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근열차

KORAIL CDC.jpg

통근열차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는 열차의 이름이다. 2004년 4월 1일부터 통일호를 대체하는 열차로 신설되었다. 광역전철이 연장되거나 새마을호 또는 무궁화호로 대체되면서 운행량이 많이 줄어들었다.

광역전철이 운행하지 않는 곳에 광역 교통망을 공급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2004년 4월 1일: 등급 신설 (폐지된 통일호의 동차형 열차를 이용)[1][2]
  • 일자 불명: 대구선(동대구~포항) 계통 신설 (새마을호에서 격하)[3][4]
  • 2005년 7월 1일: 포스코 통근열차 운행 중지[5][6][7]
  • 2006년 11월 1일: 경전선, 진해선, 호남선, 동해남부선[8][9] 계통 운행 중지[10]
  • 2006년 12월 15일: 경원선 계통의 운행 구간을 동두천~신탄리로 축소
  • 2007년 1월 10일: 반환수수료 폐지[11]
  • 2007년 6월 1일: 대구선 계통 운행을 4회로 축소[12]
  • 2008년 1월 1일: 군산선,[13] 정선선, 대구선 계통 운행 중지[14][15]
  • 2009년 7월 1일: 경의선 계통의 운행 구간을 문산~도라산으로 축소
  • 2012년 11월 20일: 경원선 계통의 운행 구간을 동두천~백마고지로 연장
  • 2014년 5월 1일: 경의선 계통 운행 중지

차량[편집 | 원본 편집]

계통[편집 | 원본 편집]

포항제철선 (2201~2210)
포스코 통근열차로도 알려졌으며, 포항역~제철역 구간을 4량 1편성으로 운행했다. 1975년 7월 1일 운행을 시작했으며, 열차는 포스코철도청에 기부채납한 니가타 디젤 동차 2량이었다. 열차의 노후화로 도시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로 교체하였다.[16]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 포항 - 양학동 - 효자 - 제철
경전선 (2121~2122)
대구역~마산역 구간을 4량 1편성으로 운행했다. 2006년 11월 1일 폐지되었으며 무궁화호로 대체하여 운행한다.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 대구 - 동대구 - 경산 - 남성현 - 청도 - 신거 - 상동 - 밀양 - 낙동강 - 한림정 - 진영 - 덕산 - 창원 - 마산
경전선 (2125~2126)
마산역~순천역 구간을 3량 1편성으로 운행했다. 2006년 11월 1일 폐지되었으며 무궁화호로 대체하여 운행한다.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 마산 - 중리 - 산인 - 함안 - 군북 - 원북 - 평촌 - 반성 - 진성 - 갈촌 - 남문산 - 개양 - 진주 - 유수 - 완사 - 다솔사 - 북천 - 양보 - 횡천 - 하동 - 진상 - 옥곡 - 골약 - 광양 - 순천
호남선 (2129, 2130)
광주역~목포역 구간을 4량 1편성으로 운행했다. 2006년 11월 1일 폐지되었으며 무궁화호로 대체하여 운행한다.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 광주 - 송정리 - 노안 - 나주 - 다시 - 고막원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임성리 - 목포
경전선 (여수 2133~2134, 순천 2135~2136)
순천역·여수역(현 여수엑스포역)~목포역 구간을 3량 1편성으로 운행했다. 2006년 11월 1일 폐지되었으며 무궁화호로 대체하여 운행한다.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 (여수 - 미평 - 여천 - 덕양 - 율촌) - 순천 - 원창 - 구룡 - 벌교 - 조성 - 예당 - 득량 - 보성 - 광곡 - 명봉 - 도림 - 이양 - 입교 - 석정리 - 능주 - 만수 - 화순 - 앵남 - 남평 - 효천 - 서광주 - 송정리 - 노안 - 나주 - 다시 - 고막원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임성리 - 목포
동해남부선 (2144~2146)
부전역~월내역 구간을 4량 1편성으로 운행했다. 2006년 11월 1일 폐지되었으며 무궁화호로 대체하여 운행한다.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 부전 - 거제 - 남문구 - 동래 - 안락 - 재송 - 수영 - 우일 - 해운대 - 송정 - 기장 - 일광 - 좌천 - 월내
진해선 (2181~2184)
마산역~통해역 구간을 3량 1편성으로 운행했다. 2006년 11월 1일 폐지되었으며 새마을호로 대체 운행하다가 2015년 2월 1일 운행을 중단했다.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 마산 - 창원 - 신창원 - 남창원 - 성주사 - 경화 - 진해 - 통해
대구선 (2101~2120)
동대구역~포항역 구간을 4량 1편성으로 운행했다. 2008년 1월 1일 폐지되었으며 무궁화호로 대체 운행한다.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 동대구 - 동촌 - 반야월 - 청천 - 하양 - 금호 - 봉정 - 영천 - 임포 - 아화 - 건천 - 모량 - 금장 - 경주 - 나원 - 청령 - 사방 - 안강 - 양자동 - 부조 - 효자 - 포항
군산선 (2193~2198)
익산역~군산역(현 군산화물역), 익산역~전주역, 전주역~익산역~군산역 총 3개의 계통이 모두 3량 1편성으로 운행했다. 2008년 1월 1일 폐지되었으며 무궁화호새마을호로 대체 운행한다. (단, 전주 ↔ 군산은 미운행)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 전주 - 송천 - 동산 - 삼례 - 동익산 - 익산 - 오산리 - 임피 - 대야 - 개정 - 군산 (익산 ↔ 군산 · 전주의 경우 익산행이 상행)
정선선 (열번미상)
증산역(현 민둥산역)~아우라지역 구간을 4량 1편성으로 운행했다. 2008년 1월 1일 폐지되었으며 무궁화호로 대체 운행하다가, 2015년 1월 22일 정선아리랑열차로 대체 운행한다. 다른 계통과 달리 '기관차 + 무궁화호 또는 새마을호 객차 2대' 로 운행했다.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 증산 - 별어곡 - 선평 - 정선 - 나전 - 아우라지
경의선 (2001~2040)
서울역~도라산역 구간을 운행하다가, 2009년 7월 1일 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으로 문산역~도라산역 구간으로 운행을 단축했다. 2014년 5월 1일부터는 평화열차 DMZ로 운행이 대체되어 완전히 폐지되었다.
대부분 5량 1편성으로 운행했지만, 일부 서울~임진강 열차는 5량 1편성 2대가 중련 운행했다.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 서울 - 신촌 - 가좌 - 수색 - 화전 - 강매 - 행신 - 능곡 - 대곡 - 곡산 - 백마 - 일산 - 탄현 - 운정 - 금릉 - 금촌 - 월롱 - 파주 - 문산 - 운천 - 임진강 - 도라산 (단축 전)
  • 문산 - 운천 - 임진강 - 도라산 (폐지 전)
경원선 (2751~2764)
동두천역~백마고지역 구간을 운행한다. 개통 당시에는 의정부역~신탄리역 구간을 운행했지만, 2006년 12월 15일 1호선 소요산역 연장 개통으로 동두천역~신탄리역으로 단축되었다. 그 후 백마고지역2012년 11월 20일 개업하여, 백마고지역까지 운행을 연장하였다. 경원선 동두천~연천 구간의 복선전철화 공사로 운행이 중단되었다.
열차번호는 2041~2074 이었다가, 2008년 1월 1일 열차번호 개정 이후 현재처럼 바뀌었다.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 동두천 - 소요산 - 초성리 - 한탄강 - 전곡 - 연천 - 신망리 - 대광리 - 신탄리 - 백마고지
광주선 (2751~2780)
2020년 1월 1일부터 운행을 시작하여 도시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가 모두 퇴역한 2023년 12월 17일까지 운행했다. 원래 무궁화호가 운행하였지만, 경원선 통근열차가 전철화 공사 때문에 운행을 중지하여 열차가 남아 무궁화호를 대체했다. 구성은 1편성 3량이었다.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 광주송정 - 극락강 - 광주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