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철도/연표: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15명의 중간 판 8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3번째 줄: 23번째 줄:
*[[1899년]]
*[[1899년]]
**[[4월 13일]] : 일본자본인 경인철도인수조합이 인천에서 [[경인선]]의 기공식을 다시 하여 경인선 재착공
**[[4월 13일]] : 일본자본인 경인철도인수조합이 인천에서 [[경인선]]의 기공식을 다시 하여 경인선 재착공
**[[5월 17일]]] : [[서대문]]-[[청량리역|청량리]]간 [[전차]] 개통
**[[5월 17일]] : [[서대문]]-[[청량리역|청량리]]간 [[전차]] 개통
**[[6월 18일]] : 경인선에서 기관차의 시운전. 당시 기관차 명은 "Mogul tank"였다.
**[[6월 18일]] : 경인선에서 기관차의 시운전. 당시 기관차 명은 "Mogul tank"였다.
**[[6월 30일]] : 프랑스 피브릴르사의 [[경의선|경의철도]] 부설권 소멸
**[[6월 30일]] : 프랑스 피브릴르사의 [[경의선|경의철도]] 부설권 소멸
62번째 줄: 62번째 줄:
**[[9월 11일]] : [[경부선|경부철도]]와 일본 철도의 연대운수 실시
**[[9월 11일]] : [[경부선|경부철도]]와 일본 철도의 연대운수 실시
**[[11월 10일]] : [[경부선|경부철도]]와 군용철도인 [[경인선]] [[용산역|용산]]-[[평양역|평양]]간 연락운수 개시
**[[11월 10일]] : [[경부선|경부철도]]와 군용철도인 [[경인선]] [[용산역|용산]]-[[평양역|평양]]간 연락운수 개시
**[[12월 22일]] : 일제, [[통감부]]를 설치{{ㅈ|실제 통감부의 개청은 이보다 조금 뒤인 {{날짜/출력|1906-2-1}}이다.}}하여 국내 철도 통합운영을 추진하였다. 이는 [[을사늑약]] 이후 한반도를 본격적으로 집어삼키기 위한 작업의 일환이었다.
**[[12월 22일]] : 일제, [[통감부]]를 설치{{ㅈ|실제 통감부의 개청은 이보다 조금 뒤인 [[1906년]] [[2월 1일]]이다.}}하여 국내 철도 통합운영을 추진하였다. 이는 [[을사늑약]] 이후 한반도를 본격적으로 집어삼키기 위한 작업의 일환이었다.
*[[1906년]]
*[[1906년]]
**[[1월 4일]] : [[경인선]]에서 일반인의 탑승 및 탁송화물 취급 개시
**[[1월 4일]] : [[경인선]]에서 일반인의 탑승 및 탁송화물 취급 개시
82번째 줄: 82번째 줄:


==1910년대==
==1910년대==
*[[1910년]]
**[[10월 15일]] : [[용산역|용산]]-[[원산역|원산]]간 [[경원선]] 철도 기공식
**[[10월 16일]] : [[평양역|평양]]과 진남포를 연결하는 [[평남선]] 철도가 영업 개시(당시 영업거리 55.3km)
*[[1911년]]
**[[6월 1일]] : [[한강철교]] A선 준공
**[[12월 1일]] : [[경부선]] 야간열차인 융희호를 매일 운행으로 개정
*[[1912년]]
**[[1월 1일]] : 열차 운전시각을 일본과 같은 동경표준시로 개정
**[[5월 1일]] : 한반도-만주 상호간 급행열차 및 침대권의 직통취급 개시
**[[6월 15일]] : 부산-중국 신징(新京){{ㅈ|현재의 장춘}}간 직통 급행운전 개시
*[[1913년]]
**[[5월 1일]] : 일본-만주간 여객 연락운수 취급 개시
**[[6월 10일]] : 한반도의 철도와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경유하는 유럽 주요 도시간 여객 및 수소화물 연락운수 개시
**[[6월 15일]] : [[남만주철도주식회사|만철선]] 경유 한반도-중국간 여객 연락운수 취급 개시 · [[호남선]] [[목포역|목포]]-[[송정리역|송정리]]간 개통
*[[1914년]]
**[[1월 1일]] : 일본-만주간 화물 연락운수 취급 개시
**[[1월 11일]] : [[정읍역|정읍]]-[[송정리역|송정리]]간 개통으로 [[호남선]] 전구간 개통
**[[1월 22일]] : [[호남선]] 전구간 개통식을 목포에서 거행
**[[9월 16일]] : [[경원선]] 전구간 개통식을 원산에서 거행
**[[11월 1일]] : 한국-[[만주]]-[[러시아]] 간 여객 연락운수 취급 개시
*[[1915년]]
**[[10월 15일]] : 남대문역을 개축 및 증축하여 [[서울역|경성역]]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영업 개시
*[[1917년]]
**[[7월 31일]] : 한반도의 철도경영을 [[남만주철도주식회사]]에 위탁, 서울에 만철의 관리국이 설치됨
*[[1918년]]
**[[5월 12일]] : [[제1차 세계대전]]의 영향으로 유럽행 직통열차 취급 중지
*[[1919년]]
**[[3월 31일]] : 서대문역 폐지
==1920년대==
==1920년대==
*[[1921년]]
**[[11월 1일]] : [[충북선]]의 [[조치원역|조치원]]-[[청주역|청주]] 구간이 [[사설철도]]로 개통
*[[1922년]]
**[[7월 1일]]남조선 철도 [[광주선]] [[송정리역|송정리]]-[[광주역|광주]]간 개통, [[경전선]] [[송정리역|송정리]]-[[순천역|순천]]간 134.6km 개통
*[[1923년]]
**[[1월 1일]] : 남대문역을 [[서울역|경성역]]으로 개칭
**[[7월 1일]] : [[광주선]] [[송정리역|송정리]]-[[광주역|광주]]간 14.9km구간 개통
**[[12월 1일]] : [[경전선|경남선]] [[마산역|마산]]-[[진주역|진주]]간 70km구간 개통
*[[1924년]]
**[[8월 1일]] : [[금강산선]] [[철원역|철원]]-[[김화역|김화]]간 28.6km 개통
*[[1925년]]
**[[4월 1일]] : [[남만주철도주식회사]]의 위탁경영을 해제하고 조선총독부의 직접경영으로 전환, 동시에 산하에 철도국을 설치함. 직영 환원시 철도의 총 연장은 2,092km였다.
**[[9월 30일]] : [[서울역|경성역]]의 역사 신축 준공. 이 역 건물은 현재의 서울역 구역사이다.
**[[10월 15일]] : [[서울역|경성역]] 신축역사에서 영업개시
**[[10월 25일]] : [[서울역|경성역]] 구내식당 개업. 이 식당은 서울역 그릴의 전신이 된다.
*[[1926년]]
**[[4월 25일]] : 축현역을 상인천역으로 역명 변경
*[[1927년]]
**[[7월 1일]] : 경성기관차공장에서 최초로 터우6형 [[증기기관차]]를 제조
**[[8월 1일]] : 시베리아 경우 아시아, 유럽 각국간 여객 및 수, 소화물의 연락운수 개시
*[[1929년]]
**[[6월 15일]] : 아시아, 유럽 연락열차, [[부산역|부산]]-중국 신징간 1, 2등차 직통운행
==1930년대==
==1930년대==
*[[1930년]]
**[[4월 1일]] : 영업이정을 킬로정으로 개정하면서 [[미터법]]을 사용
**[[7월 1일]] : [[금강산선]] [[금강구역|금강구]]-[[내금강역|내금강]] 구간이 개통되어 [[철원역|철원]]-[[내금강역|내금강]] 구간의 [[금강산선]] 전구간이 개통됨
**[[8월 1일]] : [[장항선|충남선]] 남포-판교의 구간이 개통되어 [[천안역|천안]]-[[장항역|장항]]간 전구간이 개통됨
*[[1935년]]
**[[10월 1일]] : 직영 환원 10주년 기념사업으로 [[철도박물관]] 설치
*[[1936년]]
**[[7월 1일]] : [[청량리역|청량리]]-[[춘천역|춘천]]간 [[경춘선]] 건설공사 착공
**[[11월 3일]] : [[중앙선]] [[청량리역|청량리]] 방면에서 건설공사 착수
*[[1937년]]
**[[8월 6일]] : 조선경동철도(주)에서 [[수원역|수원]]-인천항간 개통으로 인천항-[[여주역|여주]]간 [[수인선]], [[수려선]] 전구간 개통
**[[9월 18일]] : 철도기념일 제정
*[[1938년]]
**[[5월 1일]] : [[영등포역]]을 남경성역으로, [[청량리역]]을 동경성역으로 바꿈
*[[1939년]]
**[[7월 25일]] : [[경춘선]] 성동-[[춘천역|춘천]]간 93.5km구간 개통
==1940년대==
==1940년대==
*[[1942년]]
**[[4월 1일]] : [[중앙선]] 전구간 개통 영업 실시
**[[4월 40일]] : [[서울역|경성]]-[[평양역|평양]]간 복선 개통
*[[1943년]]
**[[5월 15일]] : [[평양역|평양]]-[[신의주역|신의주]]간 복선구간 완성으로 [[경의선]] 전구간 복선개통
*[[1945년]]
**[[8월 15일]] : 일제의 무조건 항복으로 광복
**[[8월 16일]] : 일본 집권층과 철도 업무 접수를 위한 한국 직원 간 대책협의. 당시 철도 종사원 79,000명 중 일본인 종사원은 23,000명이었다
**[[9월 6일]] : 미 육군 해밀턴 중령이 군정청의 교통국장에 취임. 동년 12월 1일까지 재임한다
**[[10월 27일]] : 일본일 철도 종사원을 모두 사직시킴.{{ㅈ|광복 당시 철도 현황은 영업거리 6,362km, 기관차 1,166대, 객차 2,027량, 화차 15,352량, 역 수는 762개소였다. 이 중 남한 철도의 현황은 총연장 3,738km, 영업거리 2,642km, 기관차 488대, 객차 1,280량, 화차 8,424량, 동차 29량, 역 수는 300개소였다.}}
*[[1946년]]
**[[1월 1일]] : 교통국을 운수국으로 개칭
**[[5월 17일]] : 군정령 제75호에 따라 사설철도 및 부대사업 일체를 국유철도에 합병하였다.{{ㅈ|당시 사설철도의 길이는 [[표준궤]]구간 416.5km, [[협궤]]구간 125.3km였다.}}
**[[9월 23일]] : 철도총파업(10월 1일 해제)
*[[1947년]]
**[[3월 19일]] : 미국제 기관차 30대가 최초로 [[부산항]]에 도착
**[[8월 9일]] : [[러시아]]열차에 객차 2량을 편성하여 [[서울역|경성]]-[[평양역|평양]]간 2회 운행
**[[11월 1일]] : 경성역을 [[서울역]]으로 개칭
*[[1948년]]
**[[8월 15일]] : 대한민국 정부수립으로 운수부를 교통부로 개편
**[[9월 7일]] : 군정청의 운수부 및 부속기관의 행정권 일체를 이날 오후 1시 30분을 기하여 대한민국 교통부 장관이 인수
==1950년대==
==1950년대==
*[[1950년]]
**[[6월 25일]] : [[한국전쟁]] 발발로 전시 수송체제로 전환하고 수송본부를 설치, 비상차량을 동원
**[[7월 20일]] : 딘 장군 구출결사대 열차가 세천-대전 사이에서 피습되어 김재현 기관사 등 승무원 3명이 사상, 미군 30여명이 전사
**[[8월 3일]] : [[구미역]], [[약목역]], [[왜관역]] 철수와 동시에 왜관-약목간 [[낙동강철교]] 폭파
**[[10월 8일]] : 부산-서울간 철도 완전개통으로 복귀, 철 열차 운행(112열차), 서울, 용산지구 철도기관 완전 수복
*[[1951년]]
**[[1월 4일]] ; 서울지구 중공군의 개입으로 완전 철수{{ㅈ|6.25 전쟁 철도 피해상황 : 터널 4,935m(6%), 선로 329,480m(7.5%), 신호 및 보안장치 20%, 급탄설비 38개소(40%), 전기신호장비 56%, 역건물 41%, 공장설비 27%, 기관차 51%, 교량 9,351m(12%), 노반 100,000m(3%), 급수시설 26개소(25%), 전신전화시설 50%, 전력설비 56%, 선로 부대건물 39%, 자재 80%, 객차 50%, 화차 34%}}
**[[6월 12일]] [[한강철교]] A선 복구공사 준공
*[[1952년]]
**[[6월 30일]] : [[한강철교]] B선 복구
*[[1953년]]
**[[3월 16일]] : 교통부 철도건설국 설치
**[[9월 18일 [[경의선]] [[문산역]], [[경원선]] [[신탄리역]]에 "철마는 달리고 싶다" 푯말 설치
*[[1954년]]
**[[4월]] : [[디젤기관차]] 4대를 UN군에서 인수{{ㅈ|전란 중 UN군이 사용하다 휴전후 ICA 원조계획에 의해 이양됨}}
*[[1955년]]
**[[6월 1일]] : 동란 이후 UN군이 장악하고 있던 철도 운영권을 인수
**[[8월 15일]] : 서울-부산간 특급 [[통일호]] 운행. 이 당시 운행시간은 9시간 30분ㅇ 소요되었다.
**[[9월 15일]] : [[문경선]] [[점촌역|점촌]]-[[가은역|가은]]간 22.5km개통
*[[1956년]]
**[[1월 16일]] : [[영동선|영암선]] 전통식을 [[동점역]] 구내에서, [[태백선|영월선]] 개통식을 [[영월역]] 구내에서 시행
**[[6월 14일]] : 충남선을 [[장항선]]으로, 경기선을 [[안성선]]으로, 경전남부선을 [[경전선|진주선]]으로, 경전서부선을 [[광주선]]으로 각 선 명칭 개정
*[[1957년]]
**[[3월 9일]] : [[함백선]] [[영월역|영월]]-[[함백역|함백]]간 22.6km구간이 개통, 이후 이 구간의 대부분은 [[태백선]]의 기반이 된다.
**[[7월 5일]] : 한강교량 복선 C선 복구공사 완성으로 개통식, 동시에 기존에 먼저 복구되었던 A, B선의 노후로 [[1969년]] [[6월 28일]]까지 C선만을 사용하였다.
**[[8월 30일]] : 특급 통일호 종전 운행시간 9시간을 7시간으로 단축
**[[11월 10일]] : 직통열차 26개 편성에 지정좌석제 실시
*[[1958년]]
**[[2월 20일]] : 대전 [[디젤전기기관차]] 공장 개설
*[[1959년]]
**[[2월 27일]] : 국산 신조객차 제작 개시
==1960년대==
==1960년대==
*[[1960년]]
**[[1월 26일]] : 서울역 승객 압사사고 발생. 22시 55분 서울발 목포행 여객열차 개표시 3번 승강장 계단에서 인파에 떠밀리는 바람에 압사 31명, 부상자가 다수 발생한 대형사고.
**[[2월 16일]] : [[경부선]] [[무궁화호]] [[서울역|서울]]-[[대전역|대전]]간 시운전
**[[2월 21일]] : [[경부선]] 특급 [[무궁화호]] 서울-부산간을 6시간 30분에 운행개시
**[[7월 8일 ]] : [[경부선]]에 PC침목 부설 개시
*[[1961년]]
**[[6월 30일]] : [[서울교외선|능의선]] [[능곡역|능곡]]-[[가능역|가능]]간 26.5km 개통
*[[1962년]]
**[[1월 1일]] : [[철도법]]이 전문 92개조 2개 부칙으로 공포되었다.
**[[5월 15일]] : [[서울역|서울]]-[[부산역|부산]]간 특급 [[재건호]]가 6시간 10분에 운행 개시
**[[12월 21일]] : 중요 여객열차{{ㅈ|[[재건호]], [[통일호]] 341, 32, 9, 10열차의 2등차 및 침대차}}에 여자 안내원 승무
*[[1963년]]
**[[5월 17일]] : 영암선, 철암선, [[삼척선]], [[동해북부선]]을 통합하여 [[영동선]]으로 명명함
**[[5월 30일]] : [[영동선]] [[통리역|통리]]-[[심포리역|심포리]]간 8.5km의 황지본선이 개통되면서 [[인클라인]]의 필요성이 사라짐. 황지본선은 8km이상을 더 돌아가는 길임에도 불구하고 인클라인 대비 수송량을 엄청나게 향상시켰으며, 이후 [[솔안터널]]이 개통될 때까지 영동선의 수송을 감당하게 된다.
**[[8월 12일]] : [[서울역|서울]]-[[여수역|여수]]간 직통 급행열차 풍년호 운행
**[[8월 20일]] : [[서울교외선|능의선]] [[가능역|가능]]-[[의정부역|의정부]]간 5.4km가 마저 개통되면서 운수영업 개시
**[[9월 1일]] : [[철도청]] 발족. 초대 철도청장에 박형훈, 철도청차장에 임승일 취임
**[[12월 31일]] : 철도청 휘장 새로 제정
*[[1964년]]
**[[5월 1일]] : 월간 종합 교양지 "한국 철도" 창간
**[[11월 26일]] : 대통령령 1992호에 의해 "철도의 날"이 제정됨
*[[1965년]]
**[[1월 27일]] : 철도간호학교 1기 졸업식
*[[1966년]]
**[[1월 19일]] : [[예미역]] 구내에서 [[예미역|예미]]-[[민둥산역|증산]]-[[고한역|고한]]간 30km구간의 [[태백선|정선선]] 개통식이 거행되었다. 이 노선은 이후 [[태백선]]의 기반이 된다.
**[[1월 27일]] : [[경북선]] [[점촌역|점촌]]-[[예천역|예천]]간 28.9km가 개통됨
**[[3월 11일]] : [[경부선]] 화물열차 수출호 운행 개시
**[[4월 1일]] : [[중앙선]]에 건설호, [[호남선]]에 증산호 특별 화물열차 운행
**[[7월 21일]] : 특급 맹호 [[서울역|서울]]-[[부산역|부산]]간 첫 운행. 이 때 주월 한국군 사령관인 채명신 장군에게 먕호 열차 명명판을 증정하였다.
**[[7월 30일]] : 철도여행 기념 스탬프 제정
**[[11월 1일]] : 대한민국에 방한한 미국 존슨대통령이 특별열차를 이용하였다.
**[[11월 9일]] : [[경북선]] [[예천역|예천]]-[[영주역|영주]]간 29.7km구간이 개통되었다.
*[[1967년]]
**[[1월 20일]] : [[정선선|태백선]] [[민둥산역|증산]]-[[정선역|정선]]간 24km의 구간이 개통됨. 이후 이 구간은 [[고한역|고한]]-[[태백역|황지]]간 구간이 개통되면서 [[정선선]]으로 명칭이 변경되게 된다.
**[[3월 30일]] : [[철도고등학교]] 개교
**[[8월 30일]] : [[서울역]]에서 [[증기기관차]]의 종운식 거행
**[[9월 1일]] : 특급 [[비둘기호]] [[서울역|서울]]-[[부산진역|부산진]]간 첫 운행, 소화물 전용 급행열차 운행
*[[1968년]]
**[[2월 7일]] : [[경전선]] 개통식 거행. 기존에 있던 [[진주역|진주]]-[[순천역|순천]]간 80.5km구간의 진주선과 [[광주선]] 중 [[순천역|순천]]-[[송정리역|송정리]]간 구간을 경전선에 통합함
**[[6월 7일]] : [[중앙선]] 망우사령실에서 [[CTC]](열차 집중 제어장치)의 시운전 실시
**[[10월 22일]] : [[중앙선]] [[망우역|망우]]-[[봉양역|봉양]]간 CTC 및 [[경부선]] [[영등포역|영등포]]-[[대전역|대전]]간 ABS장치 개통식
*[[1969년]]
**[[2월 10일]] : 특급 [[관광호]]가 특 1등칸 1량, 1등칸 8량, 식당차 1량, 발전차 1량, 총 11량 1편성으로 [[서울역|서울]]-[[부산역|부산]]간 첫 운행. 동시에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의 특금열차 3등석 폐지
**[[2월 14일]] : [[서울역]]의 서부역사 준공, 영업개시
**[[2월 21일]] : 특급 청룡호를 보통급행으로 격하 운행. 당시 경부선 소요시간은 6시간 50분이었다.
**[[4월 5일]] : 열차자동정지장치 [[ATS]]가 [[경부선]]에 설치 완료됨. 이 당시 총 설치 공사비는 당시 금액으로 2억 7,400만원이었다.
**[[5월 15일]] : [[경부선]]과 [[호남선]]에 열차 무선전화가 개통되었다.
**[[6월 20일]] : [[문경선]] [[진남신호소]]-[[문경역|문경]]간 10.6km가 개통되면서 여객열차 3왕복이 신설되어 운행을 시작하였다.
**[[6월 28일]] : [[경인선]] [[서울역|서울]]-[[인천역|인천]]간 복선 38.7km구간이 개통되었다. 또한 이날 이전에 복구공사에 들어갔던 [[한강철교]]의 A, B선의 공사가 완료되었다.
==1970년대==
==1970년대==
*[[1970년]]
**[[6월 8일]] : [[서울특별시]] 지하철건설본부 설립.
**[[12월 23일]] : [[철도청]]의 청사가 용산센터에서 교통센터로 이전됨
*[[1971년]]
**[[4월 7일]] :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서울]]-[[수원역|수원]], [[인천역|인천]] 구간의 전철화공사 착공
**[[4월 12일]] :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서울]]-[[청량리역|청량리]] 구간 착공.
**[[9월 15일]] : 광복 이후 처음으로 570개 열차의 다이아가 전면 개정됨. 또한 철도청에서는 컴퓨터{{ㅈ|유니백 9400}} 가동식을 거행하였다.
*[[1972년]]
**[[2월 25일]] : 서울 시내 철도 안내전화를 "칙칙폭폭"에서 딴 7788번으로 설치. 당시 전화번호는 42-7788, 22-7788, 93-7788번이었다.
**[[3월 17일]] : [[프랑스]]의 알스톰사에서 최초의 [[전기기관차]]인 [[8000호대 전기기관차]]를 도입하였다. 당시 도입 물량은 66량.
**[[3월 31일]] : [[협궤]]인 [[수려선]] 73.4km구간이 폐선되었다.
**[[9월 18일]] : 국제규격의 컨테이너 화물수송이 시작되었다.
*[[1973년]]
**[[2월 28일]] : [[태백선]] 구간의 [[정암터널]] 4,505m가 순수 국내 기술진에 의해 관통됨. 정암터널은 국내 기술로 개통한 최초의 장대터널이다.
**[[6월 20일]] : [[중앙선]] [[청량리역|청량리]]-[[제천역|제천]]간 155.2km가 전철화 개통됨.
*[[1974년]]
**[[1월 23일]] : 100만km {{ㅊ|고지달성}}무사고 첫 주파자 탄생.(이동진 기관사)
**[[4월 15일]] : 서울특별시 지하철건설본부의 명칭이 지하철본부로 변경.
**[[7월 17일]] : [[경인선]]에서 [[수도권 전철]]의 시험운전 시작
**[[8월 15일]] :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서울]]-[[청량리역|청량리]], [[경부선]] [[서울역|서울]]-[[수원역|수원]], [[경인선]] [[인천역|인천]]-[[구로역|구로]], [[경원선]] [[청량리역|청량리]]-[[광운대역|성북]]을 통합하는 수도권 광역전철 개통. 같은 날 [[경부선]]의 관광호를 [[새마을호]]로, 특급열차인 상록, 비둘기, 통일, 은하호를 [[통일호]]로 통합하였으며, 호남선에서는 태극호, 백마호를 풍년호로, [[전라선]]에서는 풍년호를 증산호로 변경하였으며, [[중앙선]]에서는 십자성호를 약진호로, [[장항선]]은 부흥호로 개칭되었다.
**[[10월 1일]] : [[군자차량기지]] 착공.
*[[1975년]]
**[[4월 4일]] : 철도승차권 전화예약제 실시
**[[10월 1일]] : [[노량진역]]에 철도시발기념비가 제막되었다.
**[[12월 5일]] : [[동해역|북평역]]에서 산업선 전철{{ㅈ|[[중앙선]], [[태백선]], [[영동선]] 총 320.8km}}의 전통식이 거행되었다. 같은 날 [[태백선]] [[고한역|고한]]-[[백산역|백산]] 및 [[영동선]] [[철암역|철암]]-[[동해역|북평]]간 구간이 개통되었다.
*[[1977년]]
**[[4월 6일]] : 대우중공업에서 국내 최초로 국산전동차{{ㅈ|[[8000호대 전기기관차]] 후기형}} 1편성이 제작되어서 시험운행을 시작하였다.
**[[11월 11일]] : [[익산역|이리역]] 구내에서 [[이리역 폭발|화약 적재열차 폭발]]로 [[호남선]], [[전라선]]이 불통되었다. 당시 이 사고로 인한 사망자만 59명, 중경상 1,300여명이 발생하고 철도인은 16명이 순직, 50여명이 중경상을 입는 사상 최악의 철도 사고였다.
**[[12월 15일]] : [[마산시]] 도시계획 촉진책으로 [[구마산역]], [[마산역]], [[북마산역]]을 통폐합하여 [[마산역|마산 3역 통합역사]] 준공 및 영업개시
*[[1978년]]
**[[5월 5일]] : [[어린이날]]을 기념하여 [[대통령]] 지시사항으로 [[제주도]]와 [[흑산도]]에 [[증기기관차]]와 객차가 영구 전시된다.
**[[11월 10일]] : [[이리역 폭발|폭발]]로 무너졌던 [[익산역|이리역]]이 신축되었다.
*[[1979년]]
**[[9월 18일]] : [[7300호대 디젤기관차|국산 디젤기관차]] 첫 운행식. 이 차량은 [[현대로템|현대차량]]에서 미국 GM과 기술제휴로 제작한 기관차이다.
==1980년대==
==1980년대==
*[[1980년]]
**[[4월 10일]] : 국산 [[새마을호]] 신형동차를 대우중공업에서 제작
**[[8월 10일]] : [[김포선]]이 폐선되고 [[경춘선]]의 성북-성동 구간이 폐선되었다.
**[[10월 17일]] : [[충북선]]의 복선개통
*[[1981년]]
**[[9월 1일]] :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 창립
**[[10월 1일]] : [[새마을호]] 승차권의 전산발매 실시. 부산-경주간 증기관광열차 운행
**[[10월 15일]] : 철도기념관 개관
*[[1982년]]
**서울-수원관 직통 전동열차 운행
*[[1984년]]
**[[1월 1일]] : 열차 명칭을 다음과 같이 개정하였다. [[새마을호]]→[[새마을호]], 우등→[[무궁화호]], 특급→[[통일호]], 보통→[[비둘기호]]
**[[7월 20일]] : [[오봉역|남부화물기지]] 내 컨테이너기지 준공
*[[1985년]]
**[[6월 11일]] : 새마을호 승차권 검표제 폐지
**[[7월 19일]]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 개통([[범내골역|범내골]]-[[범어사역|범어사]])
**[[11월 15일]] : [[호남선]] [[익산역|이리]]-[[정읍역|정주]간 43.9km 개통식
*[[1986년]]
**[[2월]] : [[철도고등학교]] 폐교
**[[9월 2일]] : [[경원선]] 복선전철 [[광운대역|성북]]-[[의정부역|의정부]]간 13.1km 개통
*[[1988년]]
**[[1월 26일]] : [[철도박물관]] 개관
**[[7월 1일]]
***"표 파는 곳"을 "표 사는 곳"으로 표기 개정
***부산교통공단을 창단하여 [[부산 지하철]]의 운영기관으로 하였다.
**[[7월 17일]] : [[한일공동승차권]] 발매 개시
*[[1989년]]
**[[3월 25일]] : [[서울역]] 민자역사 전면 개관
**[[9월 18일]] : 철도회원카드 가입자를 대상으로 승차권 전화예약제를 실시하였다.
**[[10월 1일]] : 지하철-버스 환승승차권제 실시
==1990년대==
==1990년대==
*[[1991년]]
**[[2월 1일]] : [[수도권]] 모든 전철역에 자동개집표기 설치
**[[5월 4일]] : [[영등포역]] 민자역사 완공 및 개관
**[[8월 1일]] : [[용산역|용산]]-[[광운대역|성북]]간 [[경원선]] 열차 운행을 디젤동차에서 전동차로 교체하여 운행
**[[11월 23일]] : [[경인선]] 복복선 기공식 및 [[영등포역|영등포]]-[[구로역|구로]]간 3복선 개통식 거행
*[[1992년]]
**[[6월 20일]] : [[경부고속철도]] 1단계 구간(천안-대전간 57.8km) 착공
**[[6월 30일]] : [[경부고속철도]] 기공식
**[[7월 10일]] : [[경부선]] CTC전통
**[[12월 1일]] :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여성전용차량 시범운용
*[[1993년]]
**[[5월 20일]] : [[새마을호]] 열차에서의 개집표를 생략함(전국 15개 주요역)
**[[10월 28일]] : [[철도기술연구소]] 설립 현판식
**[[12월 10일]] : [[새마을호]]의 개집표 생략을 전국 모든 역에서 시행하며, [[무궁화호]], [[통일호]], [[비둘기호]]는 개표만 하고 집표는 생략함
*[[1994년]]
*[[1994년]]
**[[3월 15일]] : [[서울도시철도공사]] 창립.
**[[3월 15일]]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창립.
**[[4월 1일]] : [[과천선]] 복선전철 [[금정역|금정]]-[[사당역|사당]]간 15.7km 전구간 개통. 그러나 이 구간은 희대의 막장구간인 [[꽈배기굴]]을 낳게 되었다.
**[[8월 1일]] : [[PC통신]]을 통한 철도정보안내 서비스 개시
**[[8월 3일]] : 중국산 [[증기기관차]] SY-11호 텐더형 도입
**[[8월 21일]] : 주말관광열차로 [[증기기관차]]의 운행이 [[교외선]] [[서울역|서울]]-[[의정부역|의정부]]간 48.3km구간을 [[무궁화호]] 객차 4량 편성으로 운행을 재개됨
**[[12월 16일]] : [[경부고속철도]]의 객차 모형이 이듬해 1월 15일까지 한달간 [[서울역]] 광장에 전시됨
*[[1995년]]
**[[4월 28일]] : [[대구 도시철도 1호선|대구지하철]] 공사현장에서 [[대구 지하철 공사장 가스 폭발|가스 폭발]]로 101명 사망, 145명 부상
**[[5월 1일]] : 열차 승차권의 [[신용카드]] 판매 실시(14개역 20개 창구)
**[[11월 20일]] : 대구광역시 지하철공사 창립(현 [[대구도시철도공사]])
**[[12월 31일]] : 마지막 [[협궤]]노선이던 [[수인선]]의 열차 고별운행
*[[1996년]]
**[[1월 30일]] : [[일산선]] 복선전철 [[지축역|지축]]-[[대화역|대화]]간 19.2km 개통
**[[2월 27일]] : 드라마 [[모래시계]]의 인기에 힘입어 [[정동진역]]에 해돋이 관광열차가 운행되었다.
*[[1997년]]
**[[3월 13일]] : 탄력운임제 실시
**[[3월 28일]] : [[영동선]] [[영주역|영주]]-[[철암역|철암]]간 87km구간의 전철화 개통 완료
**[[5월 26일]] : [[한중공동승차권]] 발매협약 조인
**[[6월 16일]] : [[경원선]]과 [[교외선]]에 [[통근형 통일호]]의 운행 개시
**[[11월 26일]]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 [[진천역|진천]]-[[중앙로역|중앙로]]간 10.3km 개통
*[[1998년]]
**[[4월 15일]] : [[인천지하철공사]] 창립
**[[6월 22일]] : 전철용 [[교통카드|RF카드]] 확대 시범운영
**[[7월 31일]] : [[철도청]] 서울청사 퇴청식
**[[8월 8일]] : [[철도청]] 대전청사 개청식
**[[12월 13일]] : [[환상선 눈꽃순환열차]] 첫 운행
**[[12월 15일]] : [[새마을호]]에 [[자유석]] 제도 도입 및 [[코레일패스]](자유이용권) 제도 시행
*[[1999년]]
**[[7월 20일]] : 승용차와 승객을 함께 싣고 가는 복합수송열차 일명 [[카레일]]이 [[광운대역|성북]]-[[강릉역|강릉]]간 첫 운행
**[[8월 1일]] : 철도 [[민영화]] 추진팀 운영
**[[9월 11일]]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승차권 발매 개시
**[[9월 14일]] : 사이버객차와 바둑객차 운행 개시
**[[9월 18일]] : 한국철도 100주년 철도의 날 기념식
**[[10월 6일]]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박촌역|박촌]]-[[동막역|동막]]간 개통


==2000년대==
==2000년대==
*[[2000년]]
**[[1월 1일]]
***기존의 5개의 지방 철도청을 폐지하고 17개 지역관리역 체제로, 본청의 4국 2본부 2담당관 1과 체제에서 11본부 3실 체제로 대대적인 조직개편을 함
***기차표 발매 실명제 실시(매표 담당자의 이름을 승차권이 인쇄하여 발매)
**[[1월 20일]] : [[교통카드|버스카드]]로 수도권 전철 이용 가능. 단 이 당시에는 인천지하철은 제외되었었음)
**[[2월 1일]] : 3월 1일 승차분부터 [[한중공동승차권]] 발매개시
**[[2월 26일]] : 한국철도 캐릭터 [[치포치포]] 발표. 그러나 이 캐릭터는 이후 공사화 되면서 묻혀져버렸다.
**[[4월]] : 국내 최초 "한국 철도지도" 발간
**[[5월]] : 철도회원 전용 홈페이지 바로타 닷컴 개설(www.barota.com)
**[[7월 1일]] : [[교외선]] 관광열차용 [[증기기관차]] 운행중지
**[[9월 18일]] : [[경의선]] 철도, 도로연결 기공식
**[[11월 14일]] [[정선선]] [[민둥산역|증산]]-[[구절리역|구절리]]간 운행되던 [[비둘기호]]의 운행 중단으로 비둘기호 열차가 역사 속으로 사라짐
*[[2001년]]
**[[2월 5일]] : 철도고객센터 개관, 철도안내전화와 철도회원 예약전화를 각각 1544-7788과 1544-8545로 통합
**[[3월 23일]] : 철도 승차권의 인터넷결제 실시
**[[9월 30일]] : [[경의선]] 철도의 운행을 [[임진강역]]까지로 연장하여 운행함
*[[2002년]]
*[[2002년]]
** [[4월 11일]] : 임진강 ~ [[도라산역]] 개통 및 운행개시.
**[[2월 12일]] ; [[경의선]] 망배 특별열차를 [[도라산역]]까지 운행 및 [[도라산역]] 현판식 거행. 이 망배특별열차는 1952년 이후 [[임진강철교]]를 건건 최초의 여객열차이다.
** [[4월 12일]] : [[KTX-I]] 국산제작 1호차<ref>KTX 13호</ref> 출고.
**[[2월 20일]] : [[김대중]] 대통령 및 미국 [[부시]] 대통령의 [[도라산역]] 방문. 이 때 대통령 전용열차인 [[경복호]]가 첫 선을 보였다.
** [[9월 18일]] : [[경의선]] 및 [[동해선]] 철도∙도로 연결 착공식.
**[[4월 11일]] : 임진강 ~ [[도라산역]] 개통 및 운행개시.
** [[11월 30일]] : [[고양고속철도차량기지]] 준공.
**[[4월 12일]] : [[KTX-I]] 국산제작 1호차<ref>KTX 13호</ref> 출고.
* [[2003년]]
**[[5월 2일]] : [[중앙선]] [[덕소역|덕소]]-[[원주역|원주]]간 복선전철 기공식
**[[2월 18일]] : [[대구 지하철 참사]].
**[[9월 18일]] : [[경의선]] 및 [[동해선]] 철도∙도로 연결 착공식.
** [[4월 30일]] : [[경부선]] [[수원역|수원]] ~ [[병점역|병점]] 복선전철 개통.
**[[11월]] : [[광주교통공사]] 창립
** [[5월 13일]] : [[경부고속선]] 1단계 구간 시운전 개시.
**[[11월 30일]] : [[고양고속철도차량기지]] 준공.
** [[6월 14일]] : [[경의선]] 및 [[동해선]] 남북철도 연결 기념식.
*[[2003년]]
** [[11월 16일]] : [[대한민국]] [[고속철도]] 명칭을 [[KTX]]로 확정 발표.
**[[2월 18일]] : [[대구 지하철 참사]]로 192명 사망, 148명 부상
** [[12월 26일]] : [[8200호대 전기 기관차]] 도입.
**[[4월 30일]] : [[경부선]] [[수원역|수원]] ~ [[병점역|병점]] 복선전철 개통.
**[[5월 13일]] : [[경부고속선]] 1단계 구간 시운전 개시.
**[[6월 14일]] : [[경의선]] 및 [[동해선]] 남북철도 연결 기념식.
**[[10월 23일]] : [[KTX]]차량 최초 인수(7호기)
**[[11월 16일]] : [[대한민국]] [[고속철도]] 명칭을 [[KTX]]로 확정 발표.
**[[11월 17일]] : [[KTX]] [[서울역|서울]]-[[부산역|부산]] 전구간의 시험운행 완료
**[[11월 28일]] : [[KTX]] 국내생산분 34개편성의 재작완료 출고식
**[[12월 26일]] : [[8200호대 전기기관차]] 도입.
*[[2004년]]
*[[2004년]]
**[[1월 1일]] : [[서울역]] 신역사 준공. [[한국철도시설공단]] 설립.
**[[1월 1일]] : [[서울역]] 신역사 준공. [[한국철도시설공단]] 설립.
**[[3월 24일]] : [[호남선]] 복선전철 준공 및 [[호남고속철도]] 개통식.
**[[3월 24일]] : [[호남선]] 복선전철 준공
**[[3월 26일]] : [[KTX-I]] 차량 인수완료.<ref>KTX 46호</ref>
**[[3월 26일]] : [[KTX-I]] 차량 인수완료.<ref>KTX 46호</ref>
**[[3월 30일]] : [[경부고속철도]] 1단계 개통식.
**[[3월 30일]] : [[경부고속철도]] 1단계 개통식.
**[[4월 1일]] : [[경부고속철도]][[호남고속철도]]가 개통되면서 본격적인 [[고속철도]] 시대가 열리다.
**[[3월 31일]] : [[CDC]]를 제외한 통일호 열차의 전면 운행 중단.
**[[4월 1일]] : [[KTX]]가 개통되면서 본격적인 [[고속철도]] 시대가 열리다.
**[[4월 14일]] : [[KTX]] 이용객 100만명 돌파.
**[[4월 14일]] : [[KTX]] 이용객 100만명 돌파.
**[[4월 28일]]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구간 [[녹동역|녹동]]-[[상무역|상무]]간 개통. 이 광주 지하철은 전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최초의 노선이다.
**[[8월 20일]] : [[KTX]] 이용객 1,000만명 돌파.
**[[8월 20일]] : [[KTX]] 이용객 1,000만명 돌파.
**[[12월 1일]] : [[경춘선]] 신남역의 역명이 [[김유정역]]으로 변경.<ref>인명을 역명으로 표기한 최초 사례</ref>
**[[12월 1일]] : [[경춘선]] 신남역의 역명이 [[김유정역]]으로 변경.<ref>인명을 역명으로 표기한 최초 사례</ref>
**[[12월 16일]] : [[천안아산역|천안]]-[[신탄진역|신탄진]] 구간에서 한국형 고속전철 [[HSR-350X]]의 시속 350km 시험운행 성공. 당시 최고속력은 352.4km/h였으며, 국산화율은 87%였다. 이 기술은 이후 [[KTX-산천]]의 기술적 기반이 된다.
*[[2005년]]
*[[2005년]]
**[[1월 1일]] : [[한국철도공사]] 출범.
**[[1월 1일]] : [[한국철도공사]] 출범.
**[[9월 8일]] : [[영동선]] [[동해역|동해]] ~ [[강릉역|강릉]] 전철화 완료.
**[[1월 20일]] : [[경부선]] [[병점역|병점]]-[[천안역|천안]]간 8개역 47.9km 구간의 복복선 개통
**[[4월 1일]] : 홈티켓 서비스 시행. 처음에는 KTX만 시행하였으나 1달 뒤인 5월 1일 무궁화호와 새마을호에도 확대하여 시행하게 된다.
**[[7월 1일]] : [[정선선]] [[아우라지역|아우라지]]-[[구절리역|구절리]]간 [[레일바이크]] 운영
**[[8월 1일]] : KTX특송 서비스 시행
**[[9월 8일]] : [[영동선]] [[동해역|동해]]-[[강릉역|강릉]] 전철화 완료.
**[[10월 27일]] :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의 사명이 [[서울메트로]]로 변경.
**[[10월 27일]] :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의 사명이 [[서울메트로]]로 변경.
**[[12월 10일]] : [[KTX]] 이용객 5,000만명 돌파.
**[[12월 10일]] : [[KTX]] 이용객 5,000만명 돌파.
**[[12월 16일]] : [[중앙선]] [[청량리역|청량리]]-[[덕소역|덕소]]간 7개역 17.2km구간의 복선전철화 완료
**[[12월 27일]] : [[경부선]] [[병점역|병점]] ~ [[천안역|천안]] 복선전철 개통.
**[[12월 27일]] : [[경부선]] [[병점역|병점]] ~ [[천안역|천안]] 복선전철 개통.
**[[12월 28일]] : [[용산역]] 민자역사 완공.
**[[12월 28일]] : [[용산역]] 민자역사 완공.
*[[2006년]]
*[[2006년]]
**[[1월 1일]] : [[부산교통공사]] 창립.
**[[1월 1일]] : [[부산교통공사]] 창립.
**[[3월 16일]]
***[[대전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 [[판암역|판암]]-[[정부청사역|정부청사]]간 12개역 개통
***[[경의선]], [[동해선]] CIQ준공
**[[5월 1일]] : 철도 소화물 취급 중단.
**[[5월 1일]] : 철도 소화물 취급 중단.
**[[12월 8일]] : [[경부선]] 전 구간 복선전철화 완료.
**[[12월 8일]] : [[경부선]] [[조치원역|조치원]]-[[동대구역|동대구]]간 전철화가 완료되면서 전 구간 복선전철화 완료.
**[[12월 15일]] : [[경부고속선]] [[금천구청역|시흥]]-[[광명역|광명]]간 4.7km구간 개통. 동시에 [[용산역|용산]]-[[광명역|광명]]간 셔틀열차를 운행하였으나 [[공기수송]]의 대명사가 되어버림
*[[2007년]]
*[[2007년]]
**[[3월 23일]] : [[인천국제공항철도]] 1단계 구간<ref>[[인천국제공항역|인천국제공항]] ~ [[김포공항역|김포국제공항]]</ref> 개통.
**[[3월 23일]] : [[인천국제공항철도]] 1단계 구간<ref>[[인천국제공항역|인천국제공항]] ~ [[김포공항역|김포국제공항]]</ref> 개통.
**[[4월 21일]] : [[KTX]] 이용객 1억명 돌파.
**[[4월 21일]] : [[KTX]] 이용객 1억명 돌파.
**[[5월 7일]] : [[한국철도공사]]의 커뮤니케이션 명칭을 '''코레일'''로 통합.
**[[5월 7일]] : [[한국철도공사]]의 커뮤니케이션 명칭을 '''코레일'''로 통합.
**[[6월 1일]] : [[경부고속철도]] 기존선 경유 운행계통<ref>[[대전역|대전]] ~ [[김천역|김천]] ~ [[구미역|구미]] ~ [[동대구역|동대구]]</ref> 개시.
**[[5월 17일]] : 남북철도 연결구간 열차 시험운행{{ㅈ|[[경의선]] [[문산역|문산]]-[[개성역|개성]] 27.3km는 남측 문산역에서 기념행사 후 개성역까지 왕복운행, [[동해선]] [[제진역|제진]]-[[금강산역|금강산]] 25.5km구간은 북측 금강산역에서 기념행사 후 제진역까지 왕복운행}}
**[[6월 1일]] : 경부선 [[KTX]] 기존선 경유 운행계통<ref>[[대전역|대전]] ~ [[김천역|김천]] ~ [[구미역|구미]] ~ [[동대구역|동대구]]</ref> 개시.
**[[7월 1일]]
***대중교통 환승할인 확대 시행
***구 [[서울역]] 건물이 [[등록문화재]]로 [[문화재청]]에 귀속됨
**[[7월 16일]] : [[바다열차]]가 3량 1편성으로 개조완료.
**[[12월]] : KTX캐릭터 KTX-Mini의 탄생. 이 덕분에 기존 철도청 캐릭터인 치포치포는 완전히 잊혀졌다. [[안습]]
**[[12월 11일]] : [[경의선]] [[문산역|문산]] ~ [[봉동역|봉동]] 간 화물열차 운행개시.
**[[12월 11일]] : [[경의선]] [[문산역|문산]] ~ [[봉동역|봉동]] 간 화물열차 운행개시.
**[[12월 28일]] : [[금강하구둑]]을 경유하는 군산 ~ 장항간 철도연결 완료.
**[[12월 28일]] : [[금강하구둑]]을 경유하는 군산 ~ 장항간 철도연결 완료.
*[[2008년]]
**[[3월 20일]] : [[포항역|포항]]-[[삼척역|삼척]]간 연결을 위한 [[동해선|동해중부선]] 기공식
**[[9월 20일]] : 대중교통 환승할인 확대 시행
**[[10월 1일]] : 대구광역시 지하철공사의 사명을 [[대구도시철도공사]]로 변경
**[[11월 25일]] : [[KTX-산천|신규고속차량]] 1호기 낙성식
**[[12월 15일]] : [[장항선]] [[천안역|천안]]-[[신창역|신창]]간 6개역 19.4km구간의 복선전철화 완료
*[[2009년]]
**[[3월 26일]] : [[누리로|간선형 전기동차]](TEC)의 최초 도입
**[[6월 1일]] : 간선형 전기동차 [[누리로]]의 [[서울역|서울]]-[[신창역|신창]]간 첫 영업운행
**[[7월 23일]] : [[호남고속선]] 착공식
**[[7월 24일]] : [[서울 지하철 9호선]] 1단계 구간([[개화역|개화]]-[[신논현역|신논현]]) 개통
**[[9월 12일]] : [[에코레일 자전거열차]] 운행
**[[9월 17일]] : 공항철도주식회사의 주식매매계약 체결로 코레일의 자회사가 됨. 이후 11월 30일 사명을 코레일공항철도(주)로 변경하게 된다.
**[[12월 19일]] : [[KTX]] 이용객 2억명 돌파
==2010년대==
*[[2010년]]
**[[1월 2일]] : [[신동화물선]], [[부강화물선]] 개통
**[[1월 21일]] : [[경부선]] [[당정역]] 개업
**[[2월 18일]] : [[서울 지하철 3호선]] 오금 연장([[수서역]] ~ [[오금역]]) 개통
**[[2월 24일]]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서대신역, 동대신역, 토성역, 남포역, 중앙역, 초량역, 좌천역, 범일역, 부전역, 연산역, 명륜역, 장전역, 구서역, 남산역, 노포역 15개역에서 '동' 삭제 및 교대역과 부산대역을 '~대앞역'에서 '~대역'으로 개칭.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연산동역을 [[연산역]]으로 개칭
**[[2월 26일]] : [[병점기지선]] [[서동탄역]] 개업
**[[3월 2일]] : 한국형 고속전철 [[KTX-산천]] 상업운행 개시
**[[6월 24일]] : [[신광양항선]] ([[초남신호장]] ~ [[신광양항역]]) 개통
**[[8월 9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성내역을 [[잠실나루역]]으로 개칭
**[[8월 20일]] : [[청량리역]] 환승 통로 개통 및 일반철도 청량리역 민자역사 준공
**[[11월 1일]] : [[경부고속선]] 2단계 구간(대구북연결선-부산연결선) 개통 및 [[오송역]], [[김천(구미)역]] 개업
**[[11월 30일]] : [[부산신항선]] 복선, 비전철 개통([[진례역]]과 함께 개통)
**[[12월 15일]] : 경전선 [[낙동강역]] ~ [[마산역]] 복선전철화 및 낙동강 - [[삼랑진역]] 전철화(단선유지), [[미전선]] 복선전철화 완료, 마산행 [[KTX]] 운행 개시, 이설되기 전 [[경전선]] 구간 중 [[창원역]] ~ [[덕산역]] 구간을 [[덕산선]]으로 개칭(나머지 구간 폐선)
**[[12월 21일]] : [[경춘선]] 복선전철화 완료 및 [[수도권 전철 경춘선]] 개통. 이에 따른 [[광운대역|성북역]](현 광운대역) ~ [[퇴계원역]] 구간 폐선 및. [[신공덕역]], [[화랑대역]] 폐지. [[중앙선]] [[상봉역]], [[오빈역]] 개업
**[[12월 29일]] : [[인천국제공항철도]] [[김포공항]] ~ [[서울역]] 개통([[공덕역]] 제외) 및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 연장 운행. 직통열차도 이 때 정차역이 김포공항 - 인천국제공항에서 서울 - 인천국제공항으로 바뀜


==2010년대==
*[[2011년]]
**[[3월 30일]]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개통. 대한민국 최초의 유료 [[경전철]]이다.
**[[3월 31일]] : [[중앙선]] [[제천역]] ~ [[도담역]] 복선전철화 완료
**[[4월 5일]] : [[전라선]] [[신풍역 (여수)|신풍역]], [[미평역]], [[만성역]] 폐지
**[[4월 7일]] : [[대구선]] 복선전철화 사업 착공
**[[5월 9일]] : [[전라선]] [[송천역]] 폐지
**[[5월 13일]] : [[전라선]] [[춘포역]], [[아중역]] 폐지
**[[5월 18일]] : [[경전선]] · [[덕산선]] [[용강역]] 개업
**[[5월 25일]] : [[경전선]] · [[전경삼각선]] [[평화신호장]] 개업
**[[5월 28일]] : [[경전선]] [[순천역]] ~ [[광양역]] 단선 신선 개통 및 [[광양역]] 이전
**[[6월 29일]] : 집중호우로 이설 공사가 진행되던 [[경원선]] [[월계역]] ~ [[녹천역]]구간 주변의 산사태로 사상자 발생
**[[7월 28일]] : 집중호우로 [[경원선]]의 초성철교가 유실이 되어 [[통근열차]] 운행이 중단됨
**[[9월 16일]] : [[부산-김해경전철]] 개통 ([[9월 9일]]부터 8일간 무료시승)
**[[10월 1일]] : [[전라선]]의 여수역을 여수엑스포역으로 개칭
**[[10월 4일]] : [[수도권 전철 중앙선]] 시간표 개정 및 6량 1편성으로 감축
**[[10월 5일]] : [[전라선]] [[동산역]] ~ [[여천역]] 복선전철화 완료 및 [[익산역]] ~ 동산역, 여천 ~ [[여수엑스포역]] 단선전철화 완료 및 여수행 [[KTX]] 운행 개시
**[[10월 28일]] : [[신분당선]]([[강남역]] ~ [[정자역]]) 개통
**[[10월 31일]] : [[전경삼각선]] 개통
**[[11월 21일]] : [[경전선]] [[순천역]] ~ [[광양역]] 복선화 완료
**[[11월 30일]] : [[전라선]] [[익산역]] ~ [[동산역]] 복선화 완료
**[[12월 1일]] : [[부산신항선]] 전철화 완료
**[[12월 21일]] : [[중앙선]] [[간현역]] 폐지
**[[12월 28일]] : [[분당선]] [[죽전역 (용인)]] ~ [[기흥역]] 개통 및 지상 [[보정역]] 폐역(지하로 이전) 및 경원대역이 [[가천대역]]으로 개칭
 
*[[2012년]]
**[[2월 27일]] : [[수도권 전철 경춘선]] 급행열차 마지막 운행
**[[2월 28일]] : [[경춘선]]에 [[ITX-청춘]] 운행 개시
**[[3월 21일]] : [[경원선]](동두천-신탄리) [[통근열차]] 재개
**[[6월 21일]] : [[경전선]] [[순천역]] ~ [[광양역]] 전철화 완료
**[[6월 27일]] : [[영동선]] 스위치백 구간 이설([[솔안터널]] 개통) 및 이에 따른 [[통리역]], [[심포리역]], [[흥전역]] [[나한정역]] 폐지
**[[6월 30일]] : [[수인선]] [[오이도역]] ~ [[송도역]] 개통 및 광역전철 운행 개시. [[안산선]] 공단역을 [[초지역]]으로 개칭
**[[7월 1일]] : [[의정부경전철]] 개통
**[[9월 19일]]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영남대역]] 연장([[사월역]] ~ 영남대역) 개통
**[[9월 25일]] : [[중앙선]] [[용문역 (양평)|용문역]] ~ [[서원주역]] 구간 복선전철화 완료 및 [[서원주역]] 개업
**[[10월 6일]] : [[분당선]] [[왕십리역]] ~ [[선릉역]] 개통
**[[10월 23일]] : [[경전선]] [[마산역]] ~ [[진주역]] 복선화 완료, 및 이에 따른 마산역 ~ 진주역 구간이 이설되어 [[산인역]], [[원북역]], [[평촌역 (진주)|평촌역]], [[진주수목원역]], [[진성역]], [[갈촌역]], [[남문산역]], [[개양역]] 폐지
**[[10월 27일]] : [[서울 지하철 7호선]] 부평구청 연장([[온수역]] - [[부평구청역]]) 개통
**[[11월 20일]] : [[경원선]] [[신탄리역]] ~ [[백마고지역]] 구간 복원 및 [[통근열차]] 연장 운행
**[[12월 1일]] : [[분당선]] [[기흥역]] ~ [[망포역]] 개통
**[[12월 5일]] : [[경전선]] [[마산역]] ~ [[진주역]] 전철화 완료. 진주행 [[KTX]] 운행 개시
**[[12월 13일]] : 인천항 인입 화물삼각선 개통(화물열차 운행에 따른 교통체증 완화 및 [[수인선]] 재개통 대비)
**[[12월 15일]] : [[용산선]] [[공덕역]] ~ [[가좌역]] 개통, [[경춘선]] [[별내역]] 개업
 
*[[2013년]]
**[[1월 1일]] : [[신항남선]] 개통
**[[1월 5일]] : 동차형 [[새마을호]]가 운행을 중지했다.
**[[1월 31일]] : [[신항북선]] 개통
**[[2월 25일]] : 성북역을 [[광운대역]]으로 개칭
**[[3월 28일]] : [[영주댐]] 건설로 인하여 [[중앙선]]의 수몰될 구간인 [[문수역]] ~ [[마사역]] 구간 이설 및 [[승문역]], [[평은역]] 폐지
**[[4월 12일]] : [[중부내륙순환열차]], [[백두대간협곡열차]] 운행 개시
**[[4월 26일]] : [[용인경전철]] 개통
**[[9월 27일]] : [[남도해양열차]] 운행 개시
**[[11월 4일]] : [[6월 18일]]에 시작하여 [[9월 30일]]에 마친 [[망우선]] 개량 공사 완료로 [[수도권 전철 경춘선]] 주중 1일 2회에 한하여 [[광운대역]]까지 연장 운행
**[[11월 14일]] : [[태백선]] [[제천역|제천]] ~ [[쌍용역|쌍용]]간 복선전철사업 완료, 및 이에 따른  제천역 ~ [[입석리역]] 구간이 이설되어 [[장락역]], [[송학역]] 폐지
**[[11월 20일]] : [[중앙선]] 구둔역을 [[일신역]]으로, 판대역을 [[삼산역]]으로 개칭
**[[11월 30일]] : [[분당선]] [[망포역]] ~ [[수원역]] 개통, [[경춘선]] [[천마산역]] 개업
**[[12월 26일]] : [[서울 지하철 4호선]] 미아삼거리역을 [[미아사거리역]]으로 개칭
**[[12월 28일]] : [[경춘선]] [[신내역]] 개업
 
*[[2014년]]
**[[2월 28일]]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서문시장역을 신남역으로 개칭
**[[4월 15일]] : [[영동선]] [[비동역]] 개업
**[[4월 20일]] : [[스카이큐브]](순천만 PRT) 개통
**[[5월 2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상왕십리역]]에서 239편성과 212편성이 추돌 사고가 발생
**[[5월 4일]] : [[경의선]]([[문산역]] ~ [[도라산역]]) [[통근열차]] 폐지. 대신 [[서울역]] ~ [[도라산역]]을 다니는 [[평화열차]]가 운행 됨
**[[5월 24일]] : [[서울 지하철 9호선]] [[마곡나루역]] 개업
**[[6월 21일]] : [[인천국제공항선]] [[청라국제도시역]] 개업
**[[6월 30일]] : [[수색직결선]] 개통으로 [[KTX]] 일부 열차가 수색직결선을 통해 [[인천국제공항선]]의 [[검암역]], [[인천국제공항역]]에 정차한다.
**[[7월 4일]] : [[영동선]] 망상해수욕장역 개업
**[[8월 1일]] : [[경원선]] [[평화열차]]([[서울역]] ~ [[백마고지역]]) 운행 개시
**[[8월 25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영등포-병점역구간 급행열차
**[[9월 15일]] : [[경강선]](원주~강릉) 공사로 [[강릉역]] 운영 중지, 여객 임시 종착역을 [[정동진역]]으로, 화물 종착역을 [[안인역]]으로 이관
**[[9월 20일]] : [[용인경전철]]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 시행
**[[10월 25일]] : [[경의선]] [[강매역]] 개업
**[[10월 30일]] : [[서울 지하철 7호선]] 석남 연장([[부평구청역]] - 석남역) 착공
**[[11월 1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라바]] 열차 운행 개시 (201편성) [[2015년]] [[5월 31일]]까지 운행
**[[12월 5일]]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문전역을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으로 개칭
**[[12월 27일]] : [[용산선]] [[공덕역]] ~ [[용산역|용산역]] 구간 개통. 이와 함께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 [[경의·중앙선]]으로 통합 및 시간표 개정, [[수인선]] [[달월역]], [[일산선]] [[원흥역]] 개업
 
*[[2015년]]
**[[1월 12일]] : [[서울 지하철 7호선]] 라바 열차 운행 개시 (770편성) [[2016년]] [[7월 10일]]까지 운행
**[[1월 22일]] : [[정선아리랑열차]] 운행 개시
**[[2월 1일]] : [[진해선]] 정기 여객열차 운행 중지.
**[[2월 5일]] : [[서해금빛열차]] 운행 개시
**[[2월 12일]] : [[부산-김해경전철]] 봉황(전하)역을 [[봉황역|봉황]](김해여객터미널)역으로, 수로왕릉(김해여객터미널)역을 [[수로왕릉역|수로왕릉]](김해보건소)역으로 개칭
**[[2월 24일]] : [[평택선]], [[평택삼각선]], [[평택직결선]] 개통
**[[3월 28일]] : [[서울 지하철 9호선]] 2단계 구간([[신논현역]] ~ [[종합경기장역 (서울)|종합경기장역]]) 개통
**[[4월 1일]] : [[광주역]]행 [[KTX]] 운행 종료
**[[4월 2일]] : [[호남고속선]] 1단계 구간([[오송역]] ~ [[광주송정역]]), [[동해선]]([[모량신호장]] ~ [[포항역]]), [[건천연결선]] 개통
**[[4월 23일]]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
**[[8월 1일]] : [[경부고속선]] 대전·대구 도심구간 개통 및 대전북연결선, 대구남연결선이 경부고속선 본선으로 편입
**[[9월 24일]]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증산역 (양산)|증산역]] 개통
**[[10월 31일]] : [[경의선]] [[야당역]] 개업, [[노량진역]] 환승 통로 개통
**[[12월 24일]] : [[부산-김해경전철]] 코코몽 열차와 터닝메카드 열차 운행 개시 2016년 1월 31일까지 운행
 
*[[2016년]]
**[[1월 30일]] : [[신분당선]] 남부 연장([[정자역]] ~ [[광교역]]) 개통
**[[2월 1일]]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경인선 용산-동인천 급행에 [[제물포역]], [[개봉역]] 추가 정차
**[[2월 3일]]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인천국제공항역]] - [[용유역]]) 개통
**[[2월 27일]] : [[수인선]] [[송도역]] ~ [[인천역]] 개통 및 광역전철 연장 운행
**[[3월 26일]] :  [[인천국제공항선]] [[영종역]] 개통
**[[3월 29일]] : [[경인선]] [[구일역]] 서부역사(출구) 개통
**[[4월 28일]] : [[경북선]] [[예천역]]~[[어등역]] 구간 이설 완료
**[[4월 30일]] : [[용산선]] [[효창공원역]] 개통
**[[9월 24일]] : [[판교역]]과 [[여주역]]을 연결하는 수도권 전철 [[경강선]] 개통.
**[[12월 9일]] : [[수서역|수서]]~[[지제역|평택]]간을 연결하는 [[수서평택고속선]] 및 [[SRT]]가 정식 개통었다.
**[[12월 29일]] : [[부전역]]과 [[일광역]]을 연결하는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
*[[2017년]]
**[[1월 21일]] : [[경의·중앙선]] 지평역까지 연장 개통.
**[[5월 31일]] : 서울 지하철 양대 운영사였던 [[서울메트로]]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를 통합한 [[서울교통공사]] 출범.
**[[9월 2일]] : [[우이신설선]] [[북한산우이역|북한산우이]]~[[신설동역|신설동]] 구간 개통.
**[[9월 18일]] : [[중앙선 기관차 추돌 사고]] 발생.
**[[12월 22일]] : [[경강선]] 원주~강릉 구간 ([[서원주역]]~[[강릉역]]) 개통.
 
*[[2018년]]
**[[1월 13일]] :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공항2터미널역]] 개통.
**[[1월 26일]] : [[동해선]] [[포항역]]~[[영덕역]] 구간 개통.
**[[4월 28일]] : [[신분당선]] [[미금역]] 개통.
**[[4월 30일]] : 구형 [[새마을호]] 열차 정기 운행에서 퇴역. <ref>[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4/04/2018040400040.html <nowiki>[NOW] '아날로그 시대 특급열차' 옛 새마을호, 추억 속으로</nowiki>], [[조선일보]]</ref>
**[[5월 9일]] : [[철도의 날]] 날짜를 6월 28일로 변경. <ref>[http://www.electimes.com/article.php?aid=1525826416157222013 정부, ‘철도의 날’ 6월 28일로 변경], [[전기신문]]</ref>
**[[6월 16일]] : [[서해선]] [[소사역]]~[[원시역]] 구간 개통.
**[[9월 29일]] : [[인천국제공항선]] [[마곡나루역]] 개통.
**[[12월 1일]] : [[서울 지하철 9호선]] [[종합운동장역]]~[[중앙보훈병원역]] 구간 개통.
**[[12월 31일]] : [[분당선]] [[왕십리역|왕십리]]~[[청량리역|청량리]] 구간 개통.<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0552707 분당선, 오늘부터 청량리역까지 다닌다] 연합뉴스</ref>
*[[2019년]]
**[[9월 28일]] : [[김포골드라인]] 개통.
**[[10월 8일]] : [[월미바다열차]] 개통.
**[[12월 21일]] : [[서울 지하철 6호선]] [[신내역]] 개통.
 
== 2020년대 ==
*[[2020년]]
**[[3월 28일]] : [[경의·중앙선]] [[문산역|문산]]~[[임진강역|임진강]] 구간 및 [[동해선]] [[부산원동역]] 개통.
**[[8월 8일]] : [[하남선]] [[미사역]], [[하남풍산역]] 개통.
**[[9월 12일]] : [[수인·분당선]] [[수원역|수원]]~[[오이도역|오이도]] 구간 개통.
*[[2021년]]
**[[3월 27일]] : [[하남선]] [[강일역]], [[하남시청역|하남시청]]~[[하남검단산역|하남검단산]] 구간 개통.
**[[5월 22일]] : [[서울 지하철 7호선]] [[부평구청역|부평구청]]~[[석남역|석남]] 구간 개통.
**[[10월 30일]] : [[탕정역]] 개통.
**[[12월 18일]] : [[서울 지하철 8호선]] [[남위례역]] 개통.
**[[12월 28일]] : [[동해선 광역전철]] [[일광역|일광]]~[[태화강역|태화강]] 구간 개통.
*[[2022년]]
**[[3월 19일]] : [[진접선]] 개통.
**[[3월 31일]] : [[경부선]] [[서대구역]] 개통.
**[[5월 28일]] : [[신림선]] 및 [[신분당선]] [[강남역|강남]]~[[신사역|신사]] 구간 개통.
*[[2023년]]
**[[7월 1일]] : [[수도권 전철 서해선|서해선]] [[소사역|소사]]~[[대곡역 (고양)|대곡]] 구간 개통.
**[[8월 26일]] : [[수도권 전철 서해선|서해선]] [[대곡역 (고양)|대곡]]~[[일산역|일산]] 구간 개통.


{{주석}}
{{주석}}
{{연표}}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

2023년 11월 27일 (월) 23:35 판

대한민국의 철도 역사에 관련한 연표

1800년대

  • 1877년
    • 2월 : 수신사 김기수, 일동기유에서 일본 철도 시승기 소개
  • 1894년
    • 7월 : 주미 대리공사 이하영이 귀국시 철도 모형도를 가져와 고종에게 관람시키면서 철도의 필요성을 주장
    • 8월 1일 : 청일전쟁의 발발로 일본은 서울-인천간 군용철도를 부설하기 위해 철도기사를 보내 철도부지를 사전 답사하게 함
  • 1896년
    • 3월 29일 : 조선 정부, 경인철도의 부설권을 미국인 제임스 R. 모스에게 특허
    • 7월 3일 : 조선정부, 경의철도의 부설권을 프랑스 피브릴르사에게 특허
    • 7월 17일 : 농상공부에서 국내철도규칙 7조를 제정하여 공포함. 이 때 궤간을 4척8촌5푼(1435mm)의 표준궤로 정함
  • 1897년
  • 1898년
    • 5월 10일 : 모스, 경인선을 경인철도인수조합에 양도(당시 금액으로 1,702,452원 75전)
    • 6월 3일 : 박기종이 부산-낙동강 하단에 이르는 부하철도 부설권을 취득
    • 7월 6일 : 농상공부에 철도사를 설치함. 이후 철도사는 철도국으로 개정됨
    • 9월 : 광궤였던 국내 철도의 5척 궤간을 다시 4척8촌5푼의 표준궤로 환원
    • 9월 8일 : 경부철도합동조약의 체결로 경부선 부설허가
  • 1899년

1900년대

1910년대

1920년대

1930년대

1940년대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

각주

  1. 대한제국정부를 의미
  2. 정확히는 가영업운전임
  3. 실제 통감부의 개청은 이보다 조금 뒤인 1906년 2월 1일이다.
  4. 수원 인근
  5. 현재의 장춘
  6. 광복 당시 철도 현황은 영업거리 6,362km, 기관차 1,166대, 객차 2,027량, 화차 15,352량, 역 수는 762개소였다. 이 중 남한 철도의 현황은 총연장 3,738km, 영업거리 2,642km, 기관차 488대, 객차 1,280량, 화차 8,424량, 동차 29량, 역 수는 300개소였다.
  7. 당시 사설철도의 길이는 표준궤구간 416.5km, 협궤구간 125.3km였다.
  8. 6.25 전쟁 철도 피해상황 : 터널 4,935m(6%), 선로 329,480m(7.5%), 신호 및 보안장치 20%, 급탄설비 38개소(40%), 전기신호장비 56%, 역건물 41%, 공장설비 27%, 기관차 51%, 교량 9,351m(12%), 노반 100,000m(3%), 급수시설 26개소(25%), 전신전화시설 50%, 전력설비 56%, 선로 부대건물 39%, 자재 80%, 객차 50%, 화차 34%
  9. 전란 중 UN군이 사용하다 휴전후 ICA 원조계획에 의해 이양됨
  10. 재건호, 통일호 341, 32, 9, 10열차의 2등차 및 침대차
  11. 유니백 9400
  12. 중앙선, 태백선, 영동선 총 320.8km
  13. 8000호대 전기기관차 후기형
  14. KTX 13호
  15. KTX 46호
  16. 인명을 역명으로 표기한 최초 사례
  17. 인천국제공항 ~ 김포국제공항
  18. 경의선 문산-개성 27.3km는 남측 문산역에서 기념행사 후 개성역까지 왕복운행, 동해선 제진-금강산 25.5km구간은 북측 금강산역에서 기념행사 후 제진역까지 왕복운행
  19. 대전 ~ 김천 ~ 구미 ~ 동대구
  20. [NOW] '아날로그 시대 특급열차' 옛 새마을호, 추억 속으로, 조선일보
  21. 정부, ‘철도의 날’ 6월 28일로 변경, 전기신문
  22. 분당선, 오늘부터 청량리역까지 다닌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