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매물도등대: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등대
{{등대 정보
|명칭=소매물도등대
|등대이름 = 소매물도등대
|그림=
|원어이름 =
|그림설명=
|그림     = [[파일:소매물도등대.JPG]]
|명칭=소매물도등대
|그림설명 =  
|위치=[[경상북도]] [[통영시]] [[한산면]] 매죽리
|번호    = 2172 / M4332
|인접항구=[[소매물도]] 선착장
|위치     = [[경상북도]] [[통영시]] [[한산면]] 매죽리
|높이=16m
|경위도  =
|점등일자={{날짜/출력|1917-8-5}}
|등고    = 91m
|등명주기= 13초 1백섬광  / 48km
|높이    = 16m
|관할기관= [[마산지방해양수산청]]
|관할기관 = [[마산지방해양수산청]]
|점등일자 = [[1917년]] [[8월 5일]]
|광파표지 = 13초 1백섬광  / 26해리(48km) / 명호: 235~170º
|음파표지 =
|전파표지 =
|비고    =
|하위 틀  =
}}
{{문화재 정보
|이름    = 소매물도 등대섬
|원어이름 =
|그림    =
|그림설명 =
|종목    = [[명승]] 제18호
|구성    =
|위치    = 경상남도 통영시 소매물도길 246 (한산면 매죽리)
|지정일  = [[2006년]] [[8월 24일]]
|해제일  =  
|소유    = [[해양수산부]]
|관리    =
|비고    =
}}
}}
==개요==
==개요==
1917년 최초 점등시에는 무인등대로 점등하였으나 1940년 유인등대로 전환된 등대이다. 등대의 높이는 16미터이나 약 75미터의 절벽 위에 있어서 해수면으로 부터의 높이는 대략 91미터정도 되는 높이에 자리하고 있다. 이 등대는 남해를 지나 [[부산항]]으로 들어가는 선박들과 대한해협을 거쳐 동해상으로 빠져나가는 선박들의 항로표지 역할을 주로 하고 있으며, 13초마다 1백섬광을 26마일의 거리까지 비추고 있다.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 매죽리 산65번지 [[소매물도]] 남단 등대섬에 자리한 [[등대]]로 1917년 최초 점등시에는 무인등대로 점등하였으나 1940년 유인등대로 전환된 등대이다. 등대의 높이는 16미터이나 약 75미터의 절벽 위에 있어서 해수면으로 부터의 높이는 대략 91미터정도 되는 높이에 자리하고 있다. 이 등대는 남해를 지나 [[부산항]]으로 들어가는 선박들과 대한해협을 거쳐 동해상으로 빠져나가는 선박들의 항로표지 역할을 주로 하고 있으며, 13초마다 1백섬광을 26해리의 거리까지 비추고 있다.


==기타사항==
==기타사항==
*이 등대가 위치한 섬의 공식 명칭은 본래는 해금도였으나 2002년부터 [[등대도]]{{ㅈ|국립지리원고시 제2002-215호}}로 바뀌었다. 참고로 이 곳에서는 하루 두번씩 [[모세의 기적]]이라 불리는 열목개자갈길이 열린다.
*이 등대가 위치한 섬의 공식 명칭은 본래는 해금도였으나 2002년부터 [[등대도]]{{ㅈ|국립지리원고시 제2002-215호}}로 바뀌었다. 등대의 이름은 [[소매물도]]의 이름을 붙인 것이지만 실제로는 다른 섬에 자리하고 있는 셈
*이 등대가 위치한 [[등대도]]는 [[명승]] 제18호로 등재되어 있다.
*[[소매물도]]와 등대섬 사이는 하루 두 번씩{{ㅈ|조석 주기 문제로 간혹가다 하루에 한번만 열리는 경우가 있기는 하다}} [[모세의 기적]]이라 불리는 열목개 자갈길이 열린다.
*이 등대가 위치한 [[등대도]]는 [[명승]] 제18호로 등재되어 있다. 섬 전체가 해안절벽을 따라 수평, 수직 절리들이 발달해 있으며 파도의 침식작용으로 해식애와 해식동굴 등이 곳곳에 발달하여 지형이 절경을 이루고 있다.
*이 등대 자체는 그다지 유명한 곳은 아니었으나 1986년 [[쿠크다스]] 광고에 이 등대가 등장하면서 일반에 알려지게 되었다.
{{유튜브|rycamk1XdX0}}


{{주석}}
{{주석}}
{{대한민국의 유인등대}}
{{대한민국의 유인등대}}
{{마산지방해양수산청 관할 등대}}
[[분류:명승]]
{{리브레 맵스 마커|34.61960762836286|128.54798998701744|10|소매물도등대}}

2022년 4월 11일 (월) 20:10 기준 최신판

소매물도등대
소매물도등대.JPG
등대 정보
번호 2172 / M4332
위치 경상북도 통영시 한산면 매죽리
등고 91m
높이 16m
관할기관 마산지방해양수산청
점등일자 1917년 8월 5일
광파표지 13초 1백섬광 / 26해리(48km) / 명호: 235~170º
소매물도 등대섬
문화재 정보
종목 명승 제18호
위치 경상남도 통영시 소매물도길 246 (한산면 매죽리)
지정일 2006년 8월 24일
소유 해양수산부

개요[편집 | 원본 편집]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 매죽리 산65번지 소매물도 남단 등대섬에 자리한 등대로 1917년 최초 점등시에는 무인등대로 점등하였으나 1940년 유인등대로 전환된 등대이다. 등대의 높이는 16미터이나 약 75미터의 절벽 위에 있어서 해수면으로 부터의 높이는 대략 91미터정도 되는 높이에 자리하고 있다. 이 등대는 남해를 지나 부산항으로 들어가는 선박들과 대한해협을 거쳐 동해상으로 빠져나가는 선박들의 항로표지 역할을 주로 하고 있으며, 13초마다 1백섬광을 26해리의 거리까지 비추고 있다.

기타사항[편집 | 원본 편집]

  • 이 등대가 위치한 섬의 공식 명칭은 본래는 해금도였으나 2002년부터 등대도[1]로 바뀌었다. 등대의 이름은 소매물도의 이름을 붙인 것이지만 실제로는 다른 섬에 자리하고 있는 셈
  • 소매물도와 등대섬 사이는 하루 두 번씩[2] 모세의 기적이라 불리는 열목개 자갈길이 열린다.
  • 이 등대가 위치한 등대도명승 제18호로 등재되어 있다. 섬 전체가 해안절벽을 따라 수평, 수직 절리들이 발달해 있으며 파도의 침식작용으로 해식애와 해식동굴 등이 곳곳에 발달하여 지형이 절경을 이루고 있다.
  • 이 등대 자체는 그다지 유명한 곳은 아니었으나 1986년 쿠크다스 광고에 이 등대가 등장하면서 일반에 알려지게 되었다.

각주

  1. 국립지리원고시 제2002-215호
  2. 조석 주기 문제로 간혹가다 하루에 한번만 열리는 경우가 있기는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