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기등대

Pikabot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5월 11일 (수) 17:03 판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동구 \(([^)]*)\) +[[\1 동구))
울기등대
울기등대.JPG
울기등대의 구등탑과 신등탑 모습. 앞쪽이 구등탑이고 뒤쪽의 높은 등탑이 신등탑이다
등대 정보
번호 1357 / M4394
위치 울산광역시 동구 일산동
35°29′33.8″N 129°26′32.7″E
등고 53m
높이 구등탑 6m
신등탑 24m
관할기관 울산지방해양수산청
점등일자 1906년 3월 24일
광파표지 10초 1섬백광 / 26해리50km / 명호: 184~014º
음파표지 Horn 50초 1회(취명 5초, 정명 45초
울기등대(구등탑)
문화재 정보
종목 등록문화재 제106호
구성 등대 1동(6m)
위치 울산광역시 동구 일산동
지정일 2004년 9월 4일
소유 울산지방해양수산청
관리 울기항로표지관리소

개요

러일전쟁 당시 일본은 해상권 장악을 위하여 한반도독도를 비롯한 대한제국의 영토 곳곳에 등대를 설치하게 된다. 이 울기등대가 위치한 곳도 그 중 하나로 1904년 당시에는 목재 장대인 등간을 설치하여 운영하다가 1905년 전쟁이 종료된 이후 대한제국 정부에 해당 시설을 인도하였었다. 1906년 3월 대한제국 정부는 러일전쟁 당시 급조된 전국의 항로표지 32곳을 정비하여 개축하기 시작하였으며 그 중 하나인 이 울기등대는 1910년 기존의 나무등간이 높이 6미터의 백색 8각형의 콘크리트 탑으로 개축되어 동해안의 항로표지 역할을 하게 되었다.

현재 사용중인 신등탑은 구등탑 주변의 해송림이 자라면서 바다에서 등대의 불빛이 보이지 않게 되자 약 50미터 떨어진 곳에다 24미터의 등탑을 신축하여 건설한 것이다. 이 등대가 자리한 곳 바로 앞바다는 문무대왕비릉으로 알려져 있는 대왕암[1]으로, 일본인들이 러일전쟁 당시 등대를 설치할 당시에는 울산의 끝자락이라는 의미로 울기(蔚埼)라고 불렀으나 이 지명이 일제시대의 잔재라는 의견이 제기되어서 주민 의견 등을 수렴하여 등대 점등 100주년에 한자를 蔚氣로 변경하였다.

구등탑

대한제국 당시 건축된 6미터의 등탑으로 당시 근대 건축기법이 잘 나타나 있어 보존가치가 높다. 특이한 점은 등대 입구가 아치형으로 되어있는데 이러한 형태는 동일하게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목포구등대와 거의 같은 모습이다.

각주

  1. 경주 감포 앞바다의 문무대왕릉과는 다른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