운대구을====
그나마 [[기독자유당]]이 크게 선전하며(출구조사 0~2석, 최종득표율 2.63%) 군소정당 지지자들 그리고 [[성소수자]]와 [[이슬람교|이슬람교인]]에게 [[충공깽]]을 안겨주었다. 결국에는 원내 입성이 좌절되긴 했지만, 만약 [[기독민주당]](최종득표율 0.54%)과 단일화를 했다면 3%를 넘길 가능성이 있던 상황이었다.
* 반여제1동, 반여제2동, 반여제3동, 반여제4동, 반송제1동, 반송제2동, 재송제1동, 재송제2동


====사하구갑====
== 여담 ==
* 괴정제1동, 괴정제2동, 괴정제3동, 괴정제4동, 당리동, 하단제1동, 하단제2동
=== 이슈 지역구 ===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경기도#안산시상록구을|경기 안산시상록구을]] : 33%의 피말리는 접전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충청남도#논산시계룡시금산군|충남 논산시계룡시금산군]] : 피닉제의 날개가 꺾이다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대구광역시#수성구갑|대구 수성구갑]] : TK에서 파란 깃발이 나부끼다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서울특별시#강남구을|서울 강남구을]] : 강남구에서 파란 깃발이 나부끼다.


====사하구을====
=== 개표 방송 ===
* 신평제1동, 신평제2동, 장림제1동, 장림제2동, 다대제1동, 다대제2동, 구평동, 감천제1동, 감천제2동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때 [[SBS]]에서 다채로운 CG와 패러디로 '재미있는 개표방송' 시대를 연 까닭에 이번에도 SBS의 개표방송이 꽤 기대를 받았고, 영화 패러디와 [[육봉이 나르샤]]를 이용한 '총선 삼국지'로 그 기대에 부응했다. 일부 지역에서는 중앙 방송을 뜬금없이 자르고 지역방송을 내보내기도 했다.


====금정구====
다음은 화제가 되었던 개표방송의 장면들이다.
* 서제1동, 서제2동, 서제3동, 금사동, 부곡제1동, 부곡제2동, 부곡제3동, 부곡제4동, 장전제1동, 장전제2동, 장전제3동, 선두구동, 청룡노포동, 남산동, 구서제1동, 구서제2동, 금성동


====연제구====
{{유튜브|XiDpH-cv-Ds}}
* 거제제1동, 거제제2동, 거제제3동, 거제제4동, 연산제1동, 연산제2동, 연산제3동, 연산제4동, 연산제5동, 연산제6동, 연산제8동, 연산제9동
*대놓고 이인제 후보를 피닉스(불사조)에 비유한 장면
{{유튜브|Wq1hqOBAugI}}
*이건 [[영웅본색]]의 배경음악이다(...)


====수영구====
* 남천제1동, 남천제2동, 수영동, 망미제1동, 망미제2동, 광안제1동, 광안제2동, 광안제3동, 광안제4동, 민락동


====사상구====
그 외에 선거 결과 관련 [http://www.huffingtonpost.kr/2016/04/14/story_n_9687682.html?utm_hp_ref=korea 반응들 모음]
* 삼락동, 모라제1동, 모라제3동, 덕포제1동, 덕포제2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제1동, 주례제2동, 주례제3동, 학장동, 엄궁동


====기장군====
==같이 보기==
* 기장읍, 장안읍, 정관읍, 일광면, 철마면
* [[2016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대구광역시]]===
==바깥 고리==
===[[인천광역시]]===
* [http://policy.nec.go.kr/svc/policy/PolicyContent02.do 각 정당 정책·공약]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이번 총선에 참여하는 각 정당의 주요 공약 10가지를 정리한 문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강원도]]===
=== [[충청북도]] ===
=== [[충청남도]] ===
=== [[전라북도]] ===
=== [[전라남도]] ===
=== [[경상북도]] ===
=== [[경상남도]] ===
=== [[제주특별자치도]] ===


{{주석}}
{{주석}}
[[분류: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
[[분류:2016년 대한민국]]

2022년 8월 29일 (월) 17:52 기준 최신판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016년 4월 13일 치뤄지는 대한민국의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총선)을 정리하는 문서이다. 같은 날 일부 지역에서는 2016년 상반기 재·보궐선거도 치뤄진다.

주요 선거일정[편집 | 원본 편집]

이슈[편집 | 원본 편집]

선거구 획정[편집 | 원본 편집]

2014년 10월 30일 헌법재판소가 국회의원 선거구 인구수 편차를 기존 3대 1에서 2대 1로 조정하라는 결정을 내리면서[1] 변경된 선거구로 치뤄지는 첫 번째 총선이다.

제19대 국회는 기한을 한참 지난 2016년 3월 2일 선거구를 획정지었다. 국회의원 정원은 300명으로 유지하되 지역구 숫자는 7석 늘어난 253석, 비례대표 숫자는 그만큼 줄어든 47석이다.[2]

참여 정당[편집 | 원본 편집]

다음은 이번 총선에 참여하는 정당의 목록이다.

순번은 비례대표 기호, 비례대표 미참여 정당은 지역구 후보자 수 순, 이마저 같으면 가나다 순. 비례대표 기호는 선거관리위원회가 원내정당 의석수 순, 그리고 원외정당 가나다 순으로 발표한 것에 따른다.

출처: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비례대표 선거정보

순번 정당명 비고
1 새누리당 전국 공통 번호를 할당받음.[3]
2 더불어민주당
3 국민의당
4 정의당
5 기독자유당 지역구는 겹치지 않아 양당 모두 5번
6 민주당
이상 원내정당 / 이하 원외정당
7 가자코리아[4]
8 강제동원일제피해일본군위안부인권정당[5]
9 개혁국민신당
10 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
11 공화당
12 그린불교연합당[6]
13 기독민주당[7]
14 노동당
15 녹색당
16 민중연합당
17 복지국가당
18 친반통일당
19 통일한국당
20 한국국민당
21 한나라당
이상 비례대표 참여 정당
이하는 지역구에만 참여하는 정당
- 진리대한당
- 대한민국당
- 대한민국당
- 친반국민대통합[8]
- 친반평화통일당[9]

선거구[편집 | 원본 편집]

결과[편집 | 원본 편집]

출구조사 결과[편집 | 원본 편집]

방송 3사의 출구조사는 다음과 같이 나왔다

방송사 새누리당 더민주 국민의당 정의당 기독자유당 무소속
KBS 121~143 101~123 34~41 5~6 0~2 10~14
MBC 118~136 107~128 97~120 4~7 0~2 9~16
SBS 123~147 97~120 31~43 1~3 0~2 8~20

일단 출구조사 결과만으로는 16년만의 여소야대 구도가 형성될 가능성이 예측되었다. 거기에다 오차범위[10]내에서 접전중인 지역이 80곳이 넘어가면서 전체 판세는 끝까지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호남지역에서는 국민의당이 거의 석권하는 분위기인데 수도권에서 그 이상으로 더불어민주당이 의석을 차지하면서 오히려 의석이 늘어나게 되어버리면서 전체 판세가 팝콘이 되어버렸다. 그보다 기독자유당이 최대 2석까지 비례대표 당선이 가능할 수도 있다는 얘기가 나온 것이 충격과 공포. 그리고 개표가 끝나고 나서 여소야대가 실제로 실현되면서 출구조사 결과는 맞게되긴 하였으며 특히 MBC는 턱걸이로 들이 맞는결과가 아닌 온전한 결과를 내놓았다. SBS는 여전히 빗나가기는 했지만 그 동안 총선 출구조사가 빗나갔던 것에 비하면 장족의 발전이었다.

투표율[편집 | 원본 편집]

지역구 사전투표율(%) 투표율(%)
서울특별시 11.61 59.8
부산광역시 9.83 55.4
대구광역시 10.13 54.8
인천광역시 10.81 55.6
광주광역시 15.75 61.6
대전광역시 12.94 58.6
울산광역시 11.98 59.2
세종특별자치시 16.85 63.5
경기도 11.16 57.5
강원도 13.36 57.7
충청북도 12.85 57.3
충청남도 12.13 55.5
전라북도 17.32 62.9
전라남도 18.85 63.7
경상북도 14.07 56.7
경상남도 12.19 57.0
제주특별자치도 10.70 57.2
전체 12.19 58.0

전체적으로는 오전까지는 투표율이 낮은 편이었으나 사전투표와 선상투표가 오후 1시에 반영되면서 지난 총선의 투표율보다 높게 나오기 시작하였으며 최종 투표율은 19:00기준으로 58.0%로 잠정집계되었다. 이는 지난 19대 총선대비 3.8%포인트 상승하였고, 6회 지방선거보다 1.8%포인트 상승한 수치이지만 기대했던 마의 60%선은 넘기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전체적인 투표율 자체가 상승하면서 각 정당별 희비가 엇갈릴 것으로 예상된다.

정당별 득표[편집 | 원본 편집]

기호 정당 지역구
당선자 수
비례대표
득표율(%)
비례대표
의석수
합계
1 새누리당 105
 
33.50%
17 122
2 더불어민주당 110
 
25.54%
13 123
3 국민의당 25
 
26.74%
13 38
4 정의당 2
 
7.23%
4 6
5 기독자유당 0
 
2.63%
0 0
6 민주당 (2014년) 0
 
0.88%
0 0
7 가자코리아 0
 
0.11%
0 0
8 강제동원일제피해일본군위안부인권정당 0
 
0.10%
0 0
9 개혁국민신당 0
 
0.05%
0 0
10 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 0
 
0.05%
0 0
11 공화당 (대한민국) 0
 
0.05%
0 0
12 그린불교연합당 0
 
0.13%
0 0
13 기독민주당 0
 
0.54%
0 0
14 노동당 (대한민국) 0
 
0.38%
0 0
15 녹색당 0
 
0.76%
0 0
16 민중연합당 0
 
0.61%
0 0
17 복지국가당 0
 
0.08%
0 0
18 친반통일당 0
 
0.04%
0 0
19 통일한국당 0
 
0.06%
0 0
20 한국국민당 0
 
0.06%
0 0
21 한나라당 (2012) 0
 
0.36%
0 0
-[11] 대한민국당 0 - 0
-[11] 진리대한당 0 - 0
-[11] 친반국민대통합 0 - 0
- 무소속 11 - - 11

의미[편집 | 원본 편집]

새누리당[편집 | 원본 편집]

새누리당은 과반이 붕괴된 것은 물론 더불어민주당에게 최대 의석수 타이틀을 뺏겨버려 향후 행정부의 활동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물론 의석수는 더불어민주당이 단 1석 많을 뿐으로 공천과정에서 탈당후 무소석으로 출마한 새누리당 출신 의원들이 복당을 신청하면 선거 결과상 이들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을 것이므로 원내 최대 의석수 확보는 큰 문제가 없다. 하지만 무소석 의원들을 받아들인다 하더라도 원내 1당이라는 상징적인 타이틀보다 더 중요한 과반의석 확보는 이미 물건너간 상황이라 앞으로 새누리당은 외우내환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가 큰 과제이다.

특히 무소속으로 출마한 새누리당 출신 의원들은 대부분 친박이나 진박을 내세우던 당의 기조에 반발하거나 전략적으로 공천에서 배제된 인물들이 대다수라서 이들이 복당후에 선거 패배 책임을 물어 친박계와의 한판 승부도 관전 포인트.

또한 이번 선거를 통해 정계복귀는 물론 차기 대권에 도전하려던 오세훈, 김문수 등의 거물급 정치인들이 낙선의 고배를 들었으며, 선거 패배의 책임을 지고 사퇴한 김무성 대표의 대선 가도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이번 선거 패배의 원인은 아무래도 친박계가 공천권을 휘둘러 비박계를 노골적으로 팽하려는 과정에서 지지자들의 불신과 배신감을 샀다는 점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니 총선 이후 여소야대 국면에서 박근혜 정부의 레임덕이 가속화 될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편집 | 원본 편집]

더불어민주당은 호남에서 국민의당에게 참패했으나 수도권에서 크게 선전하고, 영남에서 의외의 성과를 얻어 원내 최대 정당[12]이 되었다. 선거 결과 텃밭으로 여겼던 호남지역에서 국민의 당에게 탈탈 털리는 수모를 겪기도 했지만 수도권에서 그야말로 압승을 거머쥐었고, 그간 열세 지역으로 판명되던 충청권에서도 나름 선방하였고, 특히나 새누리당의 안방이나 다름없는 대구와 경상남도, 부산 등지에서 지역구도를 뒤엎고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이 당선되는 이변이 나오면서 본의아니게 전국구 정당이라는 새로운 타이틀을 얻었다.

일단 새누리당의 과반확보 실패로 여소야대 국면으로 전환되었고, 국민의당과 티격태격할 일은 남아있지만 그간 새누리당의 일방적인 국정운영에 제동을 걸 수 있는 힘을 확보했다. 이번 총선의 결과를 토대로 차후 대선에서도 이러한 분위기를 몰아서 정권교체를 내심 노리고 있다.

국민의당[편집 | 원본 편집]

국민의당은 38석을 확보하고, 더불어민주당의 텃밭이라고 인식되던 호남을 싹쓸이하여 과반을 확보하지 못한 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 사이에서 캐스팅보트 역할을 하게 되었다. 하지만 수도권에서는 더불어민주당에 밀려 단 2석을 얻는데 그쳤고, 오히려 더불어민주당에 반기를 들고 탈당한 인사들이 주력이 된 호남이라는 지지 기반이 생겨버린 탓에 안철수 대표가 원하는 유연한 움직임은 보여주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이번 총선에서 확보한 38석이 수도권에서 어느 정도 나왔다면 전국구 정당이라는 색체를 가질 수 있었겠지만 결과적으로 호남에서 대다수 의석이 나와버린 상황에서 호남 정당이라는 이미지가 발목을 잡을 개연성이 높아져버린 것.

결과적으로 이러한 내부적인 요인을 배제하더라도 선거전 안철수 대표가 예상하던 의석수를 충분히 확보한 만큼, 여소야대 국면과 3당 구도라는 새로운 정치적 지형도에서 어느 정당도 과반의석을 확보하지 못한 유리한 상황을 십분 활용하여 정치적 입지를 다져야 하는 숙제가 남아있다. 더불어 당권 경쟁에서도 호남 출신 천정배, 정동영 등의 인사들과 향후 당권이나 대권을 놓고 불거질 갈등을 잘 컨트롤 하여 최악의 경우인 분당이나 집단 탈당등의 시나리오를 방지해야 하는 숙제가 남아있다.

정의당[편집 | 원본 편집]

진보정당으로서 내심 원내 교섭단체의 꿈을 꿨지만 당의 간판격인 심상정노회찬의 2석을 확보하는 데 만족해야만 했다. 향후 국민들에게 진보정당의 이미지를 쇄신시켜야 한다는 과제를 받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울산 지역에서 옛 통합진보당 계열 무소속 후보가 2석을 차지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기타 군소정당[편집 | 원본 편집]

망했어요

이변은 없었다. 특히 선거과정에서 보수층, 진보층 모두 계파 갈등이나 공천 파동 등 이슈가 많아서인지 군소 정당에 대한 관심은 처절할 정도로 바닥을 쳤다고 볼 수 있다.

그나마 기독자유당이 크게 선전하며(출구조사 0~2석, 최종득표율 2.63%) 군소정당 지지자들 그리고 성소수자이슬람교인에게 충공깽을 안겨주었다. 결국에는 원내 입성이 좌절되긴 했지만, 만약 기독민주당(최종득표율 0.54%)과 단일화를 했다면 3%를 넘길 가능성이 있던 상황이었다.

여담[편집 | 원본 편집]

이슈 지역구[편집 | 원본 편집]

개표 방송[편집 | 원본 편집]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SBS에서 다채로운 CG와 패러디로 '재미있는 개표방송' 시대를 연 까닭에 이번에도 SBS의 개표방송이 꽤 기대를 받았고, 영화 패러디와 육봉이 나르샤를 이용한 '총선 삼국지'로 그 기대에 부응했다. 일부 지역에서는 중앙 방송을 뜬금없이 자르고 지역방송을 내보내기도 했다.

다음은 화제가 되었던 개표방송의 장면들이다.

  • 대놓고 이인제 후보를 피닉스(불사조)에 비유한 장면


그 외에 선거 결과 관련 반응들 모음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바깥 고리[편집 | 원본 편집]

  • 각 정당 정책·공약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이번 총선에 참여하는 각 정당의 주요 공약 10가지를 정리한 문서

각주

  1. 핵심만 쏙! 선거구 획정 총정리, 한겨레, 2015.12.17.
  2. '20대 국회 선거구 획정' 선거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허핑턴포스트코리아, 2016.03.09.
  3. 해당 정당에서 후보자가 나오지 않아도 해당 정당이 할당받은 번호는 결번이다. 예컨데 새누리당과 더민주에서 후보를 내고 국민의당, 정의당은 후보를 내지 않았다면 1,2번 다음의 기타 정당/무소속 후보는 3번이 아닌 5번이다.
  4. 약칭은 코리아
  5. 약칭은 일제·위안부·인권정당
  6. 약칭은 불교당
  7. 약칭은 기독당. 위의 기독자유당과는 다른 정당이다.
  8. 약칭은 친반통합
  9. 친반통일당과는 다른 정당이다.
  10. 6.2%
  11. 11.0 11.1 11.2 지역구에만 참여
  12. 다만 새누리당이 탈당한 무소속 의원들을 복당시킬 경우 단 1석 차이로 차지한 이 타이틀은 깨지기 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