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공화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3번째 줄: 13번째 줄:
김종필이 중앙정보부 부장으로 실권을 행사했다. 당시 검찰보다 중앙정보부의 수사권이 우위인 등 중앙정보부의 권력이 막강했다. 김종필은 민주공화당 창당의 주역이기도 하다. 김종필은 기존의 정치인에 대해 배제적 조치를 취했다. 기존 정치인의 공민권(정치 참여 권리)를 박탈했다.  
김종필이 중앙정보부 부장으로 실권을 행사했다. 당시 검찰보다 중앙정보부의 수사권이 우위인 등 중앙정보부의 권력이 막강했다. 김종필은 민주공화당 창당의 주역이기도 하다. 김종필은 기존의 정치인에 대해 배제적 조치를 취했다. 기존 정치인의 공민권(정치 참여 권리)를 박탈했다.  


그런데 결과적으로 공화당은 김종필의 노력과 달리 나머지 정당을 압도하는 패권정당이 되지 못했다.  
그런데 결과적으로 공화당은 김종필의 노력과 달리 나머지 정당을 압도하는 패권정당이 되지 못했다. 이후 국회의원 선거에서 공화당 의석비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등의 현상이 나타났다. 이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우선 민주당의 지역 하부 조직이 활성화되어 있어 민주당 조직의 해체가 어려웠다. 때문에 방향을 바꿔 공민권을 다시 회복시키는 등 민주당을 회유하는 전략을 취하게 된다.
   
   
==사회==
==사회==

2016년 6월 17일 (금) 17:12 판

1961년 5.16 군사정변으로 제2공화국이 사라진 후, 과도기적 통치기구인 국가재건최고회의에서 기존 내각책임제대통령 중심제 및 국민의 직접선거를 골자로한 제5차 헌법개정 이후 대한민국 제5대 대통령선거를 통해 대통령에 당선된 박정희 정권을 의미한다. 이 헌정체제는 이른바 10월 유신으로 불리는 제7차 헌법개정 이전까지 지속되었다.

개요

5.16 군사정변의 과업을 완수한다는 명목으로 헌법의 효력까지 정지시키며 초월적 권한을 행사한 국가재건최고회의제5차 헌법개정을 통해 대통령 중심제와 국민의 직접선거를 확정하였다. 이후 치뤄진 대한민국 제5대 대통령선거에서 제4대 대통령 출신의 윤보선과 군부 출신 민주공화당박정희가 격돌했다. 투표결과 박정희는 46.6%를 획득해 45.1%를 획득한 윤보선에게 1.5%의 매우 적은 득표율 차이로 겨우 승리했다. 두 후보의 표차는 15만 6026표에 불과했던 것이다. 이는 한국의 대통령 선거사상 가장 적은 표차였다. 이로서 군사 쿠데타로 정권을 차지한 박정희는 국민투표라는 정당한 절차를 거쳐 대한민국 제5대 대통령에 취임하였고, 제3공화국 시대가 열렸다.

정치

김종필이 중앙정보부 부장으로 실권을 행사했다. 당시 검찰보다 중앙정보부의 수사권이 우위인 등 중앙정보부의 권력이 막강했다. 김종필은 민주공화당 창당의 주역이기도 하다. 김종필은 기존의 정치인에 대해 배제적 조치를 취했다. 기존 정치인의 공민권(정치 참여 권리)를 박탈했다.

그런데 결과적으로 공화당은 김종필의 노력과 달리 나머지 정당을 압도하는 패권정당이 되지 못했다. 이후 국회의원 선거에서 공화당 의석비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등의 현상이 나타났다. 이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우선 민주당의 지역 하부 조직이 활성화되어 있어 민주당 조직의 해체가 어려웠다. 때문에 방향을 바꿔 공민권을 다시 회복시키는 등 민주당을 회유하는 전략을 취하게 된다.

사회

경제

취임 이후, 박정희 정권은 무엇보다도 낙후된 대한민국의 경제를 끌어올리는 데 국력을 집중했다. 제2공화국 시절 계획되었던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본격적으로 실행하였다.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의 결과로서 산업의 대동맥인 경부고속도로가 건설되었고, 도로항구, 공항 등의 사회간접자본을 확충하여 전국 1일 생활권의 기치를 실현하려 노력했다. 이후 지속적인 경제 개발 정책 및 간척 사업 과 식물 품종 계량으로 농업 생산 증대에도 기여했다.

외교

남북 관계

한미 관계

한중 관계

한일 관계

기타

평가

긍정적

부정적

사건/사고

이 시기를 다룬 대중매체

1993년 2월 7일부터 1993년 8월 1일까지 문화방송에서 방영하였던 드라마이다.

각주

틀:대한민국 현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