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성씨):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성씨 삭제함)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박'''(朴)씨는 [[한국의 성씨]]이다.
'''박'''(朴)씨는 [[한국의 성씨]]이다.


박(朴)씨는 [[신라]] 건국 신화에 등장하는 [[박혁거세]](朴赫居世)를 기원으로 하고 있다. 기원전 69년 [[사로국]](斯盧國)의 여섯 촌장들이 아들을 데리고 알천의 언덕 위에 모여서 백성을 다스릴 임금을 추대할 것을 의논을 하고 있었다. 이때 남쪽을 바라보니 양산아래에 있는 나정(蘿井)이라는 우물가에 오색영롱한 빛이 비치고 흰 말 한 마리가 땅에 꿇어앉아 절하는 모습이 보였다. 그곳에 가서 보았더니 박같이 생긴알이 있어서 알을 깨어보니 그곳에서 사내아이가 나왔다. 그래서 사람들이 그 아이를 혁연히 세상에 나왔다고 해서 혁거세(赫居世)라고 하고 박에서 나왔다며 성을 박이라고 해서 박씨의 시조가 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박(朴)씨는 [[신라]] 건국 신화에 등장하는 [[박혁거세]](朴赫居世)를 기원으로 하고 있다. 기원전 69년 [[사로국]](斯盧國)의 여섯 촌장들이 아들을 데리고 알천의 언덕 위에 모여서 백성을 다스릴 임금을 추대할 것을 의논을 하고 있었다. 이때 남쪽을 바라보니 양산아래에 있는 나정(蘿井)이라는 우물가에 오색영롱한 빛이 비치고 흰 말 한 마리가 땅에 꿇어앉아 절하는 모습이 보였다. 그곳에 가서 보았더니 박같이 생긴알이 있어서 알을 깨어보니 그곳에서 사내아이가 나왔다. 그래서 사람들이 그 아이를 혁연히 세상에 나왔다고 해서 혁거세(赫居世)라고 하고 박에서 나왔다며 성을 박이라고 해서 박씨의 시조가 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박씨는 여러 본관 중 단 1본도 외래 귀화족이 없다고 하며, 모든 박씨는 신라의 시조왕 [[박혁거세]]를 유일한 시조로 받들고 있기 때문에 본관이 다르더라도 박씨끼리는 혼인을 피한다.  
박씨는 여러 본관 중 단 1본도 외래 귀화족이 없다고 하며, 모든 박씨는 신라의 시조왕 [[박혁거세]]를 유일한 시조로 받들고 있기 때문에 본관이 다르더라도 박씨끼리는 혼인을 피한다.


박(朴)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 3,895,121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3위이다. 본관은 [[밀양 박씨|밀양]](密陽)·[[반남 박씨|반남]](潘南)·[[함양 박씨|함양]](咸陽)·[[순천 박씨|순천]](順天)·[[무안 박씨|무안]](務安)·[[죽산 박씨|죽산]](竹山)·[[고령 박씨|고령]](高靈)·[[충주 박씨|충주]](忠州)·[[영해 박씨|영해]](寧海)·[[진원 박씨|진원]](珍原) 등 314본이 있지만 이 중 46본을 제외한 나머지 본관에 대한 유래는 알 수가 없다. [[밀양 박씨]]가 박씨 인구의 77.8%를 차지한다.
박(朴)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 3,895,121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3위이다. 본관은 [[밀양 박씨|밀양]](密陽)·[[반남 박씨|반남]](潘南)·[[함양 박씨|함양]](咸陽)·[[순천 박씨|순천]](順天)·[[무안 박씨|무안]](務安)·[[죽산 박씨|죽산]](竹山)·[[고령 박씨|고령]](高靈)·[[충주 박씨|충주]](忠州)·[[영해 박씨|영해]](寧海)·[[진원 박씨|진원]](珍原) 등 314본이 있지만 이 중 46본을 제외한 나머지 본관에 대한 유래는 알 수가 없다. [[밀양 박씨]]가 박씨 인구의 77.8%를 차지한다.
10번째 줄: 9번째 줄:
== 본관별 시조 ==
== 본관별 시조 ==


{{Hidden begin|title=본관별 시조}}
{{숨김 시작|title=본관별 시조}}
* '''[[밀양 박씨]]'''(密陽 朴氏) 시조 '''[[박언침]]'''(朴彦忱)은 신라 [[경명왕]]의 첫째 아들 밀성대군(密城大君)이다. 2000년 인구는 3,031,478명이다.
* '''[[밀양 박씨]]'''(密陽 朴氏) 시조 '''[[박언침]]'''(朴彦忱)은 신라 [[경명왕]]의 첫째 아들 밀성대군(密城大君)이다. 2000년 인구는 3,031,478명이다.
* '''[[고령 박씨]]'''(高靈 朴氏) 시조 '''[[박언성]]'''(朴彦成)은 신라 [[경명왕]]의 둘째 아들 고양대군(高陽大君)이다. 역사 인물로 [[박문수]], 현대 인물로 [[박정희]], [[박근혜]] 대통령이 있다. 2000년 인구는 39,239명이다.  
* '''[[고령 박씨]]'''(高靈 朴氏) 시조 '''[[박언성]]'''(朴彦成)은 신라 [[경명왕]]의 둘째 아들 고양대군(高陽大君)이다. 역사 인물로 [[박문수]], 현대 인물로 [[박정희]], [[박근혜]] 대통령이 있다. 2000년 인구는 39,239명이다.
* '''[[함양 박씨]]'''(咸陽 朴氏) 시조 '''[[박언신]]'''(朴彦信)은 신라 [[경명왕]]의 셋째 아들이다. 2000년 인구는 123,688명이다.
* '''[[함양 박씨]]'''(咸陽 朴氏) 시조 '''[[박언신]]'''(朴彦信)은 신라 [[경명왕]]의 셋째 아들이다. 2000년 인구는 123,688명이다.
* '''[[죽산 박씨]]'''(竹山 朴氏) 시조 '''[[박기오]]'''(朴奇悟)는 [[신라]] [[경명왕]]의 넷째 아들인 죽성대군(竹城大君) 박언립(朴彦立)의 아들로서 왕건(王建)을 도와 고려 창업에 공을 세우고 태조 때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으로 삼중대광태보(三重大匡太保)에 올라 죽주백(竹州伯)에 봉해졌다. 2000년 인구는 53,489명이다.
* '''[[죽산 박씨]]'''(竹山 朴氏) 시조 '''[[박기오]]'''(朴奇悟)는 [[신라]] [[경명왕]]의 넷째 아들인 죽성대군(竹城大君) 박언립(朴彦立)의 아들로서 왕건(王建)을 도와 고려 창업에 공을 세우고 태조 때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으로 삼중대광태보(三重大匡太保)에 올라 죽주백(竹州伯)에 봉해졌다. 2000년 인구는 53,489명이다.
24번째 줄: 23번째 줄:
* '''[[반남 박씨]]'''(潘南 朴氏) 시조 '''[[박응주]]'''(朴應珠)는 고려 조에서 반남호장(潘南戶長)을 역임했으며 6세손 박은(朴訔)이 조선 태종 때 왕자의 난에 공을 세워 익대동덕좌명공신(翊戴同德佐命功臣)에 올라 반남군(潘南君)에 봉해졌다가 금천부원군(錦川府院君)에 봉해졌다. 시조 이전의 선계는 알 수 없으나 반남현(현 [[전라남도]] [[나주시]] [[반남면]] 일대)에서 대대로 살아오던 집안의 후손이라고 한다. 역사 인물로는 [[박상충]], [[박은 (1370년)|박은]], [[박세채]], [[박지원 (1737년)|박지원]], [[박규수]] 등이 있다. 2000년 인구는 139,438명이다.
* '''[[반남 박씨]]'''(潘南 朴氏) 시조 '''[[박응주]]'''(朴應珠)는 고려 조에서 반남호장(潘南戶長)을 역임했으며 6세손 박은(朴訔)이 조선 태종 때 왕자의 난에 공을 세워 익대동덕좌명공신(翊戴同德佐命功臣)에 올라 반남군(潘南君)에 봉해졌다가 금천부원군(錦川府院君)에 봉해졌다. 시조 이전의 선계는 알 수 없으나 반남현(현 [[전라남도]] [[나주시]] [[반남면]] 일대)에서 대대로 살아오던 집안의 후손이라고 한다. 역사 인물로는 [[박상충]], [[박은 (1370년)|박은]], [[박세채]], [[박지원 (1737년)|박지원]], [[박규수]] 등이 있다. 2000년 인구는 139,438명이다.
* '''[[진원 박씨]]'''(珍原朴氏) 시조 '''박진문'''朴進文)은 고려시대에 대장군(大將軍)을 역임하였다. 박진문의 8세손 [[박희중]](朴熙中)은 조선 태종 때 증광문과(增廣文科)에 급제하고 지제교(知製敎)와 기주관(記注官)을 거쳐 회례사(回禮使)로 일본에 다녀왔다. 또한 김제(金堤)의 벽골제(碧骨堤)를 축조하는 데 큰 공(功)을 세워, 백성들이 제방 위에 공덕비를 세워 주었다. 또 집현전제학(集賢殿提學)으로 있으면서 청백리(淸白吏)로 녹선(錄選)되었으며, 1423년(세종 5) 예문관직제학(藝文館直提學)을 지낸 후 공신(功臣)으로 진원군(珍原君)에 봉해졌다. 2000년 인구는 23,839명이다.
* '''[[진원 박씨]]'''(珍原朴氏) 시조 '''박진문'''朴進文)은 고려시대에 대장군(大將軍)을 역임하였다. 박진문의 8세손 [[박희중]](朴熙中)은 조선 태종 때 증광문과(增廣文科)에 급제하고 지제교(知製敎)와 기주관(記注官)을 거쳐 회례사(回禮使)로 일본에 다녀왔다. 또한 김제(金堤)의 벽골제(碧骨堤)를 축조하는 데 큰 공(功)을 세워, 백성들이 제방 위에 공덕비를 세워 주었다. 또 집현전제학(集賢殿提學)으로 있으면서 청백리(淸白吏)로 녹선(錄選)되었으며, 1423년(세종 5) 예문관직제학(藝文館直提學)을 지낸 후 공신(功臣)으로 진원군(珍原君)에 봉해졌다. 2000년 인구는 23,839명이다.
* '''[[평산 박씨]]'''(平山 朴氏) 시조 [[박지윤 (고려)|박지윤]](朴智胤)은 [[고려 태조]] 25비 [[성무부인]](聖茂夫人)의 아버지로 벼슬은 삼중대광 시중에 이르렀다.  
* '''[[평산 박씨]]'''(平山 朴氏) 시조 [[박지윤 (고려)|박지윤]](朴智胤)은 [[고려 태조]] 25비 [[성무부인]](聖茂夫人)의 아버지로 벼슬은 삼중대광 시중에 이르렀다.
* [[영해 박씨]]
* [[영해 박씨]]
* [[아산 박씨]]
* [[아산 박씨]]
32번째 줄: 31번째 줄:
* [[태안 박씨]]
* [[태안 박씨]]
* [[문주 박씨]]
* [[문주 박씨]]
{{Hidden end}}
{{숨김 끝}}


== 박씨 성을 가진 인물 ==
== 박씨 성을 가진 인물 ==
* [[가희|박가희]] - 걸그룹 [[애프터스쿨]] 출신 가수 [[가희]]의 본명.
* [[박경]] - 보이그룹 [[블락비]]의 멤버.
* [[박나래]] - 개그우먼.
* [[박나래]] - 개그우먼.
* [[박나래 (가수)|박나래]] - 걸그룹 [[스피카 (아이돌)|스피카]] 출신 가수.
* [[박나래 (가수)|박나래]] - 걸그룹 [[스피카 (아이돌)|스피카]] 출신 가수.
55번째 줄: 54번째 줄:
* [[지민 (방탄소년단)|박지민]] - 보이그룹 [[방탄소년단]] [[지민 (방탄소년단)|지민]]의 본명.
* [[지민 (방탄소년단)|박지민]] - 보이그룹 [[방탄소년단]] [[지민 (방탄소년단)|지민]]의 본명.
* [[제이미|박지민]] - 걸그룹 [[15&]] 출신 가수.
* [[제이미|박지민]] - 걸그룹 [[15&]] 출신 가수.
* [[가희|박지영]] - 걸그룹 [[애프터스쿨]] 출신 가수 [[가희]]의 본명.
* [[박지훈]] - 보이그룹 [[워너원]] 출신 가수.
* [[박지훈]] - 보이그룹 [[워너원]] 출신 가수.
* [[박진영]] - 가수.
* [[박진영]] - 가수.
68번째 줄: 68번째 줄:


== 기타 ==
== 기타 ==
* 다른 계통으로 조선 인조 때 [[네덜란드]]에서 귀화한 [[박연 (조선 중기)|박연]](Jan J. Weltevree, [[벨테브레이]])를 시조로 하는 [[원산 박씨]]가 있다.  
* 다른 계통으로 조선 인조 때 [[네덜란드]]에서 귀화한 [[박연 (조선 중기)|박연]](Jan J. Weltevree, [[벨테브레이]])를 시조로 하는 [[원산 박씨]]가 있다.
* 중국에서 동래한 성씨들과는 달리 박씨는 중국계가 없는 순수한 한국 토착 성씨이다. 중국에는 본래 박(朴)씨 성이 없었기 중국의 박씨는 한반도에서 이주한 [[조선인]]의 후손이다. 중국 [[번시 박씨]](本溪 朴氏, 본계 박씨)는 [[청나라]] 때는 [[만주족]]으로 분류됐으나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된 이후 이뤄진 1958년 인구조사 때 한족(漢族)으로 편입되었다가, 1982년 시행된 인구조사에서 자신들이 조선의 후예라고 청원하여 [[조선족]]으로 바로잡았다. 중국에서는 樸씨라고도 읽는데, 이는 박씨의 시조인 박혁거세가 알에서 나와 박을 성으로 삼은 것에서 유래된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에서 朴씨는 Piao라고 읽는데 이는 표주박을 뜻하는 瓢와 발음이 같다. 발음이 같은 朴으로 와전돼서 간체자인 樸과 혼용해서 쓴다.  
* 중국에서 동래한 성씨들과는 달리 박씨는 중국계가 없는 순수한 한국 토착 성씨이다. 중국에는 본래 박(朴)씨 성이 없었기 중국의 박씨는 한반도에서 이주한 [[조선인]]의 후손이다. 중국 [[번시 박씨]](本溪 朴氏, 본계 박씨)는 [[청나라]] 때는 [[만주족]]으로 분류됐으나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된 이후 이뤄진 1958년 인구조사 때 한족(漢族)으로 편입되었다가, 1982년 시행된 인구조사에서 자신들이 조선의 후예라고 청원하여 [[조선족]]으로 바로잡았다. 중국에서는 樸씨라고도 읽는데, 이는 박씨의 시조인 박혁거세가 알에서 나와 박을 성으로 삼은 것에서 유래된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에서 朴씨는 Piao라고 읽는데 이는 표주박을 뜻하는 瓢와 발음이 같다. 발음이 같은 朴으로 와전돼서 간체자인 樸과 혼용해서 쓴다.
* 조선시대 최하층민이었던 [[백정]] 출신으로 [[박성춘]], [[박서양 (1885년)|박서양]] 등이 있으나 [[백정]] 박가 집안이 박씨 성을 쓰고 있던 이유는 알 수 없다.
* 조선시대 최하층민이었던 [[백정]] 출신으로 [[박성춘]], [[박서양 (1885년)|박서양]] 등이 있으나 [[백정]] 박가 집안이 박씨 성을 쓰고 있던 이유는 알 수 없다.


{{한국의 성씨}}
{{한국인의 성씨}}


{{퍼온문서|박 (성씨)|15593674}}
{{퍼온문서|박 (성씨)|15593674}}


[[분류:성씨]]
[[분류:한국인의 성씨]]
[[분류:한국인의 성씨]]
[[분류:박씨| ]]

2022년 3월 1일 (화) 19:21 기준 최신판

(朴)씨는 한국의 성씨이다.

박(朴)씨는 신라 건국 신화에 등장하는 박혁거세(朴赫居世)를 기원으로 하고 있다. 기원전 69년 사로국(斯盧國)의 여섯 촌장들이 아들을 데리고 알천의 언덕 위에 모여서 백성을 다스릴 임금을 추대할 것을 의논을 하고 있었다. 이때 남쪽을 바라보니 양산아래에 있는 나정(蘿井)이라는 우물가에 오색영롱한 빛이 비치고 흰 말 한 마리가 땅에 꿇어앉아 절하는 모습이 보였다. 그곳에 가서 보았더니 박같이 생긴알이 있어서 알을 깨어보니 그곳에서 사내아이가 나왔다. 그래서 사람들이 그 아이를 혁연히 세상에 나왔다고 해서 혁거세(赫居世)라고 하고 박에서 나왔다며 성을 박이라고 해서 박씨의 시조가 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박씨는 여러 본관 중 단 1본도 외래 귀화족이 없다고 하며, 모든 박씨는 신라의 시조왕 박혁거세를 유일한 시조로 받들고 있기 때문에 본관이 다르더라도 박씨끼리는 혼인을 피한다.

박(朴)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 3,895,121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3위이다. 본관은 밀양(密陽)·반남(潘南)·함양(咸陽)·순천(順天)·무안(務安)·죽산(竹山)·고령(高靈)·충주(忠州)·영해(寧海)·진원(珍原) 등 314본이 있지만 이 중 46본을 제외한 나머지 본관에 대한 유래는 알 수가 없다. 밀양 박씨가 박씨 인구의 77.8%를 차지한다.

본관별 시조[편집 | 원본 편집]

박씨 성을 가진 인물[편집 | 원본 편집]

기타[편집 | 원본 편집]

  • 다른 계통으로 조선 인조 때 네덜란드에서 귀화한 박연(Jan J. Weltevree, 벨테브레이)를 시조로 하는 원산 박씨가 있다.
  • 중국에서 동래한 성씨들과는 달리 박씨는 중국계가 없는 순수한 한국 토착 성씨이다. 중국에는 본래 박(朴)씨 성이 없었기 중국의 박씨는 한반도에서 이주한 조선인의 후손이다. 중국 번시 박씨(本溪 朴氏, 본계 박씨)는 청나라 때는 만주족으로 분류됐으나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된 이후 이뤄진 1958년 인구조사 때 한족(漢族)으로 편입되었다가, 1982년 시행된 인구조사에서 자신들이 조선의 후예라고 청원하여 조선족으로 바로잡았다. 중국에서는 樸씨라고도 읽는데, 이는 박씨의 시조인 박혁거세가 알에서 나와 박을 성으로 삼은 것에서 유래된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에서 朴씨는 Piao라고 읽는데 이는 표주박을 뜻하는 瓢와 발음이 같다. 발음이 같은 朴으로 와전돼서 간체자인 樸과 혼용해서 쓴다.
  • 조선시대 최하층민이었던 백정 출신으로 박성춘, 박서양 등이 있으나 백정 박가 집안이 박씨 성을 쓰고 있던 이유는 알 수 없다.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박 (성씨) 문서 15593674판에서 분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