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空港, Airport)은 여객기나 화물기 등 상업용 항공기의 운항을 위해 필요한 제반 시설물을 갖춘 대규모 비행장을 의미한다. 간단한 활주로만 갖춘 소규모 비행장은 영어로 Air strip이라 칭하며, 철저히 군용기만 취급하는 경우 Air base라 칭하는 등 규모나 활용 목적에 따라 명칭이 달라진다.
공항의 종류[편집 | 원본 편집]
운항 노선에 따른 분류[편집 | 원본 편집]
- 국제공항(International Airport)
- 국제선을 운항하는 항공기를 취급한다. 보통 국제공항이라 하더라도 해당 국가의 국내선도 취급하는 경우가 대다수일 것이다. 특히 한 나라의 수도나 경제적 중심지 인근에 건설된 국제공항은 그 나라의 관문 역할을 한다고 여겨질 정도로 수많은 내·외국인들의 입출국이 이뤄지며, 해당 국가를 방문한 외국인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기기 위하여 세련된 외관이나 인테리어를 꾸며놓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국내선 전용공항(Domestic Airport)
- 국제공항이 국내선을 같이 취급하는 경우가 많지만, 지방 소도시 공항들은 국내선만 취급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또는 국제선 노선이 취항했다가 수요 부족 등 다양한 이유로 단항해서 국제공항 명칭을 걸었지만 실질적으로는 국내선 전용으로 운용되는 경우도 존재한다. 우리나라의 김포국제공항의 경우, 인천국제공항이 개항하면서 국제선을 모두 인천공항에 이관하고 국내선 전용으로 운용했던 시기가 있었지만, 수도 서울에 인접한 접근성 및 중국이나 일본 등 상대적으로 단거리 국제선에 대한 수요가 높아져서 현재는 중국, 대만, 일본에 취항하는 셔틀 노선들이 부활하여 국제공항 기능이 복원된 사례가 있다.
취급하는 항공기에 따른 분류[편집 | 원본 편집]
- 민간 공항
- 순수하게 여객과 화물 등 민간 상업용 항공기만 취급하는 공항이다. 전 세계 대다수의 공항들이 해당한다.
- 민·군 공동사용 공항
- 대부분 군 전용 기지에 민간 항공기가 취항하면서 여객 터미널 등이 들어온 경우이다. 대한민국의 경우 굉장히 흔하게 접할 수 있는데 이는 영토가 좁아 마땅히 공항을 신설하기 곤란한 사정[1]을 타파하기 위하여 기존 군 공항에 겸사겸사 여객 터미널을 건설하고 민항기를 취항시켜서 군용 기지의 활주로를 공유하는 개념이 접목되었기 때문이다. 아무래도 군 기지인 특성상 보안 문제 및 유사시 군용기에 대한 우선권이 주어져 민항기 이착륙이 후순위로 밀리는 등 변수는 존재한다.
- 군사 공항
- 대부분 공군 기지에 해당하며, 육군이나 해군도 전용 비행장을 갖춘 경우가 있다. 특별한 사정이 있지 않으면 민항기의 이착륙이 허용되지 않으며[2], 일반인의 기지 출입도 철저히 통제된다.
주요 시설[편집 | 원본 편집]
- 활주로
- 공항의 알파이자 오메가. 다른 부대 시설이 생략되는 경우가 있지만 항공기 이착륙에 필수적인 활주로가 없는 공항은 존재하지 않으며 애초에 공항이라고 불릴 수도 없다. 부수적으로 헬리콥터 이착륙을 위한 헬리패드가 설치된 경우도 있다.
- 여객 터미널
- 여객기를 이용하려는 승객들에게 각종 편의와 수속을 위한 시설물이 설치된 건물.
- 유도로
- 항공기 이착륙을 수행하는 활주로와 여객 터미널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설치된 도로. 보통 항공기들이 자체 동력으로 이동하는 행위인 택싱을 수행하는 구간이다.
- 주기장
- 운항을 마친 항공기들이 다음 운항을 준비하면서 머무르는 일종의 주차장과 유사한 공간이다. 여기에서 간단한 일상 정비 및 점검 등을 수행한다.
- 격납고
- 외부에 노출된 주기장과 다르게 지붕이 설치된 거대한 시설이다. 주기장이 주차장이라면, 격납고는 정비소 개념에 해당한다. 군용 격납고는 지붕이 둥글게 설계되어 이글루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부대 시설[편집 | 원본 편집]
- 세관 (국제공항)
- 출입국 심사대(국제공항)
- 보안 검색대
- 검역소
- 면세점
- 주차장
당연한 얘기지만 위의 시설들 중 활주로를 제외한 일부가 빠지거나 활주로만 대충 지어놓고 공항이라 우기는 경우도 꽤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