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곡역 (고양):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Pika(토론)의 편집을 Pikabot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태그: 일괄 되돌리기
잔글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5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대곡역 (대구)||[[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역}}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이름    = 대곡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관할약칭 = KORAIL
|그림    = 314 대곡.jpg
|역명    = 대곡역
|그림설명 =  
|그림    = [[file:314_대곡.jpg|320픽셀]]
|그림alt  =  
|역번호  = {{역번호/한국|314|수도권|3}} · {{역번호/한국|K322|수도권|경의중앙}}
|역코드  = 392
|주소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주로107번길 71-81
|주소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주로107번길 71-81
|개업일  = {{날짜/출력|1996-1-30}}
|번호    = {{역번호/한국|314|수도권|3}} {{역번호/한국|K322|수도권|경의중앙}} {{역번호/한국|S11|수도권|서해}}
|폐지일  =
|노선    = [[경의선]] <small>18.2 km</small><br />[[교외선]] <small>1.5 km</small><br />[[일산선]] <small>11.4 km</small><br />[[서해선]] <small>0.7 km</small>
|관할    = [[한국철도공사]]<br /> 서울본부 [[문산역|문산관리역]]
|관할    =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개업일  = [[1996년]] [[1월 30일]]
|폐지일  =
|코드    = 392
|승강장  = 2면 4선 (경의선)<br />2면 2선 (일산선)
|승강장  = 2면 4선 (경의선)<br />2면 2선 (일산선)
|운임구역 =  
|관련역  =  
|노선     = <nowiki />
|참고     =  
* [[경의선]] <small>18.2 km</small>
|비고    =
* [[교외선]] <small>1.5 km</small>
|하위 틀  =
* [[일산선]] <small>11.4 km</small>
}}
}}


{{+1|大谷驛 / Daegok Station}}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능곡동 (고양)|대장동]]에 위치한 [[철도역]]. [[수도권 전철 3호선]]과 [[경의·중앙선]], [[서해선]] 전철의 '''환승역'''이다. 향후 교외석 복선전철, 서해선 계통 KTX, GTX A 노선이 정차하는 대규모 환승역으로 변모할 전망이다.


== 개요 ==
== 시설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능곡동 (고양시)|대장동]]에 위치한 [[전철역]]. [[수도권 전철 3호선]]과 [[경의·중앙선]] 전철의 '''환승역'''이다.
 
오랫동안 [[그린벨트]] 정책으로 묶여서 개발 자체가 불가능했기 때문에, 주변이 텅 비어서 사실상 환승역으로서'''만''' 기능하는 역이다. 그래서 경의선 전철화 개통 이전에는 존재의의조차 알 수 없었던 대표적인 잉여역이기도 했다. 능곡역과 대정역(~의정부역) 사이에 낀 [[서울교외선]]이 경의선 대곡역 경유로 존재하지만, 수도권 전철 시스템이 아닌데다 여객용으로는 운행하고 있지 않다.
 
향후에는 2개 역이 더 설치되는데, [[소사역]]까지 가는 [[대곡소사선]] 복선전철 ([[2015년]] 착공, [[2020년]] 개통 예정), [[GTX]] A노선 ([[2023년]] 개통 예정)이 그것이다. <s>[[티스푼 공사]]가 어딜 가겠냐만(...)</s> 단, GTX는 수도권 전철 시스템이 아닌 점에 유의.
 
== 역 구조 ==
=== 3호선 ===
=== 3호선 ===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다.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왼쪽 승강장=상행 승강장|승강장 정보='''3호선'''  [[마두역|마두]] · [[정발산역|정발산]] · [[대화역|대화]]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승강장 번호=상행|승강장 정보='''3호선'''  [[마두역|마두]] · [[정발산역|정발산]] · [[대화역|대화]] 방면
}}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일산선]] [[백석역|백석]]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일산선]] [[백석역|백석]]
40번째 줄: 32번째 줄: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일산선]] [[화정역 (고양)|화정]]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일산선]] [[화정역 (고양)|화정]] →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오른쪽 승강장=하행 승강장|승강장 정보='''3호선''' [[구파발역|구파발]] · [[충무로역|충무로]] · [[오금역|오금]]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승강장 번호=하행|승강장 정보='''3호선''' [[구파발역|구파발]] · [[충무로역|충무로]] · [[오금역|오금]] 방면  
}}
}}
}}
}}


=== 경의선 승강장 ===
전형적인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다. 한국철도공사 승무교대가 이 역에서 이뤄지므로 승강장 끝단에는 승무원 대기 부스가 설치되어있다.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이다.
 
=== 경의선·서해선 ===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경의선]] [[능곡역|능곡]]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경의선]] [[능곡역|능곡]] →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오른쪽 승강장=1번 승강장<br/>2번 승강장|승강장 정보='''경의·중앙선''' [[서울역|서울역]] · [[청량리역|청량리]] · [[지평역|지평]]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승강장 번호=1번|승강장 정보='''경의·중앙선''' [[능곡역|능곡]] 방면
}}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경의선]] [[능곡역|능곡]]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서해}}
|승강장 번호=2번|승강장 정보='''서해''' [[능곡역|능곡]] · [[김포공항역|김포공항]] · [[원시역|원시]] 방면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서해선]] [[능곡역|능곡]] →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서해선]] [[곡산역|곡산]]
}}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경의선]] [[곡산역|곡산]]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서해}} |승강장 번호=3번|승강장 정보='''서해''' [[일산역|일산]] 방면 · 당역 종착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왼쪽 승강장=3번 승강장<br/>4번 승강장|승강장 정보='''경의·중앙선''' [[일산역|일산]] · [[금촌역|금촌]] · [[문산역|문산]]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승강장 번호=4번|승강장 정보='''경의·중앙선''' [[일산역|일산]] · [[금촌역|금촌]] · [[문산역|문산]] 방면
}}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경의선]] [[곡산역|곡산]]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경의선]] [[곡산역|곡산]]  
61번째 줄: 60번째 줄:
}}
}}


=== 교외선 승강장 ===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이다. 외측 1번과 4번은 경의·중앙선 일반열차가, 내측 2번과 3번은 급행열차가 정차하는 구조였으나, [[2023년]] 서해선 개통과 맞물려 외측은 경의·중앙선 전용, 내측은 서해선 전용 승강장으로 개편되었다. 향후 서해선 계통 KTX가 운행할 경우 내측 서해선 플랫폼을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곡산역 방면으로는 서해선 전동차의 [[주박|주박선]]과 회차선이 설치되어 있다.
교외선은 승강장이 없으며 승강장 터만 존재한다.
 
=== 교외선 ===
교외선은 승강장이 없으며 승강장 터만 존재한다. 승강장 부지에 선로는 단선으로 부설되어 있으나 추후 교외선 복선 전철화 사업이 재개될 경우를 대비하여 복선 노반 및 고상홈 대응 설계가 적용되어 있다. 교외선 복선화가 이뤄질 경우 능곡역과 대곡역 사이에서 교외선 의정부 방면 선로는 입체교차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환승 정보 ===
=== 환승 정보 ===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
|-
! colspan="7" | 수도권 전철 환승 정보
! colspan="8" | 수도권 전철 환승 정보
|-
|-
! colspan="3" rowspan="3" |  
! colspan="3" rowspan="3" |  
! colspan="4" | 목적지
! colspan="5" | 목적지
|-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color: white;" | 3호선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color: white;" | 3호선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경의·중앙선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경의·중앙선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서해}}; color: white;" | 서해선
|-
|-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color: white;" | 대화<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color: white;" | 대화<br />방면
79번째 줄: 81번째 줄: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문산<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문산<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서울역 · 지평<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서울역 · 지평<br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서해}}; color: white;" | 원시<br />방면
|-
|-
! rowspan="4" | 출발지
! rowspan="5" | 출발지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color: white;" | 3호선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color: white;" | 3호선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color: white;" | 대화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color: white;" | 대화 방면
| -
| -
| colspan="3" | 8-1
| colspan="3" | 8-1
|
|-
|-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color: white;" | 오금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color: white;" | 오금 방면
90번째 줄: 94번째 줄:
| -
| -
| colspan="2" | 4-1
| colspan="2" | 4-1
|
|-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경의·중앙선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경의·중앙선
96번째 줄: 101번째 줄:
| -
| -
| 5-3
| 5-3
|
|-
|-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서울역 · 지평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서울역 · 지평 방면
| colspan="3" | 4-2
| colspan="3" | 4-2
| -
| -
|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서해}}; color: white;" | 서해선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서해}}; color: white;" | 대곡 방면
| colspan="3" |
|
| -
|-
|}
|}


== 주변 정보 ==
== 주변 정보 ==
근처가 싸그리 [[개발제한구역]]이다. 다만 복합 환승센터 겸 역세권 개발 계획은 있으나...여러모로 난항에 부딪혔다(...)
대곡열 주변은 [[그린벨트]]로 묶여서 개발 자체가 불가능했기 때문에 주변에 이렇다할 역세권이 형성되지 않아 사실상 환승역으로서'''만''' 기능하고 있는 역이다. 경의선 전철화 개통 이전에는 존재감도 없던 대표적인 잉여역이기도 했다. 과거 [[서울교외선]]이 경의선 대곡역에서 분기하였으나, 수도권 전철 시스템이 아니었고 현재는 여객취급을 중단하여 승강장 부지만 남겨놓은 상황이다.
 
[[2023년]] 서해선이 개통하면서 3호선, 경의중앙선, 서해선 3개 노선이 접속하는 역으로 위상이 높아졌지만, 주변 역세권 자체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여전히 노선간 환승 목적 외에 대곡역의 자체적인 수요는 미미한 편이다.  
 
고양시는 향후 GTX A선, 교외선 복선전철 등이 교차하므로 대곡역 주변에 대형 역세권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나, 언제 사업이  본 궤도에 오를지는 미지수이다.
 
대곡역 바로 앞으로 고양시의 중추 간선도로인 중앙로가 지나가며, 2번 출구(화정 방면)와 4번 출구(일산신도시 방면)를 통해 버스 환승이 가능하긴 하지만, 3호선 백석역과 화정역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대곡역에서 버스로 환승할 필요성은 매우 떨어지는 편이다.


== 사진 ==
== 사진 ==
113번째 줄: 133번째 줄:


== 경유 노선 ==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닫기=닫음}}
{{경유 노선/열기}}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노선명=303 [[경의선]]|노선거리=18.2 km
|노선명=303 [[경의선]]|노선거리=18.2 km
129번째 줄: 149번째 줄:
|당역='''대곡'''
|당역='''대곡'''
|후방면=[[대화역|대화]] 방면|후역=[[백석역|백석]]|후거리=2.5 km}}
|후방면=[[대화역|대화]] 방면|후역=[[백석역|백석]]|후거리=2.5 km}}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노선명=321 [[서해선|서해선(대곡~원시)]]|노선거리=0.7 km
|전방면=|전역=(기점)|전거리=0.7 km
|당역='''대곡'''
|후방면=[[원시역|원시]] 방면|후역= [[능곡역|능곡]]|후거리=1.8 km}}
{{경유 노선/닫기}}
{{경유 노선/닫기}}


=== 수도권 전철 ===
== 경유 열차 ==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글자색=white|계통=[[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글자색=white|계통=[[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
144번째 줄: 169번째 줄:
|당역={{역번호/한국|K322|수도권|경의중앙|ls=-0.05}} '''대곡'''|등급=완행
|당역={{역번호/한국|K322|수도권|경의중앙|ls=-0.05}} '''대곡'''|등급=완행
|후방면=[[서울역|서울]] · [[지평역|지평]] 방면|후역={{역번호/한국|K321|수도권|경의중앙|ls=-0.05}} [[능곡역|능곡]]|후거리=1.8 km}}
|후방면=[[서울역|서울]] · [[지평역|지평]] 방면|후역={{역번호/한국|K321|수도권|경의중앙|ls=-0.05}} [[능곡역|능곡]]|후거리=1.8 km}}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서해}}|글자색=white|계통=[[서해선|서해선 (미개통)]]}}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서해}}|글자색=white|계통=[[서해선]]}}
{{경유 계통|전방면=[[일산역|일산]] 방면|전역={{역번호/한국|S10|수도권|서해|ls=-0.05}} [[곡산역|곡산]]|전거리=1.7 km
{{경유 계통|전방면=[[일산역|일산]] 방면|전역={{역번호/한국|S10|수도권|서해}} [[곡산역|곡산]]|전거리=1.7 km
|당역={{역번호/한국|S11|수도권|서해|ls=-0.05}} '''대곡'''
|당역={{역번호/한국|S11|수도권|서해}} '''대곡'''
|후방면=[[송산역 (화성)|송산]] 방면|후역={{역번호/한국|S12|수도권|서해|ls=-0.05}} [[능곡역|능곡]]|후거리=1.8 km}}
|후방면=[[원시역|원시]] 방면|후역={{역번호/한국|S12|수도권|서해}} [[능곡역|능곡]]|후거리=1.8 km}}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GTXA}}|글자색=white|계통=[[GTX A선|GTX A선 (미개통)]]}}
{{경유 계통|전방면=[[운정역 (GTX)|운정]] 방면|전역= {{역번호/한국||수도권|GTXA}} [[킨텍스역|킨텍스]]|전거리=6.9 km
|당역={{역번호/한국||수도권|GTXA}}'''대곡'''|등급=(미개통)
|후방면=[[동탄역|동탄]] 방면|후역={{역번호/한국||수도권|GTXA}} 창릉|후거리= km}}
{{경유 계통/닫기}}
{{경유 계통/닫기}}


{{각주}}
{{각주}}


[[분류:경의선]][[분류:교외선]][[분류:일산선]]
[[분류:경의선]][[분류:교외선]][[분류:일산선]][[분류:서해선]]
[[분류:경의·중앙선]][[분류:수도권 전철 3호선]]
[[분류:경기도에 있는 철도시설]]
[[분류:고양시의 철도역]]
[[분류:문산관리역]]

2024년 6월 5일 (수) 17:15 기준 최신판

대곡
주소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주로107번길 71-81
번호  314   K322   S11 
노선 경의선 18.2 km
교외선 1.5 km
일산선 11.4 km
서해선 0.7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개업일 1996년 1월 30일
코드 392
승강장 2면 4선 (경의선)
2면 2선 (일산선)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장동에 위치한 철도역. 수도권 전철 3호선경의·중앙선, 서해선 전철의 환승역이다. 향후 교외석 복선전철, 서해선 계통 KTX, GTX A 노선이 정차하는 대규모 환승역으로 변모할 전망이다.

시설[편집 | 원본 편집]

3호선[편집 | 원본 편집]

전형적인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다. 한국철도공사 승무교대가 이 역에서 이뤄지므로 승강장 끝단에는 승무원 대기 부스가 설치되어있다.

경의선·서해선[편집 | 원본 편집]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이다. 외측 1번과 4번은 경의·중앙선 일반열차가, 내측 2번과 3번은 급행열차가 정차하는 구조였으나, 2023년 서해선 개통과 맞물려 외측은 경의·중앙선 전용, 내측은 서해선 전용 승강장으로 개편되었다. 향후 서해선 계통 KTX가 운행할 경우 내측 서해선 플랫폼을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곡산역 방면으로는 서해선 전동차의 주박선과 회차선이 설치되어 있다.

교외선[편집 | 원본 편집]

교외선은 승강장이 없으며 승강장 터만 존재한다. 승강장 부지에 선로는 단선으로 부설되어 있으나 추후 교외선 복선 전철화 사업이 재개될 경우를 대비하여 복선 노반 및 고상홈 대응 설계가 적용되어 있다. 교외선 복선화가 이뤄질 경우 능곡역과 대곡역 사이에서 교외선 의정부 방면 선로는 입체교차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환승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수도권 전철 환승 정보
목적지
3호선 경의·중앙선 서해선
대화
방면
오금
방면
문산
방면
서울역 · 지평
방면
원시
방면
출발지 3호선 대화 방면 - 8-1
오금 방면 4-1 - 4-1
경의·중앙선 문산 방면 5-3 - 5-3
서울역 · 지평 방면 4-2 -
서해선 대곡 방면 -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대곡열 주변은 그린벨트로 묶여서 개발 자체가 불가능했기 때문에 주변에 이렇다할 역세권이 형성되지 않아 사실상 환승역으로서 기능하고 있는 역이다. 경의선 전철화 개통 이전에는 존재감도 없던 대표적인 잉여역이기도 했다. 과거 서울교외선이 경의선 대곡역에서 분기하였으나, 수도권 전철 시스템이 아니었고 현재는 여객취급을 중단하여 승강장 부지만 남겨놓은 상황이다.

2023년 서해선이 개통하면서 3호선, 경의중앙선, 서해선 3개 노선이 접속하는 역으로 위상이 높아졌지만, 주변 역세권 자체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여전히 노선간 환승 목적 외에 대곡역의 자체적인 수요는 미미한 편이다.

고양시는 향후 GTX A선, 교외선 복선전철 등이 교차하므로 대곡역 주변에 대형 역세권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나, 언제 사업이 본 궤도에 오를지는 미지수이다.

대곡역 바로 앞으로 고양시의 중추 간선도로인 중앙로가 지나가며, 2번 출구(화정 방면)와 4번 출구(일산신도시 방면)를 통해 버스 환승이 가능하긴 하지만, 3호선 백석역과 화정역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대곡역에서 버스로 환승할 필요성은 매우 떨어지는 편이다.

사진[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서울 방면
능곡 1.8 km
대곡 도라산 방면
곡산 1.7 km
능곡 방면
능곡 1.5 km
대곡 의정부 방면
대정 1.3 km
지축 방면
화정 2.1 km
대곡 대화 방면
백석 2.5 km
(기점) 0.7 km 대곡 원시 방면
능곡 1.8 km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3호선
대화 방면
 313  백석
 314  대곡 오금 방면
 315  화정
경의·중앙선
문산 방면
 K324  백마
 K322  대곡
경의선 급행
용문 · 서울역 방면
 K320  행신
문산 방면
 K323  곡산
 K322  대곡
완행
서울 · 지평 방면
 K321  능곡
서해선
일산 방면
 S10  곡산
 S11  대곡 원시 방면
 S12  능곡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