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미니카 페소: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F|f)(I|i)(L|l)(E|e): +[[\1파일:))
 
39번째 줄: 39번째 줄:
=== 2000년 이후 : 현행권 ===
=== 2000년 이후 : 현행권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File:DOP309.jpg]]
![[파일:DOP309.jpg]]
![[File:DOP349.jpg]]
![[파일:DOP349.jpg]]
![[File:DOP389.jpg]]
![[파일:DOP389.jpg]]
|-
|-
| 2000 ~ 2010<br />구권 / 페소 오로 (Pesos Oro, $10 ~ $2,000)
| 2000 ~ 2010<br />구권 / 페소 오로 (Pesos Oro, $10 ~ $2,000)

2023년 9월 8일 (금) 03:44 기준 최신판

도미니카 페소
Peso Dominicano 페소 도미니카노es
BCRDHorizonalogo.png
화폐 정보
사용국 도미니카공화국
ISO DOP
기호 $ (RD$)
보조단위
1/100 센타보(Centavo, ¢)[1]
지폐 $50, $100, $200, $500, $1000, $2000
동전 $1, $5, $10, $25
중앙은행 도미니카공화국 중앙은행 (Banco Central de la República Dominicana)
환율 23원/$ (2020.03.20 기준)
이전 화폐

프랑스어 : Peso Dominicain 페소 도미니깐

개요[편집 | 원본 편집]

도미니카 페소(Dominican Peso)는 아이티와 같이 입주(?)하고 있는 히스파니올라 섬의 동편에 있는 도미니카공화국의 페소계 통화이다. 국명만 같을 뿐인 소앤틸리스 제도도미니카연방도미니카 연방에서는 동카리브 달러를 사용한다.

최초의 페소화는 1844년, 아이티 구르드와 1:1의 비율로 교환되어 배급되었다. 아이티가 먼저 도미니카공화국을 포함한 범위로 독립을 이룬 뒤에 도미니카가 떨어져 나갔기 때문인데, 이제 와서는 그 도미니카가 아이티를 압도하며 앞서나가고 있으니(...)

다만 1891년에 도미니카 프랑코로 개혁이 일어났다가 1905년 미국 달러로 전향, 1937년 다시 페소화(Pesos Oro)로 복귀되어 현재에 이른다.

환전 및 사용[편집 | 원본 편집]

현찰 시리즈[편집 | 원본 편집]

2000년 이후 : 현행권[편집 | 원본 편집]

DOP309.jpg DOP349.jpg DOP389.jpg
2000 ~ 2010
구권 / 페소 오로 (Pesos Oro, $10 ~ $2,000)
2011 ~ 2013 ※$10 및 $20 권종 동전으로 대체
구권 / 페소 도미니카노 (Pesos Dominicanos)
2014 ~ 현재
신권 (패턴 변경, $50 ~ $2,000)
$50 산타마리아 라 메노르 바실리카 대성당 $100 도미니카 공화국의 3국부(國父)[2] $200 미라발 세 자매[3]
알타그라시아 성모 대성당 백작의 문 (산토도밍고) 미라벨 세 자매 기념비
$500 우레냐 모자(母子)[4] $1,000 도미니카 공화국 대통령궁 $2,000 도미니카 공화국 국가 작사/작곡가[5]
도미니카공화국 중앙은행 본청사
도미니카 공화국 페소 시리즈 (2000년대 이후) $10 $20
콜론 요새 (산토도밍고) 국립극장 (산토도밍고)

1977년 ~ 1999년[편집 | 원본 편집]

1947년 ~ 1978년[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2010년대 이후로는 희귀품이 되어서 유명무실해진 상태.
  2. 프란시스코 델 로자리오 산체스, 후안 파블로 두알테, 마티아스 라몬 메야. 공통적으로 도미니카 독립전쟁(1844년)에서 활약.
  3. 1950년대, 당시 대통령인 라파엘 트루히요의 독재정치에 반대한 사회활동가로, 독재자 트루히요 정권에게 종말을 가져다 준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장녀 패트리아 M. 미라발, 삼녀 미네르바 A. 미라발, 사녀 안토니아 M.T. 미라발까지 해서 3명인데, 차녀인 벨히카 A. 미라발은 활동에 참여하지 않아서 일단은 언급되지 않으나, 완전히 몰락할 뻔한 가문을 어떻게든 지켜내고 나머지 세 자매의 업적을 기리면서 후세에 전한다는 부분에서 큰 기여를 했기 때문에 결코 무시되지는 않는다.
  4. 살로메 우레냐 디아스(엄마, 교육자 및 교육개혁가(여성관련)) & 페드로 엔리케스 우레냐(아들, 인문학자 및 비평가)
  5. 에밀리오 프루돔므(작사) & 호세 루피노 헤예스 샨카스(작곡)