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선

대구선
나라 대한민국
종류 일반철도(지선)
번호 30210
구간 가천 ~ 영천
영업거리 26.1 km
역 수 6개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개통일 1917년 12월 24일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2
전기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신호 ATS, ATP

가천역영천역 사이를 잇는 지선 철도로, 경부선과 중앙선 간 연결선 역할을 한다. 이 구간만 운행하는 열차는 없고 주로 경부선이나 중앙선, 동해선 등의 편성계통에 끼여 운행한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사철시대[편집 | 원본 편집]

대구선은 일제강점기의 조선중앙철도 주식회사의 경편철도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1916년에 국철 경부선 대구역을 기점으로 하여 동해안 포항을 지나 학산에 이르는 노선과, 도중 경주에서 분기하여 울산을 경유, 동래에 이르는 노선, 그리고 울산에서 장생포에 이르는 구간을 갖춘 131.9마일, 궤간 2피트 6인치(762mm 협궤), 동력방식은 증기인 철도로 부설허가를 받은 것이 시초이다[1]. 다만 당시에는 대구선이라는 이름이 없이 조선중앙철도, 줄여서 중철 또는 중앙철도 등으로 불리웠다[2][3]

이후 1917년 2월에 기공하여 건설에 착수, 같은해 11월에 하양 까지의 구간을 개업하였고, 1918년에는 경주 서악에서 분기하여 불국사포항까지의 구간을 완공, 개업하여 현재의 대구선 구간에 해당하는 협궤노선의 골간이 완성되었다. 이후 조선중앙철도는 1919년에 포항~학산까지의 구간을 완공하고, 현재 동해남부선에 해당하는 불국사~울산 간의 구간은 1921년에 완공하였다.

이후 1923년에 대합동으로 조선중앙철도를 포함한 사철 6개사가 조선철도 주식회사로 합병되면서 해당 노선은 경동선(慶東線)이라는 선명을 부여받았다. 이후 조선국유철도12년 계획에 의해 매수선으로 지정되어, 1928년 7월 1일에 총독부 철도국에 인수되었다.

개궤 및 노선명 부여[편집 | 원본 편집]

이후 경동선은 협궤인 상태로 남겨져 있었으나, 1935년 9월에 표준궤로의 개궤 공사에 착수하여, 1938년 7월 1일에 영천까지의 구간을 완공하였고, 이후 1939년 6월 1일에 경주까지 개궤를 완공하였다. [4] 이 개궤는 중앙선 건설에 호응하여, 대구 및 부산 방향으로의 직결운행을 수행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었다. 개궤 이후 경경선의 대구~영천 구간을 대구선으로 재명명하게 된다.

이설 및 복선전철화[편집 | 원본 편집]

대구선은 이후 경부선의 지선으로서 중앙선 및 동해남부선을 연계하는 일종의 연결선으로 유지되었다. 이후 포항, 울산의 공업생산이 확대되면서 대구선은 동남권의 석유, 화학, 철강 제품을 수도권으로 수송하는 화물수송 루트로 활용되었다. 이후 1970년에는 대구역의 저탄장, 목재하치장 등 화물기능을 이전받는 역으로 반야월역이 결정되어[5], 이후 경북선, 태백선, 영동선으로부터의 석탄운송 열차 또한 집중되게 되었다.

이후 도시지역 통과로 인한 민원을 해소하기 위해서 동대구~청천구간의 이설이 대구시로부터의 수탁 형태로 추진되어, 1997년에 11월 19일에 기공되었다. 이후 2005년 11월 3일에 현재의 가천, 금강 경유의 신규 노선이 개업하게 되었다. 그러나, 반야월역에 위치한 연료단지에의 석탄 수송이 유지되고 있어서 기존 대구선이 구대구선이라는 이름으로 2008년 5월 15일까지 유지되었다.

한편으로, 대구선 이설에 이어서 대구선을 고규격의 복선전철로 개량하는 사업이 추진되었다. 이를 통해 동해축의 간선철도 기능을 확보하고, 대구, 경산, 영천간의 광역철도망을 구축하여 지역주민의 교통편의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사업 추진은 상당히 지연되어 2011년 4월 7일에서야 착공되었고, 당초 2017년 정도에는 개통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2021년에 이르러서야 겨우 사용개시에 이르렀으며, 전차선 등의 전력설비는 2021년 연말에 정식 개통될 예정이다.

연혁[편집 | 원본 편집]

운행[편집 | 원본 편집]

무궁화호[편집 | 원본 편집]

무궁화호지역간 수송(Regional)을 주로 담당하는 열차로, 현재 대구선을 경유하는 열차는 다음과 같다. 정차역은 주요역만을 나열하였으며, 기울임체를 사용한 역은 중앙선동해선 구간이다. 운행횟수는 구간운행 열차를 포함한다.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 ●: 모든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km 정거장 연계 노선 소재지
0.0 가천 경부선 (연결) 수성구
4.3 금강 동구
8.1 청천 경산시
13.6 하양 1호선 (예정)
18.7 금호 영천시
23.9 (분기점) 영천삼각선 (연결)
26.1 영천 중앙선 (연결)

폐역[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철도청(1999). "한국철도100년사". pp.443.
  2. '중철궤도 확대'. 동아일보, 1920년 4월 9일 보도.
  3. '중앙철도 양선 개통'.동아일보, 1921년 10월 30일 보도.
  4. 한국철도공사(2010). "철도주요연표". pp. 76.
  5. '현대구역 폐쇄키로 하역시설 등 교외로'. 매일경제, 1970년 9월 28일 보도.
  6.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7. 중앙선 역은 유지
  8. 국토교통부고시 제2021-860호
  9. 전구간은 3왕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